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조원 운전자금' 검색결과
2 건

5대 주요 시중은행의 기업대출이 올해만 32조원 넘게 불었다. 기업의 운전자금 대출 수요가 늘고, 가계대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은행이 기업대출 영업을 강화한 영향이다. 다만 오는 9월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대출 부실이 수면 위로 드러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 운전자금 수요‧은행 영업 강화에 기업대출 32조원 ↑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주요 시중은행 5곳의 기업대출 잔액은 668조62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잔액 635조8879억원과 비교하면, 대출 규모는 올해 들어 32조1750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이 7조9914억원 감소한 것과 비교된다. 기업대출의 급증 추세는 한국은행 통계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3일 발표한 ‘1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통계에서 3월 말 기준 모든 산업 대출금은 1644조7000억원으로 작년 4분기보다 63조9000억원 늘었다. 이 증가 폭은 2020년 2분기 69조1000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규모다. 대출 용도별로는 1분기 시설자금이 22조원, 운전자금이 41조9000억원 각각 늘었다. 모두 역대 2위 기록이다. 이처럼 기업대출 잔액이 늘어난 것은 지난 3월 종료 예정이었던 만기 연장·이자 유예 등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가 오는 9월까지로 연장된 영향도 있다. 또 1분기에는 오미크론 여파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기업들이 대출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더해 대출 총량 규제로 가계대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은행들이 기업대출로 눈을 돌려 영업을 강화한 영향도 크다. ━ 금융지원 만료 시…기업대출 부실 수면 위로 다만 오는 9월 원금 만기연장, 이자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이 만료되면 기업의 대출 부실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향후 금리가 더 뛰고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급증한 기업대출 가운데 일부에서 연체 등 부실이 나타나고, 금융·경제 시스템의 위험을 키울 가능성이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 또한 지난달 26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간담회에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가계 부담이 3조원, 기업 부담은 2조7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영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 위험엔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앞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도 “앞으로 완화적 금융 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등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김윤주 기자 kim.yoonju1@joongang.co.kr
2022.06.06 15:00
2분 소요
올해 1분기 자영업자와 기업 등이 받은 대출금이 크게 늘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모든 산업 대출금은 1644조700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63조9000억원 늘었다. 이 증가 규모는 역대 최대였던 2020년 2분기 69조1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다. 특히 서비스업 대출 잔액이 작년 말1027조2000억원에서 1분기 말 1073조6000억원으로 46조4000억원 증가했다. 서비스업 중에서도 상업용 부동산 투자가 이어진 부동산업의 대출 잔액은 13조3000억원 늘었고, 대형마트·면세점 업황 부진의 영향을 받은 도·소매업의 대출 잔액도 11조8000억원 증가했다.오미크론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은 숙박·음식업의 대출도 2조5000억원 불었다. 제조업 대출 잔액은 1분기 동안 415조4000억원에서 428조5000억원으로 13조2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출 용도별로는 시설자금이 22조원, 운전자금이 41조9000억원 각각 늘었다. 모두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예금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으로 나눠보면, 예금은행 대출 잔액은 1분기 말 기준 1168조7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8조1000억원 늘었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잔액은 475조9000억원으로을 기록했고, 전분기 대비 증가액은 35조8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김윤주 기자 kim.yoonju1@joongang.co.kr
2022.06.03 15:10
1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