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코오롱글로벌' 검색결과
4 건

대한항공이 항공기 엔진 정비 역량을 확충하고 항공 MRO(항공기·엔진 부품 등 정비 작업)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인천 영종도 운북지구에 엔진 정비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2027년 신(新) 엔진 정비 공장이 문을 열면 대한항공은 아시아에서 가장 큰 항공 정비 단지를 갖게 된다.대한항공은 14일 오후 인천 중구 운북동 부지에서 신 엔진 정비 공장 기공식을 열었다. 기공식에는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등 임직원과 유정복 인천시장, 맹성규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국토교통위원), 배준영 국민의힘 의원(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윤원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 등이 참석했다.조원태 회장은 기공식 기념사에서 “엔진은 항공기가 하늘을 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장치로, 인체의 심장과 같은 역할”이라며 “고도의 엔진 정비 능력을 확보한다는 것은 기술력 보유의 의미를 넘어 항공기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오늘 첫 삽을 뜨는 새로운 엔진 정비 공장이 무사히 완공돼 대한항공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항공사로 자리매김하는 기반이자, 대한민국 항공 MRO 사업 경쟁력 강화의 요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계자 여러분께서 끝까지 최선을 다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신 엔진 정비 공장은 지하 2층, 지상 5층 건물이며 연면적 14만211.73㎡ 규모다. 공사에는 총 5780억원이 투입된다. 시공은 코오롱글로벌이 맡는다. 위치는 대한항공이 2016년부터 운영 중인 엔진 시험 시설(Engine Test Cell·ETC) 바로 옆이다.대한항공은 부천 공장에서 항공기 엔진 정비를, 영종도 운북지구 ETC에서 엔진 출고 전 최종 성능 시험을 해왔다. 운북지구 엔진 정비 클러스터에서는 항공기 엔진 정비의 시작과 마무리를 한 곳에서 소화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대한항공의 항공기 엔진 정비 역량도 강화된다. 정비 가능한 엔진 대수가 연 100대에서 360대로 늘어나고, 다룰 수 있는 항공기 엔진 종류도 다양해진다. 현재 대한항공은 ▲프랫앤휘트니(PW)사의 PW4000 시리즈 및 GTF 엔진 ▲CFM인터내셔널(CFMI)사의 CFM56 ▲제너럴일렉트릭(GE)사의 GE90-115B 엔진 등 총 6종에 대한 오버홀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대한항공은 GE의 GEnx 시리즈, CFMI의 LEAP-1B를 포함해 정비 가능한 엔진 모델 수를 총 9종으로 늘릴 계획이다. A350의 Trent XWB 엔진 등 아시아나항공 보유 항공기 엔진에 대한 타당성 검토도 진행할 예정이다.이번 엔진 정비 클러스터 구축으로 대한항공은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내 항공 MRO 산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대한항공 엔진 정비 클러스터가 구축되면 관련 인력 고용이 총 1000명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대한항공이 오버홀 정비 능력을 강화함에 따라 국내 항공업계의 해외 정비 의존도를 낮추고, 외화 유출도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대한항공 엔진 정비 공장은 국내 유일의 민간 항공기 엔진 정비 전문 시설이다. 대한항공은 1976년 보잉 707 항공기 엔진 중정비 작업을 시작한 뒤 현재까지 5000대 가까운 엔진을 재탄생시켰다. 2004년부터는 타 항공사 엔진도 수주해 성공적으로 납품하고 있다. 자회사 진에어를 포함한 국내 항공사 일부와 델타항공, 중국 남방항공 등 해외 항공사의 엔진을 수주받은 바 있다.대한항공의 높은 정비 기술력은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평가받았다. 우리나라와 미국 연방항공청(FAA), 유럽 항공안전청(EASA), 중국 민용항공국(CAAC) 등 국내외 관계 당국 13곳으로부터 감항 인증을 받았다.
