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3

임한규 KIND 본부장

건설

"정부간(G2G) 협력을 통해 추진한 방글라데시 성공 모델을 통해 국내 건설기업이 해외 민관협력투자개발사업(PPP)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나가고자 한다." 임한규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사업개발본부장은 15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한국화재보험협회 1층에서 열린 'PPP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임한규 본부장은 'PPP사업에 대한 이해'를 주제로 해외 PPP 시장 현황, KIND의 역할과 한계에 대해 이날 발표했다. 국내 기업의 해외 건설 수주액은 지난 2005년 100억달러를 돌파한 뒤 제2차 중동 붐과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를 통해 2010년 600억달러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2015년 이후 급감하면서 200억달러에서 300억달러 수준에서 정체하고 있다. 임 본부장은 해외건설 수주 감소의 원인은 우리나라 인당 국민 소득이 3만5000달러가 넘어가면서 개발도상국에 비해 우리 기업의 가격경쟁력이 하락했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와 중동 플랜트 수요가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또 국내 부동산 경기가 활황을 유지하면서 건설사의 해외 진출 움직임이 줄어들었고, 특히 건설사들이 2009~2010년 어닝 쇼크를 경험하면서 내부 리스크 관리를 강화한 것도 해외 수주 감소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임 본부장은 "해외 인프라 건설 트렌드가 PPP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있는데 우리 기업들은 아직 설계‧조달‧시공(EPC) 중심의 도급형 사업에만 주력하고 있다"며 "앞으로 G2G 협력 확대를 위한 정부 정책 지원, 민간사업자와 국내 기관 협업 강화, 기업의 투자개발형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과 역량 배양 등이 해결 과제로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우리 기업의 해외투자개발사업 진출을 돕기 위해 2018년 설립한 KIND는 팀 코리아를 구성하고 사업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KIND는 사업 발굴, 사업 개발, 금융 지원을 돕는다. 또한 정부 정책 펀드 공동 관리, 타당성조사(FS) 지원 등으로 우리 기업의 PPP 발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임한규 본부장은 "세 가지로 나뉘는 PPP 사업 구성 요소 가운데 KIND는 개발주도형 사업을 통해 민간사업자들을 참여시키는 방식에 방점을 두고 있다"며 "G2G 기반 사업에 KIND가 가지고 있는 국가기관으로서의 신인도와 역량을 활용해 해외 사업 발굴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해외 개발사업을 추진해보니 G2G 투자개발사업을 법제화를 통해 우대하는 나라, 법제화는 안 했지만 행정 관행상 타국 국가기관이 추진하는 사업을 우선시하는 나라, 수요는 많지만 법제화나 지원제도가 없는 나라 등 3가지 유형의 사업들을 경험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G2G 기반으로 PPP 사업을 발굴한 사례로는 2017년 방글라데시 민관협력청(PPPA)이 대표적이다. 방글라데시는 다른 나라의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과 업무 협약을 체결했을 경우 공동으로 사업을 발굴하고 독점적인 사업 개발권을 준 뒤, 입찰에서 수의 계약으로 단독 입찰이 가능하도록 하는 법적 제도를 마련했다. KIND는 2019년부터 방글라데시 정부 관계자와 적극적으로 협상을 추진해 현재 5개 사업, 총 100억 달러 규모의 사업 개발 독점권을 확보한 상태다. 이 밖에도 스리랑카 태양광 발전사업, 파라과이 경전철사업 등도 추진하고 있다. 임 본부장은 "파라과이 경전철사업은 PPP사업 유형 가운데 가장 어렵고 복잡한 G2G 기반으로 사업을 발굴하고 국내 기업에 참여를 제안해 진행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향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다른 나라로 사업모델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철도사업뿐 아니라 통관검색 시스템, 국도 1호선 건설, 공항 시설 개선, 태양광 발전 등 다양한 연계사업을 발굴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G2G 사업발굴을 가로막는 제약들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임 본부장은 "KIND 자체가 G2G 계약 주체가 될 수 없기 때문에 G2G 협력을 통해 G2B 계약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국내 대외무역법은 상품 교역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G2G 계약 주체를 KOTRA로 한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 본부장은 그러면서 "KIND 자본금이 5000억원으로 시작했는데 지난달 말 기준 KIND 투자금은 4500억원 수준"이라며 "추가 투자가 필요하면 외부로부터 차입을 해야 하는데 법률 개정을 통해 자본금을 확대하도록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태로 우크라이나 인프라 재건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한국 건설의 혁신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과 노력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열린 설명회에는 이강훈 KIND 사장, 오성익 국토교통부 해외건설정책과장을 비롯해 김앤장 법률사무소, 한국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KIND, SK에코플랜트 해외건설분야 관계자 등이 참여해 PPP사업 관련 법률, 금융, 사례를 설명하고 질의응답 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윤준 김앤장 법률사무소 호치민사무소미국변호사는 '베트남 공공 민간 파트너십'을, 신상명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와 조봉상 김앤장 법률사무소 영국변호사는 '멕시코 공공 민간 파트너십'에 대해 발표했다. 고중열 한국수출입은행 인프라산업팀장은 'PPP사업 금융지원 제도'를, 오준범 한국무역보험공사 인프라금융팀장은 'PPP 금융지원 사례 및 제도 소개'를 맡았다. 안지욱 KIND 금융펀드실장은 'PPP 금융지원 제도'를, 백종건 SK에코플랜트 해외개발사업 2팀장은 '노르웨이 555번 소트라 고속국도 프로젝트'를 주제로 강연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2022.07.15 20:35

