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中 부동산 시장 '거품농쟁'한창

中 부동산 시장 '거품농쟁'한창

최고급주택이 모여 있는 베이징 야윈춘 일대 아파트 가격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떨어지기 시작했다.
지난 10월달부터 베이징(北京)의 신문마다 ‘부동산 시장 거품’ 기사로 요란하다. 인민일보가 벌써 몇 주일째 이 문제를 다루며 분위기를 잡는 바람에 다른 신문들도 돌아가며 후속기사를 쓰고 있다. 중국은 지금 가는 곳마다 낡은 주택을 헐어 재개발하는 건축 열기로 전국이 뜨겁다. 특히 베이징은 몇 달 만에 거리 하나가 통째로 재개발되고 낡은 주택이 헐리는 일이 비일비재할 정도. 도시 전체가 재개발 단지나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올 들어 베이징과 상하이(上海)·광저우(廣州)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택 미분양률이 50%선을 넘어서면서 중국판 부동산 위기설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베이징에서 가장 고급주택이 모여 있는 야윈춘(亞運村) 일대 아파트 가격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떨어지기 시작, 충격을 줬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 소비자들은 더 비싼 아파트에 눈을 돌리게 마련이다. 그러다 보니 중국의 대도시에서 중·고급주택은 최근 2∼3년 동안 짓기만 하면 팔리는 인기상품이었다. 문제는 돈맛을 본 건설회사들이 수요 총량은 생각지 않고 너도나도 고급주택을 짓는 바람에 과잉공급이 발생한 것이다. 전체적인 고급주택 수요는 거의 충족됐는데, 공급물량은 계속 늘어나니 문제가 도지지 않을 수 없다. 중국에서 가장 잘사는 베이징과 상하이의 경우 미분양주택은 거의 ㎡당 5천 위안 이상의 중·고급주택들이다. 주요 일간신문에서 가장 비싼 전면광고는 대개 고급아파트 분양안내라고 보면 틀림없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전체에서 1년 이상 안 팔린 미분양아파트 공실(空室)면적은 9월 현재 4천4백만㎡를 돌파했다. 이 때문에 미회수된 건설자금은 무려 2천5백억 위안(한화 37조5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러니 미분양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장차 건설사에 막대한 자금을 대출해 준 은행들까지 덤태기를 쓰는 ‘도미노 현상’도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외국 평가기관들은 공상·중국·건설·농업 등 중국의 4대 상업은행 부실여신비율을 45%까지 높여 잡고 있을 정도로 비관적이어서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베이징시가 얼마 전 개인의 주택구입 취득세율을 3%에서 1.5%로 절반이나 내리고, 외국인의 상품주택 구입을 허용한 것도 사실상의 주택수요 진작책이다. 그 정도로 정책당국도 다급해졌다는 얘기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올해도 9월 말까지 전년비 29.4%나 성장, 최고의 호황을 구가했다. 베이징시만 해도 2008년 올림픽을 앞두고 시내 낡은 주택을 전부 재개발할 예정이어서 앞으로 7백만㎡ 이상의 단층주택을 헐어야 된다. 그 모두가 건설수요로 보면 된다. 중국인들의 도시가구 평균 주택면적은 76㎡로 한국의 23평 정도다. 경제발전이 계속될수록 보다 넓은 새 아파트 수요가 늘어날 게 뻔해 아파트 수요는 무궁무진하다. 게다가 올 3분기까지 주택판매가격은 작년 동기대비 4% 상승할 정도로 순항 중이다. 적어도 수치상으로 보면 중국 부동산 시장은 결코 어둡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진짜 문제는 따로 있다. 바로 중국의 자기주택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소도시의 경우 92.6% 이상이 자기 집을 갖고 있다는 게 공식통계다. 여기에다 최근 인민일보는 도시가구의 1.1%만이 무주택이라고 보도할 정도다. 사회주의경제 시대부터 주택을 분배해 온 덕이다. 이러니 주택판매가 앞으로도 계속 호황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그런데도 중국당국은 ‘거품위기설’을 인정치 않는 분위기다. 인민일보는 매년 3∼4백만명의 농촌인구가 도시로 유입돼 향후 20년 동안 도시주민이 5억 가까이 늘어나게 돼 새로 1억채 이상의 신규 주택이 필요하므로 지금부터 연간 5억∼6억㎡의 주택을 지어야 수요를 충당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결국 현재 중국의 연간 도시주택 신규 착공면적이 3억㎡ 정도로 절대 부족하기 때문에 과잉공급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여하튼 부동산 시장이 과연 거품인가 아닌가 여부는 향후 중국경제의 진로에 중대한 변수가 된다는 점에서 초미의 관심거리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포스코, 포항에 민·관·연 협력 ‘대규모 바다숲’ 조성

2삼성바이오로직스, 내년 3월 ADC 사업 추진…수주 전략은

3"기준금리 인하할까"...내일 한은 금통위 앞두고 전문가 83%는 '이것' 예상

4“초코파이는 빼고”…오리온, 13개 제품 가격 10.6% 인상

5고현정, 전 남편 언급? "아들·딸과 연락은…"

6'분양가 50억' 서울원 아이파크 '펜트하우스', 1순위 청약서 10명 몰려

7'1900조 대왕고래' 기대감…한국도 석유 생산국 될까

82025 기업 임원 인사 흐름 살펴보니…대규모 변화 및 조직 슬림화가 특징

9우리은행 찾은 김난도 교수, 내년 소비트렌드 10대 키워드 공개

실시간 뉴스

1포스코, 포항에 민·관·연 협력 ‘대규모 바다숲’ 조성

2삼성바이오로직스, 내년 3월 ADC 사업 추진…수주 전략은

3"기준금리 인하할까"...내일 한은 금통위 앞두고 전문가 83%는 '이것' 예상

4“초코파이는 빼고”…오리온, 13개 제품 가격 10.6% 인상

5고현정, 전 남편 언급? "아들·딸과 연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