2024.03.14 16:47
3분 소요
코오롱글로벌은 지난 13일 경기 과천 코오롱타워에서 ‘창립 62주년 기념식’을 가졌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 사장은 “사업구조를 재편하고 사업방식과 시스템을 전환해 사업에 지속성을 부여해야 한다”며 “중장기 성장사업인 풍력과 개발, 수처리, 모듈러 등 동력을 지속 확보하면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코오롱글로벌은 이번 행사에서 올해 실적과 중장기 성장 비전을 밝혔다.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9월 기준 실적을 집계한 결과, 건축부문 2조226억원, 인프라부문 7182억원 등 총 2조7408억원의 누적 수주액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실적(2조4000여억원)을 넘어서는 것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연간 3조원대 신규 수주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오롱글로벌의 전체 수주 잔고는 10조8000여억원에 달한다. 코오롱글로벌은 신성장동력 확보에도 힘쓴다. 풍력, 수처리 등 친환경기술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자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한다. 육상 풍력발전 부문에서는 점유율 1위를 고수하고 있다. 건축 부문은 ‘모듈러 기술’을 앞세워 성장세를 이어갈 예정이다. 모듈러 공법은 구조체를 포함해 건축 부재의 70% 이상을 공장에서 사전 제작 후 공사 현장에서는 설치와 내외장 마감 등만 진행하는 것이다. 또 ‘저에너지 분리막(멤브레인) 수처리 기술’을 통해 수처리 사업도 확대한다. 김정일 대표이사 사장은 “산업 흐름에 부응하게 사업구조를 재편하고 사업방식과 시스템을 전환해 사업에 지속성을 부여해야 한다”며 “중장기 성장사업인 풍력과 개발, 수처리, OSC(모듈러) 등 동력을 지속 확보하면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wavelee@edaily.co.kr
2022.10.14 14:22
1분 소요
코오롱글로벌이 충청북도-충주시와 중부권 수소생산 거점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코오롱글로벌은 충청북도, 충주시와 함께 동대문 JW메리어트호텔에서 ‘청정수소 밸류체인 구축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 사장, 김영환 충북도지사, 조길형 충주시장, 이종배 국회의원 등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코오롱글로벌과 충북, 충주시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과 2050 탄소 중립 실현을 목표로 청정수소 생산‧활용 사업 추진 등에 상호 협력한다. 단일 사업이 아닌 중장기적 사업 추진 협력의 내용이 포함돼 있어 의미가 그만큼 크다는 게 코오롱글로벌의 설명이다. 코오롱글로벌은 내륙 중심의 지리적 이점과 충주댐, 태양광발전 등 풍부한 재생에너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충주시를 중부권 청정수소 생산‧공급을 위한 ‘수소생산거점’으로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이번 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2000억원이 투자되는 블루수소 생산·활용 사업 기준, 설비 운영 기간 동안 2200여명의 직·간접 일자리 창출과 고용유발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또한 하루 약 1200대의 수소차를 충전할 수 있는 청정수소를 공급하는 등 수소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 사장은 “코오롱글로벌은 2011년부터 풍력에너지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해 현재 국내 풍력발전 사업의 25%를 담당하는 등 재생에너지 사업 확대를 통한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하여 꾸준한 노력을 해왔다”며 “이제는 그 영역을 수소산업으로 확장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등의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김두현 기자 wannaDo@edaily.co.kr
2022.07.06 17:29
2분 소요![[CEO DOWN l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 준비 없는 서울 정비사업 진출…‘들러리’ 논란까지](https://image.economist.co.kr/data/ecn/image/2022/03/11/ecn6bce5fe0-8043-4843-8096-8621fcb3f788.353x220.0.jpg)
코오롱글로벌이 정비업계에서 웃음거리로 전락했다.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을 달성한 이후 올해 서울 도시정비사업 진입을 시도했지만, 존재감은 찾을 수 없었다. 더욱이 이렇다 할 준비도 하지 않은 채 입찰에 참여해 경쟁사를 도와주는 '들러리' 역할까지 하면서 웃음을 사고 있다. 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코오롱글로벌의 주택사업 전략에 '원칙'과 '전략'이 보이질 않는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지난해 12월 정기 임원인사에서 실적 상승을 이끌었던 임원들이 대거 보직 해임된 이후 나타난 현상이다. 8년간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를 맡아 사상 최대 실적을 이끌어 온 윤창운 그룹 부회장은 명목상 승진했지만, 보직을 잃었고, 장동권 전 부사장(건설부문장)은 일선에서 물러나 퇴사했다. 이들이 물러난 자리는 코오롱인더스트리 부사장 출신 김정일 대표이사 사장이 메꿨다. 필름사업을 맡아오던 인물로 건설 산업과는 거리가 있다. 김정일 사장은 취임과 동시에 서울 지역 도시정비사업 진출에 박차를 가했다. 지방사업장에서 주력인 지역주택조합 사업과 정비사업, 민간도급 영역에서 고른 성과를 보이며 지난해 창사 이래 첫 신규수주액 3조원을 돌파했다는 자신감에서였다. 코오롱글로벌이 수주전에 참여한 사업장은 노원구 월계동신아파트 재건축과 동작구 노량진3구역 재개발이다. 우선 월계동신아파트 재건축 사업은 1차 입찰에서 HDC현대산업개발이 단독으로 참여하면서 유찰된 곳으로 코오롱글로벌은 2차 입찰에 참여했다. 그 결과 코오롱글로벌은 지난달 27일 열린 월계동신아파트 재건축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조합원 800명이 참여한 가운데 49표를 얻는 데 그치며 망신을 당했다. 노량진3구역 재개발도 비슷하다. 1차 입찰에서 포스코건설 단독 참여로 유찰됐지만, 이후 코오롱글로벌이 참여하면서 2파전 양상이 형성됐다. 오는 4월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개최할 계획인데, 결과는 이미 기울어진 분위기다. 통상 서울의 대규모 정비사업은 보통 2~3년 전부터 건설사들이 공을 들이는 것이 일반적인데 코오롱글로벌은 이렇다 할 준비 없이 수주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이에 해당 사업지의 조합원들 사이에서는 코오롱글로벌의 준비 없는 수주 참여에 ‘들러리를 서로 온 것이냐’며 불편한 기색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들러리로 입찰에 참여한 것은 사실이 아니다"며 "최근 열린 노량진3구역 재개발 사업 대의원회에 참석하는 등 시공권을 따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두현 기자 kim.doohyeon@joongang.co.kr
2022.03.09 11:00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