4분 소요
국내 건설업계, 방글라데시 신규 PPP사업 제안 '봇물'

건설

국내 건설사들이 새로운 해외 민관협력투자개발(PPP)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방글라데시와 한국 정부가 함께 개최한 PPP 공동협의체에서 국내 건설사들이 다양한 신규 사업을 제안하면서 미래 먹거리 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2일 제4회 한국-방글라데시 민관협력투자개발사업 공동협의체 행사에서 태영건설, 동명엔지니어링, 도화엔지니어링 등 국내 건설사와 설계사들이 방글라데시 PPP 신규 사업들을 제안했다. ━ 태영건설, BSMSN 수자원 운송시스템 개발사업 제안 태영건설(태영 E&C)는 BSMSN(Bangabandhu Sheikh Mujib Shilpa Nagar) 수자원 운송사업을 제안했다. 이 사업은 방글라데시 차토그램(Chattogram)에서 60㎞ 떨어진 미르샤라이(Mirsharai)에서 메그나 강으로부터 500MLD(일일 500만 리터)의 물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한국 정부와 방글라데시 정부 간 G2G(정부 대 정부) PPP사업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준공 후 일정 기간 임대 후 반납하는 BLT 방식 또는 준공 후 일정 기간 운영하고 운영권을 반납하는 BOT 방식 등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영건설은 특수목적회사(SPC)를 설립해 투자와 설계‧조달‧시공(EPC) 대표사를 담당할 예정이며 지역 건설사들과 함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방글라데시 사업 경험이 많은 도화엔지니어링이 설계를 담당하며 한국 수출입은행(수은)이 자금 조달을 맡게 된다. 사업비는 향후 논의를 통해 결정할 방침이다. ━ 동명엔지니어링, 차토그램 MRT 개발사업 제시 이어 동명엔지니어링(동명 E&C)은 차토그램(Chattogram)광역시 지하철(MRT) 개발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제시했다. 방글라데시 항구도시 차토그램과 유사한 입지인 한국 부산 지하철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차토그램 지하철은 총 3개 노선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Kalurghat에서 공항까지 20개 정류소를 지나는 26.5㎞ 길이의 1호선, 도시 초입(City gate)에서 바쉬루짜맨 광장(Bashiruzzaman Square)으로 이어지는 2호선(13.5㎞, 12개 정류소), 산소 광장(Oxygen Square)에서 A K 칸(A K Khan) 버스정류장을 잇는 3호선(14.5㎞, 15개 정류소) 등이다. 도화엔지니어링은 방글라데시 150메가와트(MW) 태양광 PPP사업을 새롭게 제안했다.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북쪽으로 140㎞ 떨어진 120헥타르(ha) 150MW 규모 태양광 발전 플랜트를 짓는 사업이다. 사업비는 1억7000만 달러 규모로 예상된다. G2G로 추진하며 시설 준공 후 20년 동안 소유권과 운영권을 갖는 BOO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SPC 자본(Equity) 투자사는 방글라데시 Birgo그룹과 재무적 투자자(FI)인 한국동서발전, 도화엔지니어링,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등이 참여할 계획이다. 나머지는 자금은 수은과 대구은행으로부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통해 조달할 계획이다. ━ BHI그룹, 다카 도시재생사업 제안 BHI그룹은 방글라데시 다카 도시재생 사업을 발표했다. 사업을 살펴보면 노후화한 굴산 71번가(71 Gulshan avenue)와 바나니(Banani) 커뮤니티 센터를 보강하는 프로젝트다. 71 Gulshan Avenue 부지를 개발하고 핵심 지역에 다목적 빌딩을 세울 예정이다. 고층 빌딩을 재건축하고 상업시설과 오피스 공간을 제공해 지역 랜드마크 빌딩을 건설할 계획이다. Banani 시장에는 오래된 작은 빌딩들을 해체한 뒤 상업용 빌딩을 재건축할 예정이다. 커뮤니티 센터의 오래되고 작은 121개의 상점들을 수리할 예정이다. 도시 중심부의 심각한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건축한 빌딩의 지하에 충분한 공간의 주차장을 확보할 계획이다. DNCC(Dhaka North City Corporation)은 이들 사업지의 도시재생 계획을 밝혔고, BHI그룹은 DNCC와 이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논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BHI그룹은 KIND와 함께 PPP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예상 사업비는 9260만 달러에서 1억 달러 규모다. 사업비의 30%를 차지하는 자본금은 BHI그룹과 KIND, 지역 건설사들과 함께 조달할 예정이다. 나머지 70%는 수은과 한국 투자사들을 통해 조달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아민 울라 누리(Amin Ullah Nuri) RAJUK 회장은 푸바찰 신도시 개발사업을 제안했다. 아불 바샤르(Abul Bashar) PPPA 장관은 다카 지하철 'O' 노선 건설사업, 가자리아(Gazaria)와 문쉬가니(Munshiganj) 다목적 수자원 운송 시스템 건설사업 등을 발표했다. 박지윤 기자 park.jiyoun@joongang.co.kr

