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힘 잃은 ‘탈원전 정책’…한전산업‧두산중 등 원전주 ‘방긋’

운영 허가 떨어진 신한울 1호기
한수원은 해외 원전 수주에 박차
장기적 성장 전망은 ‘글쎄

 
 
 
원안위는 7월 9일 ‘신한울 원자력 발전소 1호기 운영 허가안’을 심의해 의결했다. 사진은 신한울 원전 1·2호기 모습. [사진 한수원]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금이 가고 있다. ‘탈탄소’가 국가와 기업을 막론한 과제가 된 상황에서 탈원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의견에 공감대가 모이는 눈치다. 정부 정책도 뒷걸음질치는 모습이다. 중단했던 원전 운영을 허가한 데 이어 해외 원전 수출을 독려하고 있다. 한편 전문가들은 원전이 탈탄소의 단기적 대안일 수는 있지만, 지속가능성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흔들리는 탈원전 정책 기조  

정부가 탈원전 정책에서 한발 물러났다. 경북 울진군에 위치한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1호기에 대한 운영 허가를 내줬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지난 9일 제142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열고 ‘신한울 원자력 발전소 1호기 운영 허가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신한울 원전 1호기는 14일부터 최초로 연료 장전을 시작하게 됐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따르면 신한울 원전 1호기는 앞으로 약 8개월간 시운전 시험을 거쳐 2022년 3월 상업 운전에 들어간다.  
 
시장에서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완화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정부는 올해 5월 21일(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에서도 미국과 해외 원전 사업 공동 진출을 합의한 바 있다. 미국이 진행하고 있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 프로젝트에 한국이 힘을 보탠다는 것이다. SMR은 대형 원전에 비해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출력이 낮아 다른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해 분산형 전원을 구축할 수 있어 ‘스마트 원전’, ‘차세대 원전’으로 불린다.  
 
당초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대표적 공약으로 내세웠다. 2018년에는 월성 원전 1호기를 조기 폐쇄하고, 신규 원전 4기(천지 1·2호기, 대진 1·2호기) 건설 영구중단을 의결했다. 하지만 2018년 여름 폭염으로 전력 수급 문제가 닥치고 월성 원전 1호기 경제성 조작 논란 등이 겹치면서,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흔들리기 시작했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이 중요 의제로 떠오른 점도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발목을 잡았다. 전문가들이 탈탄소와 탈원전의 동시 달성은 어렵다고 입을 모으고 있기 때문이다.  
 

한수원 수주 소식 잇따라

한수원도 해외 원전에서 연이어 수주를 따내며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13일 한수원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기자재 입찰사업 낙찰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ITER은 유럽연합(EU)·미국·러시아·한국 등 7개국이 공동투자해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 지방에 건설하고 있는 세계 최대 핵융합 실험설비로, 2025년 플라즈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12일에는 슬로베니아 원자력공사(NEK)가 발주한 ‘크르슈코 원전 2차 기기 냉각수 열교환기 공급’ 사업 수주전에서 최종 공급사로 선정됐다는 소식을 전했다. 해당 사업은 약 120만 유로(약 16억3000만원) 규모의 사업으로 한수원이 사업관리 및 품질 관리를 담당하고 기자재 설계·제작은 국내 중소기업인 마이텍이 맡게 된다.  
 
이외에도 한수원은 체코 원전 수주에 뛰어든 상태다. 한수원을 중심으로 한국전력기술·한전연료·두산중공업 등이 모인 ‘팀 코리아’는 체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SMR 사업 입찰을 진행 중이다. 현재 체코 정부는 두코바니 지역에 1000메가와트(MW) 급 원전 1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원전주는 덩달아 ‘날았다’

 
이에 지난 몇 년간 주저앉았던 원전 관련주는 다시 날아오르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과 한수원 수주가 이어지며 탈원전 정책에 힘이 빠진 최근 3개월간은 급등세를 보였다. 4월 14일과 7월 14일 종가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유가증권시장에서 한전산업은 179.36%, 두산중공업은 80.49%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에서는 우리기술(82.30%)·보성파워텍(44.70%) 등이 큰 폭으로 뛰었다. 문재인 정부 취임 직후 2만원대였던 두산중공업의 주가가 2000원대까지 급락했던 것과 비교하면 부활에 가까운 반등이다. 우리기술도 2017년경에는 500원대에 머물렀다.  
 
15일에도 이들 주식은 모두 상승 마감했다. 폭염으로 인한 전력수요 급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한전산업은 전 거래일보다 750원(5.08%) 오른 1만5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전기술도 전일보다 2700원(5.11%) 상승해 5만5500원을 찍었다. 우리기술(12.05%)과 보성파워텍(3.37%) 등 주식도 상승했다.  
 
하지만 원전 산업 전망을 낙관할 수만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이달 초 보고서를 통해 “국내에서 원전 수주 기대감이 높아진 건 맞지만, 선진국들의 정책 방향은 다소 혼란스럽다”고 말하며 “영국·독일 등 유럽에서는 원자력 발전에 대해 여전히 부정적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SMR도 당장 실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정지원 인턴기자 jung.jeewon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메리츠증권, 미국채 3배 레버리지 ETN 6종 상장

2블루스트리트, 건강한 삶 위한 혁신 ‘쉐이크포케’ 출시

3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 MVP 펀드 10주년…순자산 4조 돌파

4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비상장주식 시세조회’ 서비스 출시

5한스바이오메드㈜, 싱가포르 국제 치과 기자재 박람회 참가

6中 미녀 배우도 홀렸다...럭셔리 매력 쏟아낸 폴스타

7압도적 전기 오프로더 ‘벤츠 G-클래스’ 연내 한국 온다

8“테슬라 모델 Y 잡아라”...中 베이징서 만난 기아 EV5

9 서울의대 비대위 수뇌부 교수들 “5월 1일 사직하겠다”

실시간 뉴스

1메리츠증권, 미국채 3배 레버리지 ETN 6종 상장

2블루스트리트, 건강한 삶 위한 혁신 ‘쉐이크포케’ 출시

3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 MVP 펀드 10주년…순자산 4조 돌파

4케이뱅크, 은행권 최초 ‘비상장주식 시세조회’ 서비스 출시

5한스바이오메드㈜, 싱가포르 국제 치과 기자재 박람회 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