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불공정 관행 증가하고 경영권 분쟁 줄어들어

[메타버스로 만나는 이코노미스트 ESG 포럼 2021②]
이코노미스트·지속가능발전소 공동 조사
시가총액 500대 기업 대상 뉴스 속 ESG 리스크 분석
KT·카카오·네이버, 정보통신기술 섹터 요주의 대상
사회(83.7%)〉지배구조(66.67%)〉환경(16.67%) 순 사건·사고 많아

 
 
 
‘노사 갈등 등 근무환경 관련(78%), 협력 업체발 공급망 리스크 관련(78%), 환경 관련(48%) 뉴스가 늘었다.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 포진한 IT 섹터에서 서비스 중단, 개인정보 유출, 플랫폼 갑질, 골목상권 침해 등의 문제가 증가했다. 대규모 기업집단의 경우에는 현대차·삼성·롯데·현대중공업·LG에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ESG 리스크가 컸다’. 
 
이코노미스트가 25일 개최한 ‘메타버스로 만나는 이코노미스트 ESG포럼 2021’에서 지속가능발전소(대표 윤덕찬)와 손을 잡고 분석한 결과 요약이다. 이번 조사 대상은 국내 증권시장 시가총액 500대 기업(2021년 10월 31일 기준) 중 올해 10월 말까지 ESG 관련 사건·사고가 발생한 12개 섹터 369개 기업이다. 이들의 ESG 사건·사고 뉴스를 산업·기업·이슈별로 2020년 1년 전체 수치와 비교했다.  

 
이코노미스트·지속가능발전소 시가총액 500대 기업 ESG 리스크 공동 조사
지속가능발전소는 2013년 10월에 출범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업 ESG 데이터 분석 전문 기업이다. 이 회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 표준인 ISO26000에 기반을 두고 17가지 이슈로 뉴스를 분류한다. E(환경)에서 화학물질 및 오염 사고, 기후변화 등 4가지, S(사회)에서 근무환경, 사업장 안전보건 위반 등 7가지, G(지배구조)에서 도덕성, 임원의 보상 문제 등 6가지다. 이를 바탕으로 점수와 등급을 매겨 낮음(점수 0.0~0.9)에서 심각(4.0~5.0) 등 5가지 단계로 분류한다. 12개 섹터는 S&P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1999년에 공동 개발한 증권시장 전용 산업 분류 기준인 ‘글로벌 산업 분류 기준(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GICS)’에 따라 나눴다. 
 
우선 ESG 사건·사고가 발생한 기업 수는 올해 276개(중복 제외)로 지난해(248개)보다 28개 늘었다. 불공정 관행(119개→135개), 기후변화(12개→27개), 사업장 안전보건 위반(58개→72개), 소비자 문제(119개→132개) 등의 이슈에서 문제가 불거진 기업이 증가했다. 이와 달리 경영권 분쟁은 지난해 16건에서 올해 15건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소비자·지역사회·협력업체 상생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 문제에 관심이 더욱 집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ESG 사건·사고가 발생한 기업 중 ESG 이슈별 비율(중복 포함)은 사회(83.7%) 〉지배구조(66.67%) 〉환경(16.67%) 순이었다. 지난해에도 사회(85.08%) 〉지배구조(66.54%) 〉환경(12.5%)으로 순서는 같았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지난해보다 환경 문제가 좀 더 늘었다. 특히 환경 관련 ESG 사건·사고가 발생한 기업 수가 지난해보다 15개(48%)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발전소 관계자는 “지난해 대비 분석 기간이 2개월이나 짧은 데도 기후변화 관련 이슈가 더 많이 발생한 탓이 컸다”며 “예년과 달리 제조 등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군에서 환경 관련 이슈가 불거진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사회 부문에서는 노사갈등 등 근무환경 관련 뉴스가 지난해보다 78%, 협력 업체와 연관된 공급망 리스크 뉴스가 78% 각각 늘었다. 
 
