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3

파우치 “오미크론 변이 델타보다 덜 위험할 수도…전파력은 강해”

의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최고 의료 고문인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감염병 연구소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이 전파력이 크지만 심각성은 델타변이보다 낮을 수 있다고 밝혔다. 파우치 소장은 이날 CNN 시사프로그램 ‘스테이트 오브 더 유니언’에 출연해 오미크론 변이와 관련 “현재까지는 심각성이 대단한 수준인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파우치 소장을 비롯한 전문가들은 오미크론의 치명률과 기존 백신 효과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약 2주 이상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파우치 소장의 이날 발언은 실험 초기 데이터를 근거로 한 ‘낙관론’에 가까워 주목받는다. 그렇지만 그는 심각성에 대해 쉽게 결론을 내려선 안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파우치 소장은 “오미크론이 델타와 비교해 덜 심각하거나 아예 중증 질환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전에 매우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우치 소장은 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확진자가 “거의 수직적으로 증가했다”면서 “오미크론 변이가 전파력이 크다”고 경고했다. 파우치 소장의 이날 발언에 대해 외신들은 새 변이 확산에 대한 공포심을 차단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고 본다. 하지만 강한 전파력은 기정사실화 된 만큼 심각성이 낮더라도 경계해야 한다는 의견이 크다. 마리아 반 케코브 세계보건기구(WHO) 기술팀장은 미국 CBS 시사프로그램 ‘페이스 더 네이션’에 출연해 “가벼운 증상을 앓는 사례가 많아도 확진자 중 일부는 입원이 필요하다”며 “전 세계에서 델타 변이가 확산 중인 어려운 상황에 더해 그런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윤신 기자

2021.12.06 11:19

2분 소요
[증시이슈] 대형 제약바이오주 하락세, ‘오미크론 호재’ 끝?

증권 일반

주요 제약·바이오기업 주가가 3일 오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노바백스 백신을 위탁 생산하는 SK바이오사이언스는 오전 한때 주가 하락 폭이 5%를 넘었다. 새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위드 코로나’을 접어야 할 만큼 심각하지 않을 거란 낙관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3일 오전 10시30분 기준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는 전날보다 0.78%(7000원) 하락한 88만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 업체 주가는 이번 주 내내 상승세를 이어왔다.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에 알려진 건 지난 주말부터다. 코로나 치료제를 만드는 셀트리온도 같은 시간 전날보다 2.58%(5500원) 떨어진 20만7500원에 거래 중이다. 셀트리온 주가는 1일부터 이틀간 올랐다. 주요 기업 가운데 SK바이오사이언스는 유독 하락세가 심하다. 같은 시간 주가는 24만7500원으로, 전날보다 4.81%(1만2500원) 떨어진 상태다. 오미크론 공포에도 지난달 30일을 빼면 내리 하락했다. 노바백스 백신 생산시점이 계속 미뤄지면서 불안감도 커지는 모양새다.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2021.12.03 10:54

1분 소요
‘이더리움 킬러’ 솔라나, 아이돌 뺨치는 인기 코인된 비결은?

