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위정현 게임학회장 “NFT 게임은 장기적으로 바람직…P2E는 거품 꺼져”
- 텐센트 한국게임산업협회 이사社 가입 ‘유감’
“질병코드 도입 관련해, 문체부 장관이 반대 입장 확실히 밝혀야”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은 21일 서울 강남구 토즈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P2E가 게임의 미래라는 이야기가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P2E 시장에서 상업적으로 성공했다고 볼 수 있는 ‘엑시인피니티’도 게임으로서는 수명을 다해가고 있다”며 “루나 사태 이후 운영사에 대한 불신이 증가했고 이와 동시에 P2E 게임에 대한 기대감도 떨어진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위 학회장은 국내 게임사들도 P2E 게임을 다수 출시하고 있지만, 위메이드의 ‘미르4 글로벌’을 제외하고 이렇다 할 성공 사례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P2E가 확률형 아이템을 판매하기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며 “확률형 아이템의 고리를 끊는 것이 먼저”라고 강조했다.
이어 “P2E에 대해 정부 규제로 접근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며 “이용자에게 소유권을 주고 거래를 할 수 있게 하는 NFT 게임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P2E 대신 NFT 게임을 도입하고 점차 유저간 거래를 확대하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위 학회장은 최근 중국 텐센트가 한국게임산업협회에 이사社로 들어온 점에 대해서는 강하게 비판했다. 위 학회장은 “게임산업협회는 텐센트 가입을 유보할 수 있었으나 별 논란 없이 통과시켰다”며 “텐센트가 한국 게임사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사社로 들어온다면, 중국이 국내 게임산업에 대한 동향을 모두 파악할 수 있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사社는 협회 주요 안건을 모두 공유받기에 이사社가 아닌 일반 회원社로 가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위 학회장은 정부가 중국 판호 발급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 방법의 하나로 정부의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제시했다.
그는 “판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쳐버렸다”며 “컴투스의 ‘서머너즈 워:천공의 아레나’ 판호 발급 이후 후속조치가 이뤄져야 했으나 정부는 방관했다”고 지적했다.
최근 정부의 게임 질병코드 도입 움직임에 대해서는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게임이용 장애 질병코드 국내도입 문제 관련 민·관 협의체’가 2020년 연구용역을 맡긴 보고서 세 편이 최근 완료됐다”며 “그중 두 편이 질병코드 도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 학회장은 “지난 2019년에 게임질병코드 등재를 막을 수 있던 건 당시 박양우 전 장관을 비롯한 문체부의 반대가 큰 역할을 했다”며 “박보균 장관 또한 박양우 전 장관처럼 명확한 반대 입장을 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태영 기자 won77@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마켓인]회사채 발행 나서는 CJ CGV, 폭염 덕 볼까
성공 투자의 동반자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수홍♥' 김다예, 50㎏대 폭풍 다이어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코스피 5000 갑니다"...상법 개정, 그다음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왓챠, CB 투자자가 회생절차 신청…"철회 요청, 협의 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큐렉소, FDA 늦어도 방향성 확실…이익·주도권 쥐고 미국시장 공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