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우마무스메’ 흥행, 미소녀 내세운 서브컬처 게임 열풍으로 이어지나?
- 과거 소수 마니아 전유물에서 주류 장르로 탈바꿈
우마무스메, 구글 매출 2위 달성

서브컬처는 사회의 일반적인 주류문화가 아닌 ‘하위문화’를 뜻한다. 게임업계에서는 미소녀 수집형 RPG 등을 보통 서브컬처 게임이라고 부른다.
사실 서브컬처 게임이 본격적으로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지난 2012년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당시 출시된 모바일 서브컬처 게임 ‘확산성 밀리언아서’는 국내 유저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당시만 해도 서브컬처 게임은 소수의 마니아에게만 인기가 많은 게임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실제로 당시 대중적인 인기를 끈 게임은 ‘애니팡’ 등 캐주얼 장르 게임이다. 이후 대형 게임사들이 모바일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모바일 MMORPG가 새로운 주류로 급부상했다.
서브컬처 게임이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7년 관련 게임들이 큰 인기를 끌면서부터다. 넷마블은 일본 인기 지적재산권(IP)인 ‘페이트 시리즈’를 활용한 모바일게임 ‘페이트/그랜드 오더’를 국내에 들여왔다. 중국 게임사 X.D.글로벌은 ‘소녀전선’을 국내 시장에 선보였다.
특히 소녀전선은 ‘착한 과금’으로 입소문을 타며 장기간 구글 플레이스토어 매출 상위권을 기록했다. 이후 출시된 중국 게임사 요스타의 ‘명일방주’와 넥슨의 ‘카운터사이드’ 등도 서브컬처 게임의 인기를 확고히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중국 게임사들도 국내 출시와 관련해 서브컬처 장르 게임들을 주로 선보이고 있다. ‘소녀전선’, ‘명일방주’, ‘백야극광’ 등은 모두 중국 게임사들의 작품이다.
전문가들은 서브컬처 장르가 소위 ‘돈이 된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관련 장르 개발에도 속도가 붙은 것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서브컬처 게임들은 캐릭터 수집 요소를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다. 게임사 입장에서는 새로운 캐릭터를 출시할 때마다 돈을 벌 수 있는 구조다.
MMORPG 장르 게임들이 아이템 강화와 변신·펫 뽑기 등을 통해 돈을 번다면 서브컬처 게임들은 캐릭터 일러스트 등을 통해 돈을 버는 것이다. MMORPG와 비교해 게임 볼륨이 작다는 점에서 소위 ‘가성비’가 좋은 셈이다. 아울러 각 캐릭터마다 스토리가 부여되기에, 팬덤 효과가 발생하기도 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 가수에 쓰는 돈이 아깝지 않은 것과 비슷한 이치다.
일각에서는 비슷비슷한 RPG 장르에 지친 유저들이 새로운 장르 찾기에 나선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RPG 장르 특성상 전체적인 분위기가 비슷비슷할 수밖에 없다”며 “범람하는 RPG에 지친 유저들이 상대적으로 플레이가 간편한 미소녀 게임에 눈을 돌린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원태영 기자 won77@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마켓인]회사채 발행 나서는 CJ CGV, 폭염 덕 볼까
성공 투자의 동반자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박수홍♥' 김다예, 50㎏대 폭풍 다이어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코스피 5000 갑니다"...상법 개정, 그다음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왓챠, CB 투자자가 회생절차 신청…"철회 요청, 협의 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큐렉소, FDA 늦어도 방향성 확실…이익·주도권 쥐고 미국시장 공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