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2

올해 주가 반토막 났는데…서학개미들의 여전한 테슬라 사랑

증권 일반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의 주가가 가파르게 하락하는 가운데 해외주식 투자자(서학개미)들은 오히려 비중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증권정보포털(세이브로)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 9월 25일부터 지난 25일까지 3개월 간 국내 투자자 순매수 1위에 올랐다. 이 기간 개인 투자자들은 테슬라 주식을 29억3033만달러 어치나 사들였다. 한 달 추이(11월 1일~11월 25일)로 봐도 테슬라가 순매수 1위(11억7513만달러)였다. 테슬라의 주가는 지난 3개월 간 크게 하락했지만 개인투자자들은 이를 저가 매수 기회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9월 22일까지만 해도 288.59달러(종가)였던 테슬라의 주가는 지난 25일 182.86 달러로 마감하며 3개월 새 36% 넘게 하락했다. 연초 대비로는 54.28%나 쪼그라든 수준이다. 지난 8월 25일 3대 1일 주식 분할 당시(297.10달러)와 비교해도 40% 가까이 빠졌다. 테슬라의 주가가 하락하는 데엔 여러 악재가 작용했다. 먼저 고금리·고물가 등 변동성이 큰 증시 상황에 성장주인 테슬라 투자 심리가 악화됐다. 3분기 테슬라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면서 전기차 자동차 업황 둔화가 큰 영향을 줬다. 테슬라는 올해 3분기 214억5000만달러(약 30조7600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 이는 시장 전망치인 219억6000만 달러를 밑도는 수치다. 자동차 부문 총마진율도 27.9%로 지난해 같은 기간(30.5%)보다 줄어들었다. 강달러 현상으로 인한 원자재 비용 상승, 미국 텍사스 공장 생산 차질 등이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트위터 인수 후폭풍도 문제다.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를 위해 테슬라 지분을 매각하면서 투자 심리가 악화됐다. 머스크가 테슬라 경영에 소홀할 것이란 우려도 여전하다. 머스크가 지난 10월 27일 트위터 인수 이후 약 한 달 동안 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11월 초 전체 인력의 50% 해고에 이어 테슬라의 경쟁사이자 트위터의 대기업 광고 고객인 GM, 아우디 등이 유료 광고를 중단했다.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 국내 트위터 사용시간도 줄어들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전 국내 이용자의 4주(9월 30일~10월 27일) 평균 이용시간은 45.9분이었지만, 인수 후(10월 28일~10월 24일) 43.94분으로 2분 가량 줄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내 개인 투자자들의 꾸준한 순매수 속에서도 단기 주가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각에선 조만간 100달러를 밑돌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미국 리서치회사 22V의 존 로크 애널리스트는 지난 21일(현지시간) 경제매체 배런스와의 인터뷰에서 “기술적으로 분석하면 약세장에서 테슬라 주가가 100달러까지 밀릴 수 있다”며 “경기 침체로 기술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부진한 가운데 테슬라가 누렸던 ‘전기차 선두 주자’ 효과가 줄어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증권가에서도 테슬라 투자를 보수적으로 접근하라고 조언했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테슬라는 경기 침체 여파와 3분기 판매 대수와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면서 30% 하락했다”면서 “투자 비중을 늘리려면 내년 1분기 테슬라 공장 가동률과 유럽과 중국 전기차 보조금 축소의 영향력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다원 기자 daone@edaily.co.kr

