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고준석의 거꾸로보는 부동산] 부동산 하락기에는 경매 쳐다보지도 말라

[고준석의 거꾸로보는 부동산] 부동산 하락기에는 경매 쳐다보지도 말라

고준석
경매시장이 최근 안정세를 이어가면서 낙찰가도 주춤하고 있다. 이는 부동산 안정기에는 경매로 먹을 게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경매의 적기는 부동산시장 상승기와 안정기를 꼽을 수 있다. 이 때는 경매가 급매로 사는 것보다 유리하다. 그러나 부동산시장 하락기에는 경매는 쳐다보지도 말아야 한다. 경매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가격이 오를 때 사서 평가차익을 남겨야 한다. 경매기간을 따져 보면 빨라야 6개월에서 1년이 걸린다. 이런 경매 절차의 특성을 감안하면 부동산시장이 숨을 죽이고 있는 침체기에는 경매를 피하는 것이 유리하다. 부동산값이 비쌀 때 법원 감정가격이 매겨지고 그 뒤 계속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90% 수준에서 낙찰받는다 해도 비싸게 살 수밖에 없다. 경매와 급매의 공통점은 시세보다 싸게 살 수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경매는 10∼30%까지 싸게 살 수 있다. 하지만 급매는 시세보다 1∼3% 정도 할인받는 것이 전부다. 청담동 D아파트(34평형, 시세 4억5천만원, 시가표준액 2억8천만원)를 경매로 산 경우와 급매로 산 경우의 비용을 따져 보자. 경매로 산 경우 매입가(평균 낙찰률 91%)는 4억9백50만원이 된다. 취득·등록세(5.8%, 교육세 농특세 포함)는 낙찰가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세금 2천3백75만원을 포함하면 부동산 총 구입액은 4억3천3백25만원이 된다. 반면 급매로 사는 경우 평균 매입가(3%할인)는 4억3천6백50만원이며, 이 때는 시가표준액이 과세표준이 된다. 세금은 1천6백24만원이 되며, 부동산 총 구입액은 4억5천2백74만원이 된다. 따라서 경매로 사는 경우 급매보다는 1천9백49만원 정도 싸게 살 수 있다. 물론 급매로 사는 경우 권리분석에 따른 위험부담이 줄어든다. 게다가 보통 주택(6억원 미만)에 대해서는 실거래가가 아닌 시가표준액이 취득·등록세의 기준이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급매가 7% 이상 할인받지 못하면 경매보다 비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하나손해보험, 조직개편·임원인사 단행...보상서비스본부 신설

2오케이미트, 이마트에서 매운맛 소고기 30% 전단 행사 실시

3예금자보호한도 1억원으로 상향…2028년부터 새 보험료율 적용

4애플, 시총 5900조 육박...세계 최초 '4조달러' 기업 눈앞

5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안' 192석 중 가 192표로 가결

6"매일이 불안하다" 코스피, 2400선 탈환 후 마감...韓 탄핵안 우려 반영돼

7카드 관리부터 맞춤형 혜택까지…기업은행, ‘IBK 카드앱’ 출시

8토요타 가주 레이싱, ‘2025 도쿄 오토살롱’ 참가

9역시 드리미 로봇청소기, 국내 최대 흡입력으로 돌아오다… X50 Ultra 3차 티징 영상 공개

실시간 뉴스

1하나손해보험, 조직개편·임원인사 단행...보상서비스본부 신설

2오케이미트, 이마트에서 매운맛 소고기 30% 전단 행사 실시

3예금자보호한도 1억원으로 상향…2028년부터 새 보험료율 적용

4애플, 시총 5900조 육박...세계 최초 '4조달러' 기업 눈앞

5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안' 192석 중 가 192표로 가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