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
뉴욕유가, 미국 셰일업계 감산 전망에 3% 급등…WTI 59달러 회복
- OPEC+ 증산 대응해 셰일 기업들 생산 조정 나서

6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6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1.96달러(3.43%) 뛰어오른 배럴당 59.0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7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1.92달러(3.19%) 상승한 배럴당 62.15달러에 마감했다. 전날 WTI와 브렌트유 종가는 2021년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
다이아몬드백 에너지가 최근 유가 급락을 반영해 올해 생산량 전망을 하향하면서 시장의 관심을 촉발했다. 이 회사는 미국 셰일오일 혁명의 중심지 퍼미안 분지의 최대 독립 원유 생산업체다.
다이아몬드백 에너지는 전날 뉴욕증시 마감 후 실적 발표에서 올해 생산량 전망치 중간값을 석 달 전보다 0.8% 정도 줄어든 하루 48만8천배럴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올해 설비투자도 축소하기로 했다.
이 회사의 트래비스 스타이스 최고경영자(CEO)는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현재 원자재 가격 수준에서 미국 석유생산이 티핑포인트에 도달했다고 믿는다"면서 "미국 내륙의 석유 생산량이 정점을 찍었고, 이번 분기부터 감소하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셰일혁명으로 인해 "우리 경제는 변혁을 이루었고, 미국은 금세기 초에는 생각도 할 수 없었던 수준의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게 됐다"면서도 "오늘날의 유가, 변동성, 그리고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은 이러한 발전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미 에너지정보청(EIA)은 이날 발표한 단기 에너지 전망에서 올해 미국의 원유 생산량은 하루 1천342만배럴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전달에 비해 하루 10만배럴 정도 줄어든 것이다.
EIA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및 OPEC+의 최근 감산 결정 등은 모델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프로티나·스탠다임·갤럭스 출동...'AI 신약개발' 스포트라이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독수리 군단 미쳤다! 한화, 9연승으로 단독 선두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빈손으로 끝난 김문수-한덕수 회동…"의미있는 진척 없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쪼개기 보호예수’ 백종원, 더본코리아 오버행 우려 잠재울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에 150억 달러 투자 나선 화이자, 디앤디파마텍·인벤티지랩에 호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