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건스탠리, "이더리움의 상위 100개 주소, 전체 39% 육박" 경고
지난해 이더리움 60일 변동성, S&P500 7배
데이터 처리 능력과 수수료 문제도 성장 걸림돌
비트코인을 뛰어넘을 것이란 엇갈린 전망도

지난달 31일(현지시각) 모건스탠리는 ‘암호화폐 201: 이더리움이란 무엇인가?(Cryptocurrency 201: What Is Ethereum?)’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더리움의 높은 변동성도 문제로 지적됐다. 2018년 이후 이더리움의 60일 변동성은 S&P500지수보다 4~5배, 비트코인보다는 약 30% 높았다. 특히 지난해 이더리움의 60일 변동성은 S&P 500지수의 7배에 달했다.
또 모건스탠리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이 디파이(DeFi·탈중앙화 금융)와 대체불가능토큰(NFT)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된 점을 두고 “스마트 컨트랙트(계약) 플랫폼을 위한 완전히 새로운 시장을 창출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솔라나, 카르다노(에이다) 등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 코인이 현재 이더리움의 독보적인 시장점유율을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도 함께 나왔다.
현재 이더리움은 경쟁 코인들보다 데이터 처리 능력이 떨어지고, 거래 수수료가 비싼 단점이 있다. 보고서는 “향후 이더리움의 스토리지(저장공간) 수요가 변경되지 않는 한, 리소스를 초과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또한 “높은 거래 수수료로 이미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소액 거래를 하기엔 너무 비싸다”고 지적했다.

데니 갈린도 모건스탠리 투자전략가는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비트코인보다 2배가량 빠른 성장을 보였지만, 현재의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이용자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켈리 CEO는 “향후 1·3·5년 동안 블록체인의 성장은 전례가 없을 것이며, (이런 환경에서) 이더리움이 자신의 역할을 잘해낼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더리움 선물 상장지수펀드(ETF)가 내년께 출시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이더리움 가격은 20일 오전 12시 25분 업비트 기준 24시간 전 대비 3.12%(10만7000원) 내린 332만1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업비트 종가 기준으로 16일부터 5거래일 연속 하락 중이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석차옥 갤럭스 대표 "첫 韓 AI신약개발 빅파마 계약 가능성…10번 이상 만났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태민 "日 지진 발언 경솔"…뭐라 했길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이주비 규제해 투기 막겠다" 정부 셈법에…'졸속 규제' 논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산한 회사채 시장… 7년물 발행하는 HD현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거품 꺼지는 바이오]①사면초가 바이오벤처, 자금 고갈에 속속 매물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