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단체도 경찰 지휘부도 거제로…전운 감도는 대우조선

윤 대통령은 19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 출근길에 대우조선 하청업체 노조 파업에 대해 공권력 투입을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공권력 투입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산업 현장에 있어서, 또 노사 관계에 있어서, 노든 사든 불법은 방치되거나 용인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청사에서 주재한 제32회 국무회의 모두 발언에서도 “불법적이고 위협적인 방식을 동원하는 것은 더 이상 국민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업계와 정부부처 등에 따르면 대우조선 하청업체 노조의 1독(dock) 점거로 현재까지 손실액은 6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대우조선 사내 하청 노조가 지난 6월 22일부터 독을 불법 점거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손실액은 6000억원을 넘겼다”고 밝혔다. 이어 “추가적인 주문이 끊기면서 중소 협력업체 7곳이 도산을 하는 등 협력업체 중소기업들의 피해는 매우 극심하다”며 “최근의 원자재 가격 인상, 고환율, 고금리 등 3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중소 조선업체에는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치명타가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우조선 하청업체 노조 파업으로 국내 조선 산업이 치명타를 입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이날 호소문을 내고 “하청 노조의 불법 파업은 조선 산업 재기 몸부림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고 밝혔다. 또한 “진수(進水)가 지연되는 것은 조선업 이래 최초의 사태”라며 “과거에도 혼란스러운 파업의 시기가 있었지만, 노조가 독을 점거하고 인도할 선박을 볼모로 삼지는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의 파업은 대우조선만 어렵게 하는 것이 아니다”며 “향후 중소 조선업과 기자재업계로 피해가 확산돼 국내 조선 산업이 불투명한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호소했다.
거제 집결하는 노동계‧시민단체…일부선 충돌 우려도
노동계와 시민단체들이 대우조선 하청업체 노조 파업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 후보자는 이날 오전 헬기를 타고 거제로 향했다. 두 사람은 경남 거제경찰서장으로부터 파업 관련 보고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정부부처 안팎에선 “행정안전부 장관과 경찰청장 후보자가 기업 파업 현장을 방문한 것이 이례적인 만큼, 공권력 투입이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이 나온다. 일부에선 “노동계와 경찰의 충돌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무정자증’ 인데...AI가 3개 찾아내, 18년만 임신 성공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승우 이혼설 논란?…김남주, 입 열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카드 배송왔어요"…'그 전화' 한통에 그녀의 삶이 무너졌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금융자산·차입금 정보 깜깜…“공시보고 투자 판단 가능하겠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AI 피부암 재생치료 임상 성공' 로킷헬스케어 ↑…'매각설' 압타머사이언스 ↓[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