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재개발하면 좋아질줄 알았는데"…공실 '12배' 급증한 도쿄, 왜?

일본 도쿄 중심부에 있는 대형 빌딩의 공실 면적이 재개발 여파 때문에 3년 만에 12배로 급증했다.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부동산 조사·연구 기관인 자이맥스소켄 자료를 바탕으로 2012년 7월부터 올해 1월까지 도쿄 도심인 23구 지역의 사무실 임대 동향을 분석해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임대 연면적 1만6500㎡ 이상인 대형 빌딩의 지난해 평균 장기 공실 면적이 약 18만5000㎡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대형 빌딩 장기 공실 면적의 12배를 넘고, 연평균 수치를 알 수 있는 2013년 이후와 비교하면 동일본 대지진 등의 여파가 있던 2013년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이처럼 대형 빌딩의 장기 공실이 높아진 것은 재개발에 따른 공급량 증가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자이맥스소켄 관계자는 "2010년대는 빌딩을 만들면 바로 임차인이 들어왔다"며 "지금은 공급 확대로 일부 지역의 경우 대형 빌딩이 포화 상태"라고 지적했다.
게다가 도쿄 23구 대형 빌딩의 임대 면적이 올해 연말에 2014년 대비 20%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닛케이는 장기 공실 현상을 겪는 대형 빌딩이 특히 하루미, 가치도키, 쓰키시마 등 주오구의 간척지 지역에 많았다고 짚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경기남부 일대 연이은 중국동포 흉기난동에 불안감 고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마켓인
이데일리
김수현, 광고주 소송 본격화? "받은 소장 2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SKT 해킹은 국가 안보 위협의 서막”…中 해커, 美 우방국 통신망 정조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롯데손보 후폭풍…CJ CGV·신한라이프생명 영향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배병준 현대바이오 사장 “기술수출, 국내 첫 항바이러스제 개발 이뤄낼 것”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