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값 상승 요인 1위, 실질 CD금리…46.7% 비중 차지

국토연구원이 24일 발표한 국토이슈리포트 ‘주택가격 변동 영향요인과 기여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주택시장이 과열되면서 변동성이 확대됐다. 주택가격 상승의 주요인으로는 저금리, 국내 실물경기 둔화, 주택공급 감소, 가구 수 증가 등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은 요인은 저금리 체계의 시장 금리라고 분석했다. 한국부동산원 지수 분석 결과 집값 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한 원인은 ‘실질 CD 금리’로 46.7%의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전월 주택가격’(26.4%), ‘실질 제조업 생산지수’(24.1%), ‘전체 주택 준공물량’(2.1%), ‘세대수’(0.7%)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주택가격 상승 원인으로 꼽혔던 공급 부족, 1인 가구 증가 등의 요인은 금리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주택 준공물량은 구조전환 전 3.8~8.1%에서 구조전환 이후 4.7~9.9% 수준이었고, 세대수는 구조전환 전 11.6~17.3%에서 구조전환 이후 0.7~5.0%로 감소했다.
보고서는 공급 부족, 1인 가구 증가 등 최근 집값 상승 원인으로 주목받았던 수요 증가 요인은 금리 요인에 비해 주택가격 상승에 기여한 수준이 높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이태리 연구위원은 "주택매매가격 정보를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하면 주택가격변동률이 현재의 물가상승률과 마찬가지로 중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주택가격이 다른 물가지표에 비해 변동폭이 커 물가상승률의 변동성도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물가안정목표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물가지표에 주택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과 시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지윤 기자 park.jiyo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무정자증’ 인데...AI가 3개 찾아내, 18년만 임신 성공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승우 이혼설 논란?…김남주, 입 열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카드 배송왔어요"…'그 전화' 한통에 그녀의 삶이 무너졌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금융자산·차입금 정보 깜깜…“공시보고 투자 판단 가능하겠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AI 피부암 재생치료 임상 성공' 로킷헬스케어 ↑…'매각설' 압타머사이언스 ↓[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