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 롬바드(Lombard) 보안 컨소시엄 합류

비트코인 기반 금융 인프라를 선도하는 플랫폼 롬바드(Lombard)는 세계적으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크라켄(Kraken)이 자사의 보안 컨소시엄(Security Consortium)에 합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롬바드는 프로토콜 운영을 검증하고 기관급 표준을 유지하는 신뢰할 수 있는 밸리데이터 네트워크를 한층 확대하게 됐다.
롬바드 보안 컨소시엄은 15개의 독립적인 디지털 자산 기관으로 구성된 탈중앙 네트워크다. 프로토콜 상의 모든 핵심 행위를 검증한다. 현재 컨소시엄에는 OKX, 갤럭시(Galaxy), 디지털커런시그룹(DCG), 윈터뮤트(Wintermute), 피그먼트(Figment), 킬른(Kiln), 앤트풀(Antpool), F2풀(F2pool) 등 업계 주요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에 크라켄이 합류함으로써 보안성과 신뢰성이 더욱 강화됐다.
크라켄은 검증된 보안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스테이킹 인프라에 전략적으로 투자해 왔다. 특히 ‘Staked’ 인수를 통해 비수탁형 스테이킹 역량을 확장한 바 있다.
롬바드 공동창업자 제이콥 필립스(Jacob Phillips)는 “크라켄의 보안 컨소시엄 참여는 우리가 안전하고 투명하게 비트코인 자본시장을 재정의하려는 접근법에 대한 강력한 검증”이라며 “기관 고객들 사이에서 신뢰받는 크라켄의 명성과 보안 운영 경험은 롬바드가 지향하는 안전한 비트코인 온체인 접근성과 완벽히 맞아떨어진다”고 밝혔다.
한편 롬바드의 보안 컨소시엄은 비잔틴 장애 허용(Byzantine Fault-Tolerant) 레이어1 네트워크인 ‘롬바드 레저(Lombard Ledger)’를 운영한다. 해당 네트워크는 모든 프로토콜 활동을 온체인에서 투명하게 기록하며 Proof-of-Authority(권위 기반 합의) 모델을 통해 평판이 확립된 기관만이 밸리데이터로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합의 모델은 단일 기관이 독자적으로 중요한 작업을 실행할 수 없도록 설계됐다. 이는 단일 실패 지점을 제거하면서도 기관 사용자가 요구하는 효율성을 유지한다. 이를 통해 대규모 비트코인 기반의 금융 인프라 확장에 필요한 기관급 신뢰성을 제공한다.
크라켄 관계자는 “이번 롬바드와의 파트너십은 신뢰할 수 있고 규제에 부합하는 최상의 시장 접근과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하는 것”이라며 “롬바드 보안 컨소시엄에 합류함으로써 비트코인이 디파이(DeFi)에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관급 인프라를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크라켄의 합류는 단순한 밸리데이터 참여를 넘어 양사 간 광범위한 전략적 협업의 시작을 의미한다. 롬바드가 비트코인의 디파이 및 기관 시장 내 역할을 확장해가는 과정에서 이번 파트너십은 향후 비트코인 채택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갈 핵심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금감원 노조, 야간집회 위해 거리로…금감원장은 해외 출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주승, 100억원 자산가 소문에 입 열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대목동·서울병원 전산 복구…"원인 파악 중"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금융사 매물 많은데…롯데카드 사태로 사모펀드 인수 '움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용호상박 K바이오] 엘앤씨바이오·한스바이오메드, 스킨부스터 대격돌 예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