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기업들 부럽겠네…LG전자, 제품 개발부터 생산까지 효율성 높이는 ‘제조 AI’ 선보여
제품 개발 설계 및 기간 단축, 생산 효율성 높일 것으로 기대
생활가전·TV·차량용 부품 등에 순차 적용…품질 예측 시간 99% 단축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LG전자가 자사 제품 개발 단계부터 생산까지의 효율성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높이는 ‘제조 AI’를 선보였다. 이를 활용하면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99%까지 단축할 수 있다.
LG전자가 선보인 제조 AI는 제품 개발 과정에서 수차례 반복되는 검증 시간을 줄여 개발기간 단축은 물론, 생산 효율성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에는 시제품 제작 전에 품질을 예측하기까지 매번 약 3~8시간이 소요됐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AI를 활용해 별도의 시뮬레이션 없이 3분 이내로 예측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유사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AI 기술과 비교해 분석을 위한 AI의 학습 시간을 95% 이상 단축했다. 또한 메모리 사용량은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이면서 정확도는 15% 이상 향상했다. 결과를 실제 제품에 가까운 3D 형태로 보여줘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제품 개발자들의 편의성도 높였다. 이 기술은 3D 도면 정보만 입력하면 오차를 줄이기 위해 도면 좌표를 기준에 맞춰 정밀하게 정렬하는 등 별도의 과정 없이 정확하고 빠르게 품질 예측 결과를 보여준다.
LG전자는 개발자들이 이 기술을 업무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Engineering AI)’도 선보일 계획이다.
LG전자는 이 AI 기술을 자체 제조역량 강화에 우선 활용할 계획이다.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 가전과 TV, 차량용 제품 등에 사용되는 부품 설계에 순차 적용한다. 이 기술을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찬영 교수팀과 제품 설계 과정의 효율화를 위한 검증 기술을 공동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AI 분야 글로벌 최고 수준 학회인 ‘국제머신러닝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에 관련 논문을 제출해 학술적으로도 기술 검증을 받을 예정이다.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사장은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생산기술원에서는 스마트팩토리 전(全) 단계에서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라며 “AI 기반의 검증 기술로 제품 개발 주기의 단축은 물론, 개발 효율성 역시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청주 도심서 역주행 사고...3명 사망·6명 부상
2정부, 10조원 ‘필수 추경’ 추진…‘산불·통상·AI·민생’ 중심
3최상목, “산불로 역대 최대 피해…10조 필수추경 추진”
4“3명 중 1명은 사용”...생성형 AI 이용자 1년 사이 2배 증가
5국민 67.3%이 이용한 ‘한방의료’...주목적은 ‘근골격계’ 치료
6軍, 오늘도 산불 진화에 병력·헬기 투입
7경찰, ‘경북 산불’ 실화 추정 50대 입건...“혐의 부인”
8 산림청장 “30일 오후 1시부로 산청 산불 주불 진화”
9中 BYD 회장 “전기차 자율주행, 2~3년 내 현실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