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대유행 때 풍년 누린 게임사들
방역 완화로 희비 교차 양극화 조짐도

하지만 최근 게임업계 수요는 코로나19가 엔데믹(endemic 감염병이 주기적으로 발생하지만 치명률이 낮거나 풍토병으로 고착되는 현상)으로 접어들면서 주춤거리고 있다. 일부에선 급감 추세도 나타나고 있다.
게임 제작사들이 ‘던전앤파이터’, ‘디아블로 이모탈’, ‘미르 M’,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등 신작들을 잇따라 발표하며 엔데믹 전환에 따른 수요 이탈 방지에 나서고 있는 한 배경이기도 하다. 실외 활동이 늘면서 쇼핑·요행·외식 관련 업계로 매출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도 섞여 있다.

지난 5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 기준, 설치기기수가 가장 많은 게임 앱은 메타버스 게임 플랫 ‘로블록스(Roblox)’(약 329만6000대)다. 이어 ‘브롤스타즈’(약 327만6000대), ‘마인크래프트’(약 278만9000대), ‘배틀그라운드’(약 241만대), ‘무한의계단’(약 240만9000대) 순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자동차 경주 게임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약 239만3000대)가 꼽혔으며 ‘포켓몬GO’(약226만대), 클래시로얄(약 159만7000대), 어몽어스(약 147만3000대), 좀비고등학교(약 115만대)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5월 대비 올해 5월 MAU 증감률은 포켓몬GO(67.2%), 로블록스(32.4%), 클래시로얄(14.2%)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반면 마인크래프트(-12.1%), 무한의계단(-13.9%), 브롤스타즈(-22.0%), 좀비고등학교(-24.5%), 배틀그라운드(-34.2%)는 감소세를 나타내 대조를 보였다. 특히 젊은 층에게 큰 인기를 끌었던 어몽어스(-67.3%)의 MAU가 크게 감소해 큰 격차를 나타냈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루닛, APEC 정상회의서 암 진단 AI솔루션 시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法 “뉴진스-어도어 전속계약 유효...회사 남아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韓핵잠 승인…美극비 기술 공유하나, 中자극 우려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코인社 M&A’ 본격화…거래소·커스터디 대형화 가속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네오켄바이오, 국내 첫 GMP 의료용 대마 생산시설 내달 착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