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6·27 대출규제 후폭풍…서울 아파트 분양권·입주권 거래 '반토막'
- 대출 한도 축소·DSR 강화에 잔금 조달 막혀

2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6·27 대책 시행일인 6월28일부터 전날까지 2개월간 신고된 서울 아파트 분양권·입주권 매매는 모두 110건(계약해제 건 제외)이었다.
이는 대책 시행 전 2개월(4월29일∼6월27일)간 거래량(225건)의 48.9%다.
입주권은 재개발·재건축 조합원이 향후 신축될 아파트에 입주할 권리이며, 분양권은 일반인이 청약제도를 이용해 새 아파트에 입주할 권리를 뜻한다.
통상 입주권이나 분양권을 매입할 때는 계약 시점에 계약금과 함께 프리미엄을 매도자에게 지급하고, 계약과 함께 승계된 중도금과 잔금을 입주 때까지 차례로 납부하게 된다.
6·27 대책 중 주택 구입 목적 주택담보대출 상한이 6억원으로 제한된 데다 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까지 시행되자 잔금 지급을 위한 대출 확보가 크게 어려워졌다.
이는 분양권·입주권 매매에도 적용되는 규정이어서 종전에 고액 대출을 끌어다 아파트 분양권 또는 입주권 잔금을 치르려던 이들이 계획을 유보한 것으로 풀이된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6·27 대출규제에 3단계 스트레스 DSR까지 시행되면서 분양권·입주권 수요자들도 자신의 대출 한도가 줄어드니 선택지가 감소하고 고민이 늘어났을 것"이라며 "계약금과 프리미엄 정도는 조달이 되겠지만 잔금까지 치를 방법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6·27 대책 시행 이후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에서 이뤄진 입주권 매매계약은 16건(14.5%)으로, 현금 여력이 충분한 수요자들은 신축 고가 아파트 입주권을 여전히 사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5일 강남구 개포동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 전용면적 179.9㎡ 26층 입주권이 78억6천500만원에 거래됐고, 같은 달 15일에는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135.5㎡ 11층 입주권이 71억원에 거래됐다. 이달 6일에도 강남구 청담동 청담 르엘 84.9㎡ 28층 입주권이 55억5천만원에 팔렸다.
강북에서도 마포구 공덕동 마포자이힐스테이트 라첼스 84.9㎡ 11층 분양권이 지난달 22일 27억원에 거래되는 등 주요 단지 분양권·입주권은 간헐적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윤민수 전처, 아들 윤후에게 감동... “건강만 챙겨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다혜, 과감한 모노키니로 '해변 여신' 등극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미·일 일정 마치고 귀국길…필라델피아서 마지막 인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교직원공제회, 뉴욕사무소 파견 인원 선발…관건은 '교육부 승인'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셀비온, 국내 첫 방사선치료제 상용화...‘코아스템켐온·유한양행처럼’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