print

뉴욕증시, 기술주 투매 속 다우 반등…혼조 마감

다우 0.08%↑·나스닥 1.21%↓·S&P500 0.5%↓

뉴욕증권거래소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뉴욕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2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3.19p(0.08%) 오른 43.461.2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S&P500지수는 전장보다 29.88p(0.50%) 밀린 5,983.2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237.08p(1.21%) 낮은 19,286.92를 각각 기록했다.

이날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없는 가운데, 3대 지수는 개장 직후 저가 매수세를 발판 삼아 동반 반등을 시도했었다.

그러나 인공지능(AI) 관련주들이 무기력증을 보이면서 나스닥지수는 장중 한 때 연간 수익률(YTD)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다.

장 마감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한 달 유예' 조치 기한이 다음 주로 종료되면, 예정대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는 입장을 확인했다.

이후 다우지수는 상승폭을 좁히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낙폭을 늘렸다.

이날 빅테크 마이크로소프트가 최소 두 곳의 민간 데이터센터 운영자와 수백 메가와트 규모의 임대 계약을 해지했다는 소식이 AI 관련주와 에너지 관련주에 모두 악재가 됐다.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1.03% 하락했다.

지난해 주가가 340% 이상 뛰면서 S&P500 최고 수익률을 기록했던 'AI 방산주' 팔란티어 주가는 이날 10.53% 더 떨어졌다.

반도체 설계기업 브로드컴 주가는 4.91%, 세계 최대 파운드리 대만반도체제조회사(TSMC)는 3.32%, AMD 2.46%, 인텔 2.41%, 퀄컴 2.62% 각각 밀렸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59% 하락했다.

또 전력 공급업체 비스트라 주가는 5.11%, GE 버노바는 3.65%, 콘스텔레이션 에너지는 5.88% 급락했다.

실적발표를 이틀 앞둔 엔비디아 주가는 3.09% 미끄러졌다.

엔비디아는 오는 26일 장 마감 후 자체 2025년 회계연도 4분기(11월~1월) 실적을 공개한다.

중국 스타트업이 개발한 저비용·고효율 AI 딥시크 출현 이후 처음 내놓는 실적 보고서여서 어느 때보다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투자사 e토로 글로벌 시장 분석가 라르 애코너는 "투자자들은 딥시크 뉴스가 엔비디아와 동종업계의 미래 마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확인하고 싶어 한다"고 전했다.

대형 기술주 그룹 '매그니피센트 7'(M7) 가운데 애플만 주가가 상승하고 엔비디아·마이크로소프트·구글 모기업 알파벳(0.23%)·테슬라(2.15%)·아마존(1.79%)·페이스북 모기업 메타(2.26%)는 하락했다.

애플은 이날 개장에 앞서 "향후 4년간 미국에 총 5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다"고 발표하고 주가가 0.63% 올랐다.

개인투자자들이 선호하는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는 이날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암호화폐 부문에 대한 조사 철회 결정을 통보받았다고 밝혔으나 주가는 3.24% 떨어졌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4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1% 급증한 145억3천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강력한 실적을 내고 주가가 4.11% 상승했다.

턴어라운드를 추진 중인 세계 최대 스포츠웨어 제조업체 나이키는 투자은행 제프리스가 향후 전망을 밝게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보류'에서 '매수'로 업그레이드하고 목표주가를 75달러에서 115달러로 높여 책정한 데 힘입어 주가가 4.94% 뛰었다. 이날 다우지수 구성종목 가운데 최대 상승폭이다.

반면 후발 전기차 제조업체 리비안은 뱅크오브아메리카가 투자등급을 '중립'에서 '시장수익률 하회'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13달러에서 10달러로 낮춰 주가가 7.79% 미끄러졌다.

업종별로 보면 S&P500을 구성하는 11개 업종 가운데 필수소비재(0.1%)·에너지(0.11%)·금융(0.45%)·헬스케어(0.75%)·부동산(0.35%) 5개 종목이 오르고, 임의소비재(0.87%)·산업재(0.44%)·소재(0.18%)·테크놀로지(1.43%)·통신서비스(0.63%)·유틸리티(0.51%) 6개 종목이 내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딥시크 효과' 중국 기술주, 美 트럼프 견제책 여파에 급락

21월 서울 원룸 전월세 가격 소폭 올라…평균 월세 75만원

3충남 천안시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작업자 8명 매몰 추정

4고려아연 “ESG 경영 체계 고도화 지속”

5블랙핑크 리사 나오자 '초대박'…'예약률 500%' 난리 난 이곳은

6한화손보, 화재피해 여성가정에 총 1400만원 지원

7코스닥협회, 이동훈 켐트로스 대표 신임 회장 선임

8한은, 금리인하 시계 다시 ‘째깍’…“경기 하방압력 완화”

9현대건설, 유망 스타트업 혁신기술 지원한다

실시간 뉴스

1'딥시크 효과' 중국 기술주, 美 트럼프 견제책 여파에 급락

21월 서울 원룸 전월세 가격 소폭 올라…평균 월세 75만원

3충남 천안시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작업자 8명 매몰 추정

4고려아연 “ESG 경영 체계 고도화 지속”

5블랙핑크 리사 나오자 '초대박'…'예약률 500%' 난리 난 이곳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