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경기실사지수' 검색결과
2 건

지난달 아파트 미입주자 가운데 기존 주택 매각 지연과 대출 규제 여파로 입주하지 못한 사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입주경기실사지수(HOSI)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입주율은 전월 대비 0.4%포인트 하락한 82.3%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88.9%로 전월 대비 1.3%포인트 상승했고 6대 광역시는 83.8%로 1.3%포인트 하락했다. 기타지역은 78.7%로 0.3%포인트 떨어졌다. 지난달 수분양자 가운데 미입주 사유로는 '기존 주택매각 지연'이 36.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잔금대출 미확보'가 30.6%로 두번째로 많았고 '세입자 미확보(24.5%)와 '분양권 매도 지연(8.2%)'이 뒤를 이었다. 입주경기를 예상하는 아파트 입주전망치는 전달 대비 6.3포인트 하락한 85.4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3.7포인트 내린 99.4, 광역시는 7.1포인트 내린 86.1에 그쳤다. 기타지역도 6.6포인트 하락한 79.6를 기록했다. 특히 부산은 27.3포인트 내린 72.7로 집계됐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공급 확대와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4월 전망치가 크게 상승해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이라며 "금리 인상으로 인한 비용부담, 매매 거래 감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입주율 하락 우려 등도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입주율 저하를 막기 위해 무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 완화 등 조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지윤 기자 park.jiyoun@joongang.co.kr
2022.05.13 16:57
1분 소요
은행에서 잔금대출을 받지 못하고 아파트 입주를 못하는 사례들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총량 관리 영향으로 풀이된다. 20일 주택산업연구원은 한국주택협회·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인 주택건설업체 500여곳을 대상으로 지난달 전국 아파트 미입주 사유를 조사한 결과 ‘잔금대출 미확보’ 응답이 40.7%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자신이 분양받은 아파트에 입주하지 못한 사람 10명 가운데 4명이 잔금대출을 받지 못해 아파트에 들어가지 못한 상황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잔금대출 미확보 응답 비율은 지난해 11월(29.3%) 대비 11.4%포인트 올랐다. 2017년 6월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월간 단위로 가장 높은 수치다. 이 비율이 40%를 넘은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잔금대출 미확보 외에도 ‘기존주택 매각 지연’(35.2%), ‘세입자 미확보’(20.4%), ‘분양권 매도 지연’(1.9%) 등이 미입주 원인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업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가 원인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증가율 관리(5~6%)에 따라 은행들은 주택담보대출 등 부동산 대출을 중단하거나 한도 줄이기에 나선 바 있다. 특히 올해부터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적용이 시작되면서 대출 한도가 줄어 입주자금을 마련하지 못하는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이날 발표한 이달 입주경기실사지수(HOSI) 전망치는 82.6으로 지난달 대비 9.6포인트 떨어졌다. 이 수치가 100 이상이면 입주를 앞두고 있거나 입주 중인 아파트 단지의 입주 여건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 미만이면 좋지 않다는 것을 말한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2022.01.20 16:50
2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