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GPT보다 한 수 위… SKT, 한국어 특화 LLM ‘A.X 4.0’ 공개
- 표준 모델 및 경량 모델 2종 공개
타 LLM 대비 고용량 정보처리

SKT는 세계적인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를 통해 A.X 4.0의 표준 모델과 경량 모델 두 가지 버전을 공개했다고 3일 밝혔다.
A.X 4.0은 기존 오픈소스 모델 ‘Qwen2.5’를 기반으로 방대한 한국어 데이터를 추가 학습한 모델로, 한국어 처리 효율성과 데이터 보안 측면에서 강점을 갖는다. 로컬 환경에서의 운용도 가능해, 기업의 다양한 활용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표준 모델은 720억 개(72B), 경량 모델은 70억 개(7B)의 매개변수를 갖추고 있어, 이용자들이 목적에 맞춰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SKT는 A.X 4.0에 자체 설계한 토크나이저를 적용해, 동일 문장 입력 시 GPT-4o 대비 약 33% 높은 토큰 효율을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높은 정보 처리 용량과 함께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평가다.
모델의 성능은 벤치마크 지표에서도 입증됐다. 한국어 다중과제 언어이해 평가인 KMMLU에서 A.X 4.0은 78.3점을 기록해 GPT-4o(72.5점)를 상회했으며, 한국 문화·언어 이해 능력을 측정하는 CLIcK 평가에서도 83.5점을 받아 GPT-4o(80.2점)를 앞섰다.
이 모델은 기업 내부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용할 수 있는 온프레미스 방식으로도 제공된다. SK텔레콤은 모델 개발 과정에서도 외부 연동 없이 자체 데이터로 연속 사전학습(CPT)을 진행해, 데이터 주권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현재 A.X 4.0은 SK텔레콤의 AI 서비스 ‘에이닷’의 통화 요약 기능에 적용돼 있으며, 향후 SK그룹 내 다양한 서비스로의 확대 적용도 계획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번 모델을 활용해 자체 목적에 맞는 파생 모델을 개발하거나 연구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이번 지식형 모델 공개에 이어 이달 중 수학 문제 해결과 코드 생성 능력이 강화된 추론형 모델도 발표할 예정이며,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처리하는 멀티모달 기능도 순차적으로 탑재할 계획이다. 아울러 A.X 3.0에서 도입했던 ‘프롬 스크래치’ 방식 역시 지속적으로 병행해 개발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김지원 SK텔레콤 AI Model Lab장은 "SK텔레콤의 다양한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기업 시장에서 한국어 특화 LLM으로 국내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된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그러다 암 걸려”…흡연자, 폐암 걸릴 확률 ‘54.5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안정환 子, '아빠 어디가' 꼬마가 이렇게나 컸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숙박할인권 쓰러가자”…李정부, 숙박상품 80만장 쏜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F&F 제명 카드 꺼냈다…테일러메이드 매각 갈등 격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일라이 릴리 vs 노보 노디스크, 먹는 비만약 전초전서 노보 勝?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