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값 상승 요인 1위, 실질 CD금리…46.7% 비중 차지

국토연구원이 24일 발표한 국토이슈리포트 ‘주택가격 변동 영향요인과 기여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주택시장이 과열되면서 변동성이 확대됐다. 주택가격 상승의 주요인으로는 저금리, 국내 실물경기 둔화, 주택공급 감소, 가구 수 증가 등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은 요인은 저금리 체계의 시장 금리라고 분석했다. 한국부동산원 지수 분석 결과 집값 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한 원인은 ‘실질 CD 금리’로 46.7%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전월 주택가격’(26.4%), ‘실질 제조업 생산지수’(24.1%), ‘전체 주택 준공물량’(2.1%), ‘세대수’(0.7%)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주택가격 상승 원인으로 꼽혔던 공급 부족, 1인 가구 증가 등의 요인은 금리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주택 준공물량은 구조전환 전 3.8~8.1%에서 구조전환 이후 4.7~9.9% 수준이었고, 세대수는 구조전환 전 11.6~17.3%에서 구조전환 이후 0.7~5.0%로 감소했다.
보고서는 공급 부족, 1인 가구 증가 등 최근 집값 상승 원인으로 주목받았던 수요 증가 요인은 금리 요인에 비해 주택가격 상승에 기여한 수준이 높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이태리 연구위원은 "주택매매가격 정보를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하면 주택가격변동률이 현재의 물가상승률과 마찬가지로 중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주택가격이 다른 물가지표에 비해 변동폭이 커 물가상승률의 변동성도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물가안정목표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물가지표에 주택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과 시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지윤 기자 park.jiyo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종근당, 내달부터 비만약 ‘위고비’ 판다…한국노보노디스크와 맞손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19살차 아내 죽으면 보험금으로…충격 사연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드디어 '8만전자' 돌아왔다…SK하이닉스도 '불기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상법개정에 매각 줄줄이 좌초 우려…상장사 매물 든 PEF ‘고심’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지는 ‘ECM 스킨부스터’ 시장…호시절 끝나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