가상화폐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에서 소위 ‘이더리움 킬러’로 불리는 솔라나(SOL)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올해 1월에는 2000~4000원대에 거래되더니, 지난달 6일에는 30만원대까지 올랐다. 일 년도 채 되지 않아 100배 넘게 약진한 것이다. 솔라나는 속도와 수수료라는 무기를 갖고 디파이(DeFi·탈중앙화금융)와 NFT(Non-Fungible Token·대체불가능토큰) 시장에서 영역을 넓히고 있다. 1일 오전 6시 43분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솔라나는 24시간 전보다 3.14% 오른 26만31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달 6일 최고가 31만6250원을 기록했으나 글로벌 증시 하락세와 맞물려 다소 조정을 받은 상황이다. 솔라나 시가총액은 76조2800억원을 기록 중이다. 솔라나의 시가총액은 지난달 초 테더(USDT)를 제치고 4위까지 오른 바 있다. 11월 30일 기준 테더 시가총액은 86조2649억원으로 솔라나보다 10조원가량 앞서 있다. 현재 시가총액 상위 3개 암호화폐는 ▲비트코인(1272조1228억원) ▲이더리움(622조5238억원) ▲바이낸스코인(121조6203억원)이다. ━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빠른 연산 속도와 낮은 수수료 솔라나는 퀄컴에서 13년간 근무한 베테랑 개발자 아나콜리 야코벤코가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라나라는 명칭도 아나톨리가 퀄컴에서 동료들과 함께 서핑했던 샌디에이고 솔라나 비치에서 따온 것이다. 솔라나의 초기 아이디어 작업은 2017년에 시작됐으며, 2020년 3월 스위스 제네바 소재 솔라나 재단에서 공식 출시됐다. 솔라나의 가장 큰 특징은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수수료(가스비)에 있다. 모두 이더리움이 취약한 부분이다. 이론상 솔라나는 최대 6만5000TPS(초당 처리 트랜잭션)이 가능하다. 평균 처리량은 5만TPS가량으로, 비트코인이 3~7TPS, 이더리움이 15~40TPS인 것과 비교하면 압도적인 수준이다. 수수료 역시 비트코인은 건당 평균 3달러, 이더리움은 평균 8~40달러가 필요한 데 반해 솔라나는 0.00025 달러 수준으로 매우 저렴하다. 많은 컴퓨터 자원이 필요한 작업증명방식(PoW)이 아니라 지분증명방식(PoS)을 변형한 방식을 사용해 전력 소비량 역시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라나가 ‘이더리움 킬러’로 불리는 이유다. ━ “NFT랑 궁합 좋네~”…‘솔라나트’ 총 거래액 6700억원 달해 솔라나는 NFT 분야에서도 꽃을 피우고 있다. NFT 시장은 대부분이 이더리움 기반이어서 시장참여자들의 불만이 많았다. 이더리움의 과도한 수수료와 느린 거래 속도 문제가 솔라나 기반에서 해결되면서 NFT 거래자들에게 지지받고 있다.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디앱) 데이터 제공 업체 댑레이더에 따르면 NFT 마켓플레이스 40개 중 12곳이 이더리움 기반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1위 마켓플레이스인 오픈씨(OpenSea)는 총 거래액이 120억1200만 달러(14조2943억원)로 전체 NFT 시장의 9할 이상을 차지한다. 솔라나 기반 NFT 마켓플레이스는 아직 이더리움 기반보다 규모가 작지만 그 성장세가 남다르다. 솔라나는 출시된 지 2년도 안 됐지만, 40개 마켓플레이스 중 5개가 솔라나 기반이다. 그중 가장 규모가 큰 솔라나트(Solanart)는 총 거래액 5억6317만 달러(6701억7230만원)로 NFT 마켓플레이스 5위에 자리하고 있다. 실제 NFT 거래도 활발하다. 지난 9월 솔라나 기반 NFT 프로젝트인 ‘퇴화한 유인원 아카데미(DAA·Degenerate Ape Academy)’는 판매를 시작한 지 8분 만에 작품 1만개가 완판됐다. 해당 시리즈의 가격은 개당 6SOL였으나, 일부 NFT는 솔라나 가격이 급등한 후 거듭 신고가를 기록하며 재판매되고 있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메이슨 나이스트롬은 최근 트위터에서 “솔라나 NFT의 2차 판매량이 3개월 만에 5억 달러(5948억원)에 달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솔라나 생태계가 커지며 솔라나의 NFT 또한 엄청난 성장을 보이고 있다”며 “불과 몇 달 사이 통해 최고의 NFT 블록체인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 BTS ‘아미’처럼 팬덤 생긴 솔라나…투자는 신중히 해야 솔라나의 기술적 완성도와 빠른 확장은 많은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급기야 이들 중 상당수는 솔라나의 팬이 되고 있다. 이 팬들은 솔라나의 ‘SOL’을 따서 ‘솔저(SOLdier’)나 ‘소울메이트(SOL Mate)’라고 자칭하며 팬덤을 형성했다.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팬덤인 ‘아미(ARMY)’가 연상되기도 한다. 현재 솔라나의 공식 트위터 팔로워는 103만3000명이다. 앞서 10월 팔로워 60만명을 돌파한 지 한 달 만의 기록이다. 하지만 솔라나의 인기가 투자의 안전성을 담보하진 않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암호화폐 및 NFT 시장의 과열로 지난달 초 30만원까지 오르던 솔라나 가격은 현재 26만원대까지 빠르게 떨어졌다. 올해 9월과 비교해도 2배가량 오른 가격인 만큼 추가 하락도 염두에 둬야 한다. 그렇지만 현재의 하락은 암호화폐 규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등 글로벌 증시에 악재 때문에 생긴 단기적인 현상으로 보는 목소리도 있다. 솔라나 낙관론자들은 가격 조정 시기가 지나면 다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솔라나는 현재 국내 4대 암호화폐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모두에서 거래할 수 있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2021.12.01 07:39

4분 소요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1781호 (2025.4.7~13)

이코노북 커버 이미지

1781호

Klout

Kl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