2022.03.04 08:01

3분 소요
팀코리아, 방글라데시 푸바찰 배전선로 우선사업권 따냈다

건설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GS건설 등이 뭉친 팀코리아가 방글라데시 신도시에 배전선로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해외 민관협력투자개발사업(PPP)의 우선사업권을 따냈다. 국토교통부는 팀코리아가 방글라데시 ‘푸바찰 신도시 배전선로 건설·운영 사업’ 우선사업권을 확보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 인근에 조성하는 9만가구 규모 푸바찰 신도시에 스마트 배전 관리 시스템을 공급하는 프로젝트다. 푸바찰 신도시에 배전 손실을 줄이고 정전 시간을 최소화하는 스마트 배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예상 사업비는 약 7억 달러(약 8439억원) 규모다. PPP 방식으로 진행하며 완공 후 25년 간 배전망을 운영하는 구조다. 팀코리아는 이번 공동협의체를 통해 확보한 우선사업권을 바탕으로 타당성 조사를 거쳐 최적화된 PPP사업 모델을 마련하고 방글라데시 정부와 구체적인 사업 조건을 협의할 예정이다. 앞서 팀코리아는 세 차례의 공동협의체를 거치면서 다카-마이멘싱 고속도로, 다카 순환철도, 400kV 송전선로, 메그나 대교 등 4건의 사업에서 우선사업권을 획득했다. 메그나 대교 사업은 타당성 조사 용역을 완료했고 구체적인 사업화를 위한 일정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다카-마이멘싱 고속도로, 다카 순환철도 사업은 현재 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한 상태다. 윤성원 국토교통부 1차관은 "한국과 방글라데시는 1973년 수교를 맺으면서 동반자의 길을 걸어왔고 2019년 4월부터는 한국의 KIND와 방글라데시가 양국 간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고 있다"며 "공동협의체를 통해 송전선로, 철도, 교량 등의 PPP사업을 추진하면서 메그나대교사업은 타당성 조사를 마무리하고 구체화하는 절차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팀코리아는 방글라데시 푸바찰 신도시에 25km 배전선로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우선협상권을 받는 커다란 성과를 이뤘다"며 "우리 정부와 기업을 믿고 선택한 만큼 방글라데시 배전선로 사업이 적기에 준공을 할 수 있도록 국토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신규 사업들도 사업화에 성공하기를 기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지윤 기자 park.jiyoun@joongang.co.kr

2022.03.02 17:46

2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