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마감 뒤 아마존·스냅 예상 넘는 실적 발표…시간외거래에서 두 자릿수 급등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 주가는 전날보다 7.81%(235.34달러) 내린 2776.91달러에 장을 마쳤었다. 메타가 이날 하루에만 26.39% 급락하면서 증시 전반에 악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아마존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14.24% 오르고 있다.
예상을 웃도는 순이익이 영향을 미쳤다. 2020년 4분기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143억2300만 달러(17조3000억원)을 벌어들였다.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이 지난해 11월 상장하면서 120억 달러를 시세 차익으로 거둔 영향이 컸다. 아마존은 리비안 주식 지분 22.4%를 갖고 있다.
미래 성장동력으로 꼽는 광고와 클라우드 사업 부문도 크게 성장했다. 클라우드 사업을 담당하는 아마존웹서비스(AWS) 매출은 177억8000만 달러로 2020년 같은 기간보다 40% 가까이 늘었다. 아마존 광고 매출도 같은 기간 33% 성장하며 지난해 4분기 97억1600만 달러의 수익을 거뒀다.

스냅은 글로벌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스냅챗을 운영하고 있다. 이 업체는 장 마감 이후 공개한 4분기 실적에서 2260만 달러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1년 스냅챗 출시 이후 첫 분기 흑자다. 분기 매출도 2020년 같은 기간보다 42% 늘어난 13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때 경쟁에서 밀리며 4억 달러에 이르는 대규모 분기 적자를 기록했던 스냅은 증강현실(AR) 카메라 기술을 바탕으로 재도약했다. 스냅은 앱에서 의류를 가상으로 착용해볼 수 있는 ‘AR 트라이온’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덕분에 지난해 4분기에 매일 평균 3억1900만명이 스냅챗을 사용할 만큼 사용자가 늘었다. 직전 분기보다 1300만명 늘었다.
에반 스피겔(Evan Spiegel) 스냅 최고경영자는 실적을 발표하면서 “우리 핵심 비즈니스의 강점은 증강현실”이라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글로벌 유일 임플란트크라운블록 앞세운 하스, 실적 반등 예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박명수 “정신과 가끔 간다, 내과보다 붐벼” 고백 (라디오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러다 중국이 가장 먼저 탄소중립?' 농담 나오는 이유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신평 3사, 롯데지주·롯데케미칼 신용등급 일제히 강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4연상했던 에이비온, 29.75% 급락한 사연…유틸렉스 ‘강세’[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