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주식]겉보기엔 별로, 알맹이는 탄탄‘易분식회계’ 기업을 찾아라
- [주식]겉보기엔 별로, 알맹이는 탄탄‘易분식회계’ 기업을 찾아라
부실 가능성 적어 가치투자자들 선호 첫번째는 세금 절약. 이익이 많이 나면 그만큼 법인세를 많이 내야 한다. 이 때문에 이익이 너무 많이 난 기업은 부실자산을 손실로 반영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이익을 적게 낸 것처럼 장부를 꾸민다. 두 번째는 이익증가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다. 이익이 폭발적으로 늘면 그 해에는 평가를 좋게 받는다. 그러나 다음해 실적이 지난해를 따라가지 못하면 ‘실적이 마이너스가 났다’는 질타를 받는다. 따라서 올해 이익이 크게 났지만 이를 매년 조금씩 늘고 있는 것처럼 만들고 싶을 때 장부를 꾸민다. 세 번째는 상속세를 줄이기 위해서다. 자녀에게 기업을 물려주려면 상속세를 내야 한다. 그런데 주가가 쌀 때 기업을 물려주면 그만큼 상속세를 덜 낼 수 있다. 몇몇 기업은 이런 이유로 상속이 끝날 때까지 주가를 낮게 하기 위해 이익을 줄이려 든다. 역분식회계는 기업이 정직하게 기업의 내용을 밝히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불법을 동원한 장부 꾸미기만 아니라면 그렇게 나쁘게 볼 일만은 아니다. 보수적인 회계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장부상 좀더 깨끗한 자산구조를 보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익을 과대평가하지 않음으로써 투자자의 오해를 줄인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특히 가치투자자에게는 역분식회계 기업은 좋은 투자 대상이다. 겉보기에는 실적이 별로지만(그래서 주가도 낮지만) 실제로 기업은 큰 성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기업은 ‘숨겨진 보물’과 같다. 역분식회계 기업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부실 발생 가능성이 적다. 또 다음해 이익이 크게 늘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부실을 터는 것이 회계상 손실로 잡히는 대신 실제 현금은 회사 어딘가에 자산으로 쌓여 있는 경우가 많다. 2002년 보수적인 회계기준을 적용해 역분식회계를 한 대표적인 두 기업으로 SK가스·한일시멘트을 꼽아봤다. SK가스는 지난해 1분기에 3백50억원의 투자자산처분손실을 기록했다. 장부상 4백억원으로 잡혀 있던 자회사 SK해운 주식을 고작 49억원에 팔았기 때문에 생긴 일. SK해운은 2001년 1백73억원 적자를 낸 부실 자회사였지만, SK가스 입장에서는 그냥 팔지 않고 뒀다면 자산 4백억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를 보수적 회계 기준으로 현실화해 자산 손실분을 손익에 반영시켰다. 부실 자회사를 털어버린 만큼 작년과 비슷한 영업수준만 유지한다면 올해에는 3백50억원가량의 추가 이익이 장부에 나타나게 된다. SK가스는 1분기 3백50억원의 손실을 보고도 지난해 전체적으로 2백92억원의 흑자를 나타냈다. 시멘트업체들은 보통 그 그룹의 지주회사이다. 그만큼 영업에서 나오는 현금이 막대하다. 그러나 대부분 기업이 이 돈으로 여기저기 투자를 했다가 실패했다. 그러나 이제는 추가 투자를 멈추고 이전에 했던 실패한 투자를 손해로 인정한 뒤 새롭게 출발하려는 기업이 나오고 있다. 한일시멘트가 대표적인 기업이다. 한일시멘트는 투자유가증권 감액손실 3백69억원을 지난해 4분기에 한꺼번에 반영했다. 2001년에만 2백79억원의 적자를 낸 골칫거리 ‘케이에프텍’에 투자한 3백60억원을 청산했기 때문. 가장 골칫거리였던 자회사를 한꺼번에 비용으로 정리해 자산의 투명성을 높였을 뿐 아니라 구조조정의 의지를 보여줬다는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3백69억원 감액손실에도 불구하고 한일시멘트는 지난해 5백18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이는 전년에 비해 74%나 늘어난 수치다. 탄탄한 현금흐름과 영업력이 특징 역분식회계는 대부분 한 번에 손실을 장부에 반영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한 회사가 영업능력만 유지한다면 당기에 한번 반영된 손실은 다음해에 다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이런 기업은 손실 처리한 그 다음해 장부가 크게 좋아지기 마련이다. 역분식회계 기업의 또 다른 특징은 탄탄한 현금흐름과 영업력. 이런 자신감이 있기에 과감하게 보수적 회계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외환위기(IMF) 시절 모든 부실을 일거에 떨어버렸던 주택은행, 합병을 하면서 한꺼번에 비용을 그 해에 처리해 버린 엔씨소프트가 대표적인 경우다. 이 두 기업은 이후 이익이 크게 늘면서 주가도 함께 올랐다. 2002년 역분식회계로 이익을 줄여놓았던 두 기업의 2003년 실적이 기대된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영화관서 후루룩하다 민망”…CGV 컵냉면 '찐' 후기[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단독] 임영웅, 11월 KSPO돔서 단독 콘서트 개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의 ‘숫자 전쟁’…통계 국장 해임에 연준 이사 사임까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IPO 실패시 회수 어떻게?…구다이글로벌 CB 투자 딜레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구독하면 200만원 주식 선물', 팜이데일리 8월 행사 시작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