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속 비밀의 공간
인터넷 속 비밀의 공간

심층웹은 간단히 말해 표면웹을 제외한 나머지 전부다. 코드의 우주 속에 감춰진 수많은 웹사이트들로 구성된다. 규모가 표면웹의 5배 정도라는 추정부터 50만 배에 달한다는 견해까지 추측이 난무한다.
심층웹이라고 전부 흥미진진한 건 아니다. 대부분은 미항공우주국이나 법률정보서비스 렉시스넥시스 같은 웹사이트의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다. 이런 종류는 심층웹의 가장 오래된 사례에 불과하다. 기업이나 학술기관의 내부 전산망도 심층웹에 포함된다. 기본적으로 검색엔진에 걸리지 않는 모든 웹사이트와 내부 전산망은 심층웹으로 분류된다.
심층웹의 기원
다음 세대 Tor은 2004년 “제13회 USENIX 보안 심포지움 회의록”에서 제시됐다. 이 회의록에 따르면 Tor 외에도 다른 익명 인터넷 시스템이 있었지만 이런 시스템들은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해독해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이 지나치게 복잡했다.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그 과정의 모든 단계를 되풀이했기 때문에 소통이 크게 느려졌다. 미 해군은 Tor 코드를 2004년 대중에 공개했으며 2006년엔 딩글다인, 매튜슨 등이 Tor 프로젝트를 통해 오늘날에도 사용되는 서비스를 내놓았다.
Tor는 어떻게 운영되나
Tor 소프트웨어가 심층웹에 접속하는 유일한 수단은 아니지만, 현재로서는 가장 효율적이고 간편한 방식이다. Tor이 성장하면서 심층웹에 접속하기도 한층 편해졌다. 심층웹에선 익명을 원하는 사람들이 마약거래소부터 상담사까지 필요한 모든 것에 접촉할 수 있다.
“암호화와 오픈소스 정신, 철학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초기 인터넷의 아이디어와 유사하다. “ 2013년 다큐멘터리 ‘다운로디드’의 감독 알렉스 윈터는 말했다. 그는 심층웹을 주제로 영화를 준비 중이다. “인터넷이라는 덮개 아래의 공간에 불과하다. 온라인에서 신분을 숨기고 싶은 사람들이 이 공간으로 들어왔다.”
심층웹의 그림자 ‘다크넷’

높은 수준의 익명성을 보장하고 표현의 자유를 확산시키는 한편, Tor은 이용자의 신원을 감춰줌으로써 범법행위를 촉진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럼에도 비트토렌트나 냅스터와 마찬가지로 Tor 운영진 역시 그런 강력한 신기술이 등장하면 거의 확실히 범죄에 이용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우리는 불법 행위를 용납하지 않는다”고 앤드류 루먼 Tor프로젝트 이사는 말했다. “우리는 마약거래나 아동 인신매매를 막기 위해 법 집행당국과 FBI, 인터폴과 협력한다. 협력 내용은 대체로 Tor이 작동 원리를 설명해주는 것이다. 그러면 경찰이 자기들의 방식대로 일을 잘 처리한다.”
실크로드
실크로드가 성행하는 동시에 비밀리에 마약중독을 극복할 방법을 찾는 중독자들을 위한 게시판도 생겨났다. 마약중독자들이 중독을 악용해 마약을 팔던 그 인터넷 한켠에선 의사가 중독치료를 위해 글을 쓴다. 환자로부터 실크로드에 대해 들은 한 의사는 이 게시판에 닥터 엑스라는 이름으로 중독치료 관련 글을 게재하기 시작했다.
“마약에 중독됐는데 어떻게 치료해야 할지 묻는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루먼은 말했다. “닥터 엑스는 마약에 대해 객관적인 조언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사회복지사 등 수많은 사람들이 그 뒤를 이어 치료법을 알려주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경찰부터 의사, 마약중개상이 공존하는 거친 무대를 보면서 심층웹이 혁신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본다. 다큐멘터리 작가 윈터는 현재의 심층웹을 음악산업을 통째로 뒤흔들어놓은 파일공유 플랫폼 냅스터에 비유했다. “아주 도발적인 신기술이다. 법 집행당국의 처벌을 받은 뒤 더 많은 모방기술이 생겨났다.” 그는 말했다. “아주 큰 전환점에 서 있다. 틀림없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전환점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