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해외 진출 기업 국내로 돌아오면 일자리 8만6000개 생긴다”
- 전경련, 리쇼어링 효과 분석…“복귀 기업에 인센티브 줘야”
국내 생산액 36조2000억원 증가 예상

리쇼어링(re-shoring)이란 해외로 나갔던 기업이 본국으로 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기업의 생산기지 해외이전을 뜻하는 오프쇼어링(off-shoring)에 반대 개념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한국수출입은행의 ‘해외직접투자 경영분석’ 보고서를 통해 리쇼어링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해외에서 철수를 계획하는 국내 제조기업이 복귀하면 8만6000개의 일자리가 새로 만들어질 것이라고 9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에서 ‘투자 철수를 계획하고 있다’고 응답한 해외 진출 제조기업의 비율은 4.6% 수준이다. 이 기업이 모두 국내로 복귀하면 일자리가 자동차 1만2000개, 도소매 1만2000개, 육상운송 4971개, 전기·전자 4730개, 제조 임가공 4527개 등 새로 생길 수 있다는 뜻이다.
해외 진출 국내 제조기업의 매출액 중 4.6%가 국내에서 발생하면 국내 생산액은 36조2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자동차 분야에서만 8조6000억원, 전기·전자 6조원, 1차 금속 2조8000억원, 전기장비 2조4000억원, 화학 2조2000억원 수준이다. 국내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는 11조4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전경련은 해외에 진출한 국내 제조기업의 실적이 악화하는 지금 이들의 복귀를 위해 혜택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0년 기준 해외 진출 제조기업 한 곳당 평균 매출액은 1132억8000만원, 영업이익은 21억6000만원, 당기순이익은 8억3000만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8.9%, 영업이익은 48.7%, 당기순이익은 60.5% 감소했다.
전경련은 중국의 인건비 상승 등 해외 현지법인의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수익성이 악화했다고 분석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공급망이 재편되고 실적이 악화하는 지금이 해외로 나간 우리 기업들의 복귀를 촉진할 기회”라며 “리쇼어링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동시에 규제 완화와 노동시장 유연화 등 근본적으로 기업 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 뷰노, 유럽서 딥카스 판매허가...EU 파트너 계약으로 매출 급등 예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서로 잘 던졌으면" 675일 만에 성사된 역대 9번째 '광현종' 맞대결…김광현이 웃었다 [IS 포커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통큰' 지원 절실…AI 인프라 확충 필수 조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SK증권 대주주라 믿었는데"…맥케이슨 매각 무산에 협력사만 피눈물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에스엘에스바이오·킵스파마 上…다가오는 여름에 비만약 관심 ↑[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