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이차전지 대장주의 추락…금양, 감사보고서 ‘의견 거절’로 상폐 위기

부산 경제계 ‘당혹’…다양한 지원책 모색나서

금양 본사.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이차전지 산업 진출로 주목받던 금양이 상장폐지 위기에 내몰렸다. 부산지역 경제계도 술렁이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양은 지난 21일 감사 보고서를 제출하면서 외부 감사인으로부터 ‘의견 거절’을 받았다고 공시했다.

외부 감사인인 한울회계법인은 의견 거절 이유로 “계속 기업으로서 그 존속 능력에 유의적 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금양은 지난해 429억원의 영업손실과 132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회사 유동부채는 유동자산보다 6341억9000만원 많다.

거래소는 이에 따라 상장 폐지 실질심사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금양은 오는 4월 11일까지 이의신청을 할 수 있고, 실질심사 기간에는 주식 거래가 정지된다. 이의 신청이 없으면 본격적인 상장폐지 수순에 들어간다.

금양은 지난해 9월 4500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계획을 밝혔다가 올해 1월 유상증자 계획을 전격 철회하는 바람에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다. 지난해에는 몽골 광산의 실적 추정치를 부풀렸다는 논란으로 인해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다.

금양은 ‘배터리 아저씨’ 박순혁 씨의 추천으로 한때 이차전지 대장주로 주목 받았다. 하지만 악재가 이어지며 한때 주당 20만원에 육박하던 금양의 주가는 지난 21일 9900원으로 폭락했다. 9조원에 달했던 시가총액이 6000억원대로 쪼그라들었다. 

부산지역 선도기업으로 꼽히던 금양이 휘청하자 지역 경제계가 촉각을 곤두세우며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부산시는 금양 회생 여부가 부산시의 정책 신뢰도와 직결된다고 보고 다양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부산은행을 비롯한 BNK금융지주 계열사도 금양의 상폐 위기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

6최상목 “관세협상 서두르지 않겠다…새정부가 최종결정"

7“1000일 됐어요” 해외여행 필수템 된 ‘이 서비스’

8코스피 상장사 배당금 30조원…밸류업 법인 '앞장'

9국제당뇨병연맹 "당뇨병 환자 10명 중 4명, 진단 안 받아"

실시간 뉴스

1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2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3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4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5OKX 미국 진출 본격화…벌금 합의 후 거래소·지갑 서비스 론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