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Report
올해 쌀 생산량 6년만에 증가세…농식품부 전량 매입 결정 [체크리포트]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2021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88만2000t으로 지난해(350만7000t)와 비교해 10.7% 증가했다.
국내 쌀 생산량은 2015년 432만7000t을 기록한 뒤 지난해까지 매년 감소했다. 올해(388만2000t)는 6년 만에 쌀 생산량이 증가세로 돌아섰다. 연도별로 쌀 생산량을 살펴보면, 2016년 419만7000t, 2017년 397만2000t, 2018년 386만8000t, 2019년 374만4000t 순이다.
쌀 재배 면적이 늘어난 점이 쌀 생산량 증가 배경의 하나로 꼽힌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쌀 재배 면적은 지난해 72만6432ha(1ha=1만㎡)에서 73만2477ha로 0.8% 늘어났다. 쌀 재배 면적은 쌀 가격이 상승하면서 함께 증가했다.
올해 양호했던 기상 여건도 쌀 생산량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쌀값도 하락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은 “벼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인 7~8월에 일조 시간이 늘고 강수량은 줄었으며, 낟알이 여무는 시기인 9~10월의 기상 여건도 양호했다”고 전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농가가 희망하는 벼 물량을 전량 매입한다는 방침이다. 태풍·병충해 등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중 쌀 유통 질서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향후 쌀값 추이 등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시장 격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즉시 조치해 쌀 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정지원 기자 jung.jeewon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중국, 엔비디아 AI 칩 구매 금지”…젠슨황 “실망스럽다”(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5세 맞아?… 이가령, 비키니로 시선 압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방중’ 조현 “APEC 시진핑 참석 확실…왕이 다음달 방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상법개정에 매각 줄줄이 좌초 우려…상장사 매물 든 PEF ‘고심’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옥석 가리는 AI의료]루닛 이후 2세대 기업도 1조 클럽 가능…뜨는 다크호스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