ESG 리스크가 가장 많이 증가한 섹터는 정보통신기술(65.52%) 〉필수소비재제조(62.5%) 〉산업재(59.09%)〉소재(53.33%) 순이었다. 전체에서 가장 리스크 큰 기업 10개 중 3개가 정보통신기술(KT·카카오·네이버) 섹터에서 나왔다. 서비스 중단, 개인정보 유출, 플랫폼 갑질, 골목상권 침해 등이 문제가 됐다.  필수소비재 제조 섹터에서는 SPC삼립(노조·대리점 갈등), 삼양식품(탈세), 애경산업(가습기 살균제 무죄) 등에서 ESG 사건·사고가 발생했다. 산업재 섹터에서는 HDC현대산업개발(산업재해), 두산중공업(사망사고, 기술 보호 절차 위반), 현대중공업(산업재해· 파업, 현대건설(사망 사고, 노사 갈등, 하도급법 위반) 등이 논란이 됐다. 
 
이코노미스트·지속가능발전소 시가총액 500대 기업 ESG 리스크 공동 조사
전체 분석 대상 기업 중 상장사가 5개 이상인 대규모 기업집단 가운데는 현대차·삼성·롯데·현대중공업· LG가 도마 위에 올랐다. 현대차그룹에서는 현대차, 삼성그룹에서는 삼성전자, 롯데그룹에서는 롯데쇼핑, 현대중공업그룹에서는 현대중공업, LG그룹에서는 ㈜LG의 리스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공급망 리스크, 협력업체 직원의 근무환경과 사업장 안전보건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 삼성그룹의 경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국정농단 관련 의혹과 프로포폴 불법 투약 혐의 등으로 도덕성 리스크가 증가했다. 롯데그룹에서는 롯데쇼핑의 뇌물·횡령 의혹, 롯데건설의 법인세 포탈 의혹 사건 등으로 도덕성 리스크가 상승했다. 현대중공업에서는 5년간 중대 재해만 20건 넘게 발생했고, 이런 안전 관리 시스템 관리 소홀에 따른 산재 재발 등이 문제로 떠올랐다. LG그룹에서는 LG유플러스 담합 의혹, LX 상표 사용권과 그에 따른 LX홀딩스의 사업 활동 방해 소송 분쟁, LG생활건강의 가맹점 갑질, LG전자 관련 특허소송 등 불공정 관행 리스크가 발생했다. 재계 관계자는 “대기업에서도 ESG 관련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ESG 경영 확산에 따라 관련 리스크는 앞으로 점점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남승률 기자 nam.seungryul@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축구 40년만에 올림픽 좌절…홍준표, 한국축협회에 또 ‘쓴 소리’

2민희진 vs 하이브 '노예 계약' 공방...진실은 어디로

3‘빅5’ 병원 ‘주 1회 셧다운’ 예고…정부 “조속히 환자 곁으로”

4尹대통령-이재명 29일 첫 회담…“국정 현안 푸는 계기되길”

5이부진 표 K-미소…인천공항 온 외국 관광객에게 ‘활짝’

6목동14단지, 60층 초고층으로...5007가구 공급

7시프트업, ‘니케’ 역주행 이어 ‘스텔라 블레이드' 출시

8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6월 26일 출시 확정

9‘보안칩 팹리스’ ICTK, 코스닥 상장 도전…“전 세계 통신기기 안전 이끌 것”

실시간 뉴스

1한국축구 40년만에 올림픽 좌절…홍준표, 한국축협회에 또 ‘쓴 소리’

2민희진 vs 하이브 '노예 계약' 공방...진실은 어디로

3‘빅5’ 병원 ‘주 1회 셧다운’ 예고…정부 “조속히 환자 곁으로”

4尹대통령-이재명 29일 첫 회담…“국정 현안 푸는 계기되길”

5이부진 표 K-미소…인천공항 온 외국 관광객에게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