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우디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서 착공식
전기차·내연기관차 등 혼류 생산 체계 구축

현대차는 14일(현지시간) 사우디 내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에서 현지 합작법인 ‘현대차 사우디아라비아 생산법인](HMMME)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HMMME는 현대차가 지분 30%,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70%를 보유한 합작회사다.
이 공장은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모두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2026년 말 완공을 목표로 연간 5만 대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착공식에는 반다르 알코라예프 사우디 산업광물자원부 장관, 야지드 알후미에드 사우디 국부펀드 부총재, 문병준 주사우디 한국대사관 대리대사,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등 양국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했다.
야지드 알후미에드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부총재는 “HMMME는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현대차와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모빌리티 생태계 성장을 가속화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현대차와의 협력은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산업의 기술 역량 강화와 우수 인재 육성을 위한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의 확고한 의지를 입증하는 사례”라고 덧붙였다.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은 축사에서 “이번 착공식은 현대차와 사우디아라비아 모두에게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의미한다”라며 “우리는 미래 모빌리티와 기술 혁신의 새로운 장을 열기 위한 초석을 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HMMME가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 2030’에 부응해 모빌리티 기술 개발 역량을 갖춘 현지 인재 양성 등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부연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비전 2030을 통해 석유 중심 경제에서 제조업, 친환경 에너지 등으로 산업 지형을 다각화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 육성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이번 현대차 합작공장은 그 실행 전략의 일환이다.
현대차는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중동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한편, 사우디의 제조 역량과 인재 기반을 결합해 현지 모빌리티 생태계 확장을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DRTECH Rides Performance Recovery, Targets Profitability After Q2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소년장사' 최정, 600홈런 향한 걸음을 떼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안약 하나로 '21개국' 뚫었다…삼일제약 잭팟 터지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5년 조기상환'의 함정…자본성증권의 '역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트럼프 약가 인하 불똥이 알테오젠까지?…CMS 새 지침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