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한화자산운용, “증시 하락땐 美 대체자산 ETF 분산투자 추천”
- 분산투자·포트폴리오 다각화·인플레이션 헤지 기대
칼라일, KKR 등 美 대형 대체투자 전문기업에 투자

이 ETF는 매출이나 운용자산의 최소 75% 이상이 대체자산으로 구성된 미국 상장 대형기업 10종목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대체투자는 기존 주식과 채권이 아닌 PE(Private Equity), 부동산, 인프라, 사모펀드 등 기타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해당 ETF 구성 종목은 세계 3대 사모펀드 운용사인 블랙스톤,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칼라일그룹, 인수합병 전문 회사인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 등 글로벌 대체투자 전문회사가 다수 포함됐다.
대체투자 전문회사는 운용보수뿐만 아니라 성과보수, 투자수익 등 다양한 수익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포트폴리오가 장점으로 꼽힌다. 자산의 분산투자 효과와 대상 자산의 상당수는 실물자산으로 인플레이션 위험 회피(헤지)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의 경우 자회사인 아테네홀딩스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아 연금과 보험 사업 등 시너지 효과를 내는 식이다.
그러나 개인투자자의 대체투자 접근성은 낮은 수준이다. 비교적 큰 투자 금액이 필요해 고액 자산가와 기관투자자 위주로 시장이 형성돼왔다. 최소 3년에서 7년 이상의 장기 투자가 필수적이어서다. 투자 인원 제한 등 조건도 있다. 따라서 개인투자자가 대체투자를 하기 위해선 ETF를 통해 대체투자 전문회사에 투자하는 것이 유효한 전략이라는 것이 한화자산운용 측 설명이다.
한화자산운용은 “글로벌 대표 기업인 블랙스톤 시가총액은 약 168조원으로 뉴욕거래소 기준 시총 45위다”라면서 “각 대체전문 기업이 잘하는 분야가 부동산, 인수합병 등 다른 만큼 자연스러운 분산 투자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성훈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올해 나스닥 지수가 20% 급락하기도 하는 등 증시가 하락한 상황에 대체자산 투자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것은 좋은 투자 전략 중 하나”라며 “대체투자는 투자 기간이 길지만, 전통자산보다 높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올해 상반기 신규 상품 출시 계획도 밝혔다. 김 본부장은 “7월 ‘ARIRANG TDF 액티브 2030·2040·2050·2060’을 출시해 생애주기별로 위험 및 안전자산을 배분할 예정”이라면서 “각 연령대별로 은퇴 기간을 대비할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문신에 놀라" 주진우 "국민 구출하랬더니 범죄자만 잔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연경, 운명의 한일전 승부수…히든카드 출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아묻따 매도" 지역은행 부실 '도미노' 우려…흔들리는 美증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분기에도 회사채 활황…에쓰오일·고려아연 줄줄이 대기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알테오젠, 올해 기술료 수확 2건 더 남았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