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이후 논란이 불붙은 가운데, 미국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정교하게 계산하지 않고 무역 적자액을 해당국에서 수입하는 금액으로 나눈 것으로 확인됐다.2일(현지시간)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트럼프 행정부의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이후 홈페이지에 산정법을 공개했다.USTR은 "각 국가별로 수만개의 관세, 규제, 세제와 기타 정책이 무역
지난달 경제활동을 대표하는 세 가지 축인 산업생산, 소비, 투자가 '트리플 증가'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한 달 만에 모두 증가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소비 심리 위축으로 숙박·음식점업 생산이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고, 소매판매도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는 등 불안한 경기 심리가 지속됐다.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25년 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
한강 한복판 위에 떠 있는 세련된 공간, 무드서울(MOOD SEOUL)에서 독특한 풍미가 가득한 축제가 열렸다. 11일 프리미엄 데킬라 브랜드 ‘오초’(Ocho)의 한국 론칭을 알리는 마스터클래스가 진행된 것.데킬라는 강렬한 한 모금, 그리고 레몬과 소금이 곁들여지는 술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날 분위기는 달랐다. 참석자들은 데킬라를 향과 맛으로 음미하고, 한 병 한 병의 ‘빈
올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지난해 대비 10% 올랐을 경우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35%포인트(p) 상승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은은 27일 발표한 ‘환율의 장단기 물가 전가효과 분석: 개별 품목을 통한 파급경로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환율 변동이 개별품목을 통해 소비자물가에 파급되는 영향을 점검했다. 특히 환율의 단기(3개월)와 장기(4~12개월) 전가
오렌지·파인애플 등 신선과일 수입액이 지난해 처음으로 14억 달러(약 2조 220억 원)를 넘겨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1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2대 주요 신선과일 수입액은 전년(12억 500만 달러)보다 20.1% 증가한 14억 4700만달러(약 2조 899억원)로 잠정 집계됐다. 12대 신선과일은 바나나·파인애플·망고·아보카도·포도·키위·체리&mi
커피시장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지난해 원두 수입량이 증가세로 전환했다. 다만 글로벌 시장에서의 원값 상승과 환율 여파로 커피 가격이 오르는 추세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22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커피원두 수입량은 20만1924톤으로 집계됐다. 전년(19만2623톤)보다 4.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11억1111만달러(약 1조6005억원)에서 12억4305만달러(약 1
미국산 소고기가 2024년 국내 수입육 시장에서 점유율 48.1%를 기록하며 8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 미국산 돼지고기는 지난해 점유율 34.7%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미국육류수출협회(한국지사장 박준일)가 국내 통관 자료와 소비자 조사를 기반으로 2024년 미국산 육류 현황을 발표했다.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소고기 수입량은 46만 1027톤(통관기준)
새해 초 수출이 반도체·승용차 등에 힘입어 '플러스'로 출발했다.13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은 160억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8%(5억8000만 달러) 증가했다.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1억3000만 달러로 마찬가지로 3.8% 증가했다. 이달 10일까지 조업일수는 7.5일로 작년과 같았다.월간 수출액은 작년 12월까지 15개월 연속 증가세다. 전달 수출은 6.6%
지난해 한국의 수출이 역대 최대인 6838억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수지는 518억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작년 한 해 반도체 수출이 1419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전체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4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2024년 수출액은 전년보다 8.2% 증가한 6838억달러를 기록, 기존 역대 최대 규모였던 2022년 6836억달러를 넘어섰다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수출액이 4개월 연속 200억 달러 이상 달성에 성공했다. 다만 증가율은 둔화하는 양상을 보였다.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11월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205억 달러로 8월 이후 4개월 연속 200억 달러대를 기록했다.다만, 작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14.8%에 그쳤다. 4∼7월 30%대를 이어가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8∼10월 20%대로 하
1계엄에 산불까지...‘백척간두’ 韓 경제, 성적표 살펴보니
2보스턴 펜웨이파크에 LG전자가 설치한 ‘초대형 LED’ 정체는?
3곤봉으로 유리창 ‘쾅’...尹 파면에 경찰버스 부순 남성 ‘구속’
4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5기아, 다문화 청소년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본격 가동
6티웨이항공, 유럽 항공권 프로모션 실시
7 대구 북구 산불 진화 헬기 추락
8 尹 "자유와 주권 수호를 싸운 여정, 역사로 기록될 것"
9“트럼프, 손 떼라”...美 전역서 ‘反트럼프 시위’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