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최태원 “초불확실성 시대가 가장 큰 적”

상의 회장 취임 4주년 간담회
"상법 개정안, 지금이 적절한 타이밍일까"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지난 25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열린 취임 4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 대한상공회의소]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초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최 회장은 25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열린 취임 4주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리스크가 크다 적다가 중요한 게 아니라 불확실성이 너무 커지는 ‘슈퍼 언노운(unknown)’ 형태가 계속되면 기업의 결정이 안 나온다”며 “초불확실성의 시대가 가장 큰 적”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많은 기업이 용량 초과, 한도 초과라고 할 정도로 어려운 상황을 맞고 기업뿐 아니라 자영업자와 일반 시민도 상당히 어렵다”며 “어려운 상황이 쉽고 빠르게 풀려날 것 같다는 희망을 갖기에는 조금 불안하다”고도 했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 인플레이션, 인공지능(AI)발 산업 패러다임이라는 3중고에 ‘정치 문제’까지 4가지 ‘폭풍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새로운 경제 모델 ▲대한민국 포지셔닝의 재설정 ▲기업-정부간 원팀 등의 전략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국내 제조업 공동화 현상에 대해서는 “제조업이 계속 가려면 AI를 도입해 남보다 더 좋은 물건과 제조 능력을 갖추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기업만 나가서 전쟁을 할 방법도 없고 미국도 정부와 기업이 뭉쳐 대응하고 있다”며 “중국도 이미 그렇게 하고 있는데 우리는 각자도생하자는 게 먹히지 않는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미중 갈등 심화 속 중국 사업 전략에 대해서는 “선택을 강요받는 것은 좋지 않은 포지션”이라면서도 “냉정하게 얘기해서 지금의 포지션이 돈이 되는지를 판단해 각자 거기에 맞춘 전략을 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상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우회적으로 불만을 나타냈다. 그는 “지금 불안 요소가 많은데 이 타이밍에 꼭 해야 할까 하는 생각은 남는다”며 “상법은 경제 쪽에서 보면 헌법과 비슷한데 그것을 바꿔 새 국면으로 들어가자는 게 적절한(right) 타이밍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반도체 산업에서 도입을 주장해온 ‘주 52시간 적용 예외’에 대해서는 “기업이 결정할 수 있는 자유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면 동의하지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법을 만들 때는 좋은 취지지만, 법이라는 게 항상 취지대로 움직이지는 않는다”라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원/달러 환율, 美 상호관세 발표에도 하락세…1,460원대 중반

2하이트진로, ‘미래 100년’ 위한 통합연구소 개관…R&D 경쟁력 강화

3“감자만 먹니? 고구마도 있다”…해태, 구운고구마 스틱 출시

4시몬스 침대, 시몬스 갤러리 마포상암점 오픈

5대상, 세븐틴 호시 얼굴 담은 ‘종가 김치’ 일본 출시

6현대이지웰, 복지몰 업계 최초 전자금융업 등록

7롯데홈쇼핑, 美 패션매장서 업계 첫 ‘현장 라이브커머스’ 연다

8롯데관광, 인당 4500만원 럭셔리 골프투어 완판

9아마존, 9일 인터넷 위성 첫 발사…스페이스X와 본격 경쟁

실시간 뉴스

1원/달러 환율, 美 상호관세 발표에도 하락세…1,460원대 중반

2하이트진로, ‘미래 100년’ 위한 통합연구소 개관…R&D 경쟁력 강화

3“감자만 먹니? 고구마도 있다”…해태, 구운고구마 스틱 출시

4시몬스 침대, 시몬스 갤러리 마포상암점 오픈

5대상, 세븐틴 호시 얼굴 담은 ‘종가 김치’ 일본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