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일자리가 사라진다…“신규 채용 7분기 연속 감소”
- 비자발적 실직은 4년 만에 증가
경총 보고서…"초단시간 일자리 역대 최대·자영업자 비중 최소"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신규 채용 규모가 7분기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8일 이런 내용이 담긴 ‘최근 고용 흐름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채용시장 한파 심화 ▲비자발적 실직자 증가 ▲초단시간 일자리 증가 ▲자영업 감소와 구조 변화 등을 주요 특징으로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신규 채용으로 분류되는 근속 3개월 미만 임금근로자 수는 2023년 1분기(2만3000명↑) 이후 7분기 연속 줄었다. 2023년 2분기에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4만9000명이 줄었고 3분기에는 10만8000명, 4분기에는 7000명이 줄었다. 지난해에도 4분기 내내 감소세를 기록했다. 1분기에는 11만4000명, 2분기 11만8000명, 3분기 8만2000명, 4분기 12만2000명이 줄었다.
일자리가 줄면서 대학생들 가운데 졸업을 연기하거나 대기업 등 양질의 일자리에만 지원하는 경향도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지난해 신규 대졸자 수는 19만5000명으로 2020년 이래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졸업을 미룬 학사학위 취득 유예생(1만8000명)은 2021년 이후 가장 많았다.
해고나 권고사직, 구조조정 등으로 생긴 비자발적 실직자는 지난해 137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8.4% 증가한 수준이다. 업종별로 건설업(3만9000명↑)과 부동산업(9000명↑)에서 비자발적 실직자 증가세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불황 여파로 인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일주일 기준 15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초단시간 일자리는 지난해 140만6000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가 팬데믹이 발생했던 2020년(96만6000명)보다 44만명 증가한 수준이다. 경총은 “52시간 규제나 주휴수당 부담으로 기업의 단시간 일자리 수요 확대가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국내 전체 취업자 가운데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9.8%를 기록했는데, 이는 1963년 관련 통계 작성한 이래 처음으로 20%를 밑도는 기록이다. 도소매 업종은 4만8000명 감소한 반면 정보통신(1만6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6000명↑)이 늘어나는 등 신산업 분야에서 자영업자 증가세가 눈에 띄었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얼어붙은 채용, 원치 않는 퇴사 같은 불안 요인이 확대되는 가운데 기혼여성 중심의 초단시간 근로 활성화, 고령층의 자영업 유입 등 계층별 노동이동 방향이 뚜렷하다”며 “노동시장 법·제도를 개선하고 고용서비스·직업훈련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챗GPT, 요즘 아첨한다...샘 올트먼 "수정할 것"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혼숙려캠프’ 故강지용 부인 “억측 자제 부탁”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SKT 사태, 집단소송 움직임…카페 가입자 3만명 육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친환경 드라이브' 한솔제지, 탄자니아 하수처리 사업 뛰어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K바이오 최대규모 6.5조 기술수출 뉴로바이오젠...판매 로열티 등 의문 투성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