2022.11.28 18:03

3분 소요
‘테슬람’이 믿는 테슬라…주식분할로 주가 오를까

증권 일반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두 번째 주식분할을 결정하면서 테슬라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 ‘테슬람(테슬라와 이슬람의 합성어로 테슬라를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단어)’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3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테슬라는 전 거래일보다 2.26% 오른 889.36달러로 마감했다. 25일부터 테슬라가 3대 1로 분할해 거래되면서 주가는 상승세다. 주식분할 후엔 테슬라 주식 수는 3배 늘어나고, 가격은 3분의 1로 낮아진다. 8월 17일 기준 테슬라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은 보유한 주식 1주당 추가로 2주를 받을 수 있다. 주식분할은 기존 주식 액면가를 일정 비율로 분할해 발행 주식의 총수를 늘리는 것이다. 기업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주당 가격이 낮아져 소액 투자자들이 쉽게 주식을 살 수 있어 호재로 불린다. 테슬라의 주식분할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 2020년 8월 11일 5대 1로 주식 분할을 단행했다. 당시 테슬라 주가는 분할 발표 하루 만에 13% 오르는가 하면 분할 시행일까지는 60%가량 급등했다. ━ 韓 개인투자자, 테슬라 지분 전체 1.6% 보유 테슬라는 국내 개인 투자자 비중이 높다. 미국 블룸버그에 따르면 한국 개인 투자자들이 보유한 테슬라 주식은 150억 달러(약 20조원)어치에 달한다. 8월 17일 기준 한국인들의 테슬라 지분은 1.6%로 오라클 창업자이자 억만장자 래리 엘리슨 혹은 미국 자산운용사 T.로우프라이스그룹의 지분(1.4%)보다 높다. 서학개미가 보유한 테슬라 주식은 알파벳,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 보유분을 모두 합한 것보다 많다. 개인 투자자들은 꾸준히 테슬라를 사들이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SEIBro)에 따르면 8월 1일부터 8월 23일까지 테슬라는 국내 투자자가 사들인 순매수 1위 종목에 올랐다. 이 기간 개인 투자자들은 테슬라를 1조558억 원어치 사들였다. 테슬라 주가가 내려가도 저가 매수에 나서고 있는 모양새다. 올해 들어 테슬라 주가는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테슬라는 지난 5월 620달러까지 주저앉았다가 최근 880~920달러를 오르내리고 있다. ‘천슬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이번 주식분할로 주가가 오를지는 미지수다. 고금리·고물가 등 변동성이 큰 증시 상황에 성장주인 테슬라가 타격을 받았고 주식분할이 ‘단기 상승 재료’로만 쓰일 수 있어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말과 행동도 변수다. 약 440억 달러에 트위터를 인수한다는 일론 머스크는 현재 트위터와 법적 다툼을 벌이고 있다. 머스크는 가짜 계정 문제를 이유로 트위터 인수 계약 파기를 선언했고 트위터는 머스크를 고소했다. 머스크도 맞고소로 대응했다. 이에 단기 차익을 노린 접근에 대해 신중하라는 의견이 나온다. 정나영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테슬라가 하루 만에 10% 수익률을 낼 확률은 1.4%에 불과하다”며 “테슬라가 상장된 지 약 12년밖에 지나지 않았고 그중 2년 동안은 코로나19 특수로 글로벌 주식시장 호황기로 수혜를 누렸던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 호실적, 소프트웨어 가격 인상은 주가에 호재 다만 미국 대표 전기차 기업인 만큼 테슬라의 성장성은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테슬라가 2분기 호실적을 냈고 앞으로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꾸준한 판매 호조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도 이어지고 있다. 테슬라 2분기 매출액은 169억3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6% 증가했다. 영업이익 역시 같은 기간 87.8% 늘어난 24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테슬라가 꾸준히 가격 인상에 나서는 것도 실적 호조로 이어질 수 있다. 테슬라는 원자재 가격 인상과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 등에 따라 차량 가격 인상을 꾸준히 올리고 있다. 국내에서 지난해 초 5479만원이었던 ‘모델3 스탠다드’ 가격은 현재 7034만원까지 올랐고 6999만원이었던 ‘모델Y 롱레인지’는 9664만원에 팔리고 있다. 강재구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테슬라는 경쟁사보다 빠른 설비투자와 대량 생산으로 2030년까지 테슬라가 연간 2000만대 수준의 생산능력을 갖출 것”이라면서 “올해 주당 순이익은 110.6%, 2023년엔 45.9%로 고성장해 하반기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홍다원 기자 daone@edaily.co.kr

2022.08.24 17:17

3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