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리1호기 비롯해 원전 24기 시공 경험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현대건설이 국내 건설사 최초로 미국 원전 해체 사업에 참여해 글로벌 시장 정조준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현대건설은 지난 2022년 원전해체 분야의 독보적인 역량을 보유한 미국 홀텍(Holtec)사와 인디안포인트(IPEC) 1~3호기 원전해체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전문 직원들을 해체 현장에 직접 파견해 ▲원자로 구조물 절단 및 오염 장비 해체 ▲사용후핵연료 제거 및 저장시설 이송 ▲건물 해체 및 폐기물 관리 등 원전해체의 핵심 공정을 공동으로 수행 중이다. 원격 자동용접 시스템과 특수 인양 시스템 등 해체 작업자의 피폭을 최소화할 첨단 기술 활용에도 참여했다.
원전해체는 ▲영구 정지 ▲안전 관리 및 사용후핵연료 반출 ▲시설 해체 ▲부지 복원 등 최소 10년 이상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전 세계적으로 해체가 완료된 사례는 25기에 불과하다.
국내 역시 지난달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고리 1호기의 해체 승인을 결정하며 영구 정지 8년 만에 본격 해체 사업을 시작하게 됐다. 현대건설은 지난 1971년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한국형 원전 24기를 시공했다. 원자력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포괄적 기술과 경험을 갖고 있다. 현대건설은 이번 미국 원전 해체 공동 사업 참여를 계기로 고리 1호기 해체 작업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특히 현대건설은 원격 자동용접 시스템과 특수 인양 시스템 등 해체 작업자의 피폭을 최소화할 첨단 기술 활용에도 적극적이다.
현대건설은 원전 해체를 넘어 방사성 폐기물 저장기술까지 협력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홀텍사는 미국 핵연료 및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한 핵연료 건식저장 시스템을 보유한 곳이다.
현대건설은 지난 2019년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발주한 ‘해체 원전 부지 오염 및 규제 해제 안전성 평가’ 과제를 통해 ▲해체 원전 지하수 감시 및 오염평가 기술 ▲방사성 오염토양/지하수 복원 기술 ▲부지 규제 해제 및 안전성 평가 기술 ▲부지 재이용 평가 기술 등 부지 복원에 관련한 기술을 확보했다. 2022년에는 자체 개발한 방사성 오염토양 복원기술로 이 분야에서 최초로 환경부 녹색인증을 받았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은 2050년에는 그 규모가 5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될 정도로 유망한 시장”이라며 “현대건설은 미국 원전해체 경험이 있는 유일한 국내 건설사로, 오염토양 복원 등 제반 기술은 물론 노후설비 관리와 구조물 해체,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및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 다양한 역량을 축적하고 있어 향후 발주가 확대될 국내외 원전해체 분야에서 실질적인 수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기생충, NYT 독자 선정 '21세기 최고영화 1위' 선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요태 몰라?”..신지♥문원, ‘상견례’ 영상 논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더 강력한 규제 예고…李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금융자산·차입금 정보 깜깜…“공시보고 투자 판단 가능하겠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