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재테크] 금 펀드보다 부동산 펀드가 유리

[재테크] 금 펀드보다 부동산 펀드가 유리

금값이 오르자 금 투자를 문의하는 고객들이 늘고 있다.
금값이 최근 심상치 않게 움직이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금은 달러화 가치와 정반대로 움직이는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달러화 가치가 오르면 금 가격은 떨어지고, 내리면 상승했다. 그런데 최근 이런 상관관계에 변화가 생겼다. 달러화가 상승하는데도 불구하고 금값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금값은 달러화와 연동하지 않는 대신 유가 움직임과 매우 밀접하게 움직이고 있다. 즉 유가가 오르면 금값도 오르고 유가가 숨고르기에 들어가면 금값도 다소 상승세를 멈추는 양상이다. 그렇다면 17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하며 관심을 끌고 있는 금에 대한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종전에는 종로 귀금속 가게 등에서 실물을 사는 것이 유일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투자 방법이 훨씬 다양해졌다. 금 투자는 크게 직접투자와 간접투자로 나눌 수 있다. 직접투자에는 귀금속 가게에서 금 실물을 직접 살 수도 있고, 금융기관에 있는 ‘골드뱅킹(2003년부터 판매)’을 이용할 수도 있다. 골드뱅킹은 현재 신한은행과 조흥은행에서 ‘골드리슈(Gold Riche)’라는 상품으로 취급하고 있다. 고객이 금 매입을 원할 경우 그램 단위의 금을 통장에 적립해 주기도 하고 창구에서 금 실물을 주기도 한다.

골드뱅킹으로 싸게 금 살 수 있어 ‘골드리슈금적립’ 또는 ‘금자유상품’은 금의 실물 거래 없이 통장으로만 적립할 수 있다. 기준이 되는 금값에서 +1.2%의 수수료가 붙은 가격으로 금 매입 및 적립이 가능하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금 한 돈 가격으로 환산하면 9월 29일 현재 5만9000원 정도에 매입이 가능하다. 시중에서 금 한 돈이 7만원 정도에 거래되는 것과 비교하면 매우 싼 가격에 금을 살 수 있는 셈이다. 적립하고 있던 금을 다시 팔아 현금화할 때에는 기준 금값에서 -1.2%를 차감한 가격으로 거래가 된다. 따라서 사고팔 때 각각 1.2%의 수수료가 들기 때문에 금값이 2.4% 이상 올라주면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 발생 수익은 모두 비과세다. 예를 들어 지난 6월께 금통장에 적립했다가 지금 시점에 되판다면 거래수수료를 제외하더라도 약 13% 정도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골드뱅킹을 취급하는 은행에서도 금 실물을 살 수 있다. 금 실물의 종류에는 100g, 500g, 1㎏이 있으며 금 실물 매입 시 적용되는 수수료는 기준 금값 대비 5%로 통장을 이용한 거래보다 약 3.8%가 비싸다. 또 금 실물 거래 시에는 부가가치세 10%를 납부해야 하므로 매입 단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9월 29일 현재 신한은행에서 고시한 금 실물 가격을 1돈으로 환산하면 세금을 포함해 약 6만7770원 정도가 된다. 금에 대한 직접투자 시 유의해야 할 점은 고시되는 금값이 국제 금 시세와 꼭 일치해 변동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국제 금 시세는 달러화로 표시되지만 국내 금 시세는 원화로 표시되기 때문에 달러화를 원화로 환전할 경우 개입되는 원-달러 환율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원화 평가절하) 국제 금 시세가 오르지 않더라도 국내 표시 금 시세는 오를 수 있다. 또 국제 금 시세 오름폭보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원화 평가절상) 국내 금 시세는 떨어질 수 있다.

금 간접투자, 유동성 떨어지는 단점 금을 직접 투자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골드 선물이 있다. 하지만 골드 선물은 현재 거래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선물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간접적인 투자 방법으로는 금 펀드나 지수연동예금 등이 있다. 은행에서 판매하는 ‘골드지수연동예금’의 경우 원금 보장은 되면서 금값의 변동에 따라 수익률을 적용받을 수 있다. 옵션과 같이 파생상품을 이용해 수익률이 발생되는 상품은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펀드나 예금 가입 시 수익 발생 구조를 꼼꼼히 살펴보고 가입해야 한다. 어떤 펀드나 예금은 금값이 상승할 때 수익률이 발생한다. 금값이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일 때 수익이 발생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간접투자 상품은 원금이 보장된다는 의미에서 직접투자에 비해 안정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발생되는 수익률에 대해 이자소득세를 납부해야 하고 환매·중도해지 등이 자유롭지 않다. 만기까지 대부분 들고 가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동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투자에도 트렌드가 있다. 어느 때는 부동산을 해야 투자수익률이 좋고, 어느 때는 주식을 해야 투자수익률이 좋을 수 있다. 그러나 ‘어느 때’라고 하는 것은 매일 그것만 보고 있는 전문가라 하더라도 정확한 시기를 맞히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최근과 같이 국제 유가가 고공 행진을 지속하고 있을 때에는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측면에서 조금씩 금에 대한 자산 비중을 늘려가는 것도 하나의 투자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뺑소니 혐의’에 ‘음주운전 의혹’에도…가수 김호중, 공연 강행

2 “푸틴, 시진핑과 ‘올림픽 휴전’ 문제 논의”

3尹, 과학계 숙원 ‘R&D 예타’ 폐지 언급…“건전재정, 무조건 지출 감소 의미 아냐”

4‘민희진 사태’ 처음 입 연 방시혁 “악의로 시스템 훼손 안 돼”…법정서 ‘날 선 공방’

5“‘치지직’ 매력에 감전 주의”…팝업스토어 흥행

6“자신감 이유 있었네”…‘AI 가전=삼성전자’에 압축된 전략들

7넷마블 '아스달 연대기: 세 개의 세력', 총세력장 결정하는 첫 선거 예고

8“트랙스 공짜로 드립니다”...쉐보레, 특별한 행사 연다

9거래소, 미래에셋·신한·KB자산운용 등 ETF 4종목 21일 상장

실시간 뉴스

1‘뺑소니 혐의’에 ‘음주운전 의혹’에도…가수 김호중, 공연 강행

2 “푸틴, 시진핑과 ‘올림픽 휴전’ 문제 논의”

3尹, 과학계 숙원 ‘R&D 예타’ 폐지 언급…“건전재정, 무조건 지출 감소 의미 아냐”

4‘민희진 사태’ 처음 입 연 방시혁 “악의로 시스템 훼손 안 돼”…법정서 ‘날 선 공방’

5“‘치지직’ 매력에 감전 주의”…팝업스토어 흥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