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꽁' 얼어붙은 외식업 경기, 자영업자 시름 깊어져

10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외식산업경기동향지수에 따르면 외식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4분기 외식업계 체감경기지수(현재지수)는 71.52로 지난해 3분기(76.04)보다 4.52포인트 하락했다. 이 지수가 100보다 낮으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감소한 업체가 증가한 업체보다 많다는 뜻이다.
분기별 지수는 지난해 2022년 3분기 89.84까지 올랐으나, 이후 대체로 하락하는 흐름을 보이면서 2023년 3분기에는 70대로 떨어졌다. 지난해 4분기 외식업계 체감경기는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조치가 시행되었던 2021년 4분기(70.34)와 2022년 1분기(70.84)와 비슷한 수준이다.
업종별로 보면 모든 외식산업 업종에서 경기 지수가 하락했다. 출장음식서비스업의 경기 지수는 지난해 3분기 88.64에서 지난해 4분기 80.41로 8.23포인트 떨어졌다. 기관 구내 식당업 경기 지수는 같은 기간 97.44에서 96.31로 1.13포인트 하락했다. 주점업은 지난해 4분기 65.40을 기록해 전체 업종 중 가장 낮았다.
전문가들은 외식산업 경기 악화가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에 따른 현상이라고 보고 있다. 진현정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보고서에서 "식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으로 운영비용이 증가해 음식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영갑 한양사이버대 경영대학원 교수 역시 "경제적 부담이 커진 소비자들이 외식 빈도를 줄여 중저가 업종이 큰 타격을 입었다"고 봤다.
문제는 개선될 전망이 밝지 않은 거다. 올해 1분기 외식산업 경기 전망 지수는 79.39로, 지난해 4분기 전망 지수(83.65)보다 4.26포인트 낮아졌다. 학계와 외식업계 등에서는 정부 지원이 필요한 순간이라고 입을 모은다. 진 교수는 "세제 혜택, 정책 자금 등 외식업 지원책을 적극 활용해 외식업 부문이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도록 보조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전주역 화물열차 1량 궤도 이탈"…2시간30분만 운행 재개
2트럼프, '90일 관세 유예'에 유가 반등…WTI 4.65% 급등
3'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4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5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6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7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8“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9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