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빈치 코드의 허구와 진실
‘다빈치 코드’에는 음모와 은폐 의혹이 너무 많이 제기되기 때문에 무엇이 진실인지 헤아리기 어렵다. 그 내용을 살펴본다.
다빈치 코드 : 1099년 어느 프랑스 왕이 자신의 혈통에 관한 진실을 보호하고 그 지식을 후계자들에게 비밀리에 전하려고 세웠다.
알려진 사실 : 수도회는 1956년 피에르 플랑타르가 구성한 작은 단체였다. 사기 전과자였던 그는 수도회의 역사를 조작했다.
다빈치 코드 : 오푸스 데이는 부패한 주교가 이끄는 기독교 변두리 지부다. 자학적인 수도사가 그의 뜻을 행동에 옮긴다.
알려진 사실 : 주로 보수적인 가톨릭 평신도 집단이다. 이들 중 소수가 매일 가벼운 자학 행위를 하지만 대부분 독실하고 평범한 삶을 영위한다.
다빈치 코드 : 예수 옆의 하얀 얼굴을 한 사람은 다름아닌 막달라 마리아다. 비평가들도 수 세기 동안 그 사실을 알아채지 못했다.
알려진 사실 : 학자들 사이에서는 성 요한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이다. 그 인물이 막달라 마리아라는 설은 ‘다빈치 코드’에서 비롯된 듯.
다빈치 코드 : 자신과 뱃속에 있는 아기의 안전을 우려해 마리아는 그 성지를 떠나 지금의 프랑스인 갈리아로 향한다.
알려진 사실 : 여러 전설이 난무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설은 11세기 초에 제기됐다.
다빈치 코드 :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성배는 사실 막달라 마리아, 더 구체적으로 그리스도의 아기를 품었던 그녀의 자궁을 가리킨다.
알려진 사실 : 많은 신화가 존재하는데 그중 다수가 최후의 만찬에서 그리스도가 제자들에게 와인을 나눠줄 때 사용한 컵이라고 밝혔다.
다빈치 코드 : 비밀 결사조직 시온 수도회의 무장 조직으로 그리스도 가계의 진실이 담긴 사라진 문서들을 되찾을 목적으로 결성됐다.
알려진 사실 : 예루살렘을 방문하는 순례자 보호를 위해 세워진 수도원의 군사 조직이다.
다빈치 코드 : 콘스탄티누스가 종교적 혼란을 진정시키고 로마제국을 통합하려고 니케아 공회로 하여금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는 성서를 편찬하게 했다.
알려진 사실 : 콘스탄티누스는 성서 편찬에 관여하지 않았다. 성서의 정경은 기본적으로 이미 정해져 있었다. 니케아 공회는 그 내용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결정했다.
다빈치 코드 : 외경 복음서 중의 하나.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가 남편과 아내라는 점을 시사한다.
알려진 사실 : 1950년대에 이집트 나그 하마디에서 발견된 영지주의 문서의 일부. 그러나 전문가들은 거기서 말하는 예수와 마리아의 결합이 순전히 정신적인 측면이라고 말한다.
다빈치 코드 : 교회는 남성 중심 체계를 갖추려고 여성을 사악한 존재로 묘사했다. 여성을 권력에서 몰아내기 위해 마녀라는 오명을 씌웠고 나중에는 수천 명씩 화형에 처했다.
알려진 사실 : 초기 교회에서 몇몇 여성은 실제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교회가 그들의 역할을 의도적으로 축소하려고 그들의 명예를 훼손했는지 여부는 논란의 대상이다.
다빈치 코드 : 파리의 로즈 라인은 지구의 본초자오선 역할을 했다. 생 실피스 성당의 바닥에 그어진 선이 그 경로를 가리킨다.
알려진 사실 : 그리니치 이전의 ‘파리 자오선’은 실제로 파리와, 심지어 생 실피스를 관통한다. 그러나 성당 바닥에 그어진 선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다빈치 코드 : 이교도의 남성 상징(칼날)과 여성 상징(접시)의 통합을 가리킨다.
알려진 사실 : 다윗의 별로 가장 잘 알려졌다. 하지만 유대교의 상징이 되기 전에는 적대세력 간의 통합을 의미하는 데 사용됐을 가능성도 있다.
다빈치 코드 : 템플 기사단이 1466년 세운 예배당으로 한때 막달라 마리아의 유해가 안치된 장소였다.
알려진 사실 : 실제로 있지만 템플 기사단이 세우지 않았으며 19세기에 와서야 기사단과 연관이 있었다. 마리아의 유해가 안치됐던 적도 없다.
1. 시온 수도회는 무엇인가? |
다빈치 코드 : 1099년 어느 프랑스 왕이 자신의 혈통에 관한 진실을 보호하고 그 지식을 후계자들에게 비밀리에 전하려고 세웠다.
알려진 사실 : 수도회는 1956년 피에르 플랑타르가 구성한 작은 단체였다. 사기 전과자였던 그는 수도회의 역사를 조작했다.
2. 오푸스 데이는 무엇인가? |
다빈치 코드 : 오푸스 데이는 부패한 주교가 이끄는 기독교 변두리 지부다. 자학적인 수도사가 그의 뜻을 행동에 옮긴다.
알려진 사실 : 주로 보수적인 가톨릭 평신도 집단이다. 이들 중 소수가 매일 가벼운 자학 행위를 하지만 대부분 독실하고 평범한 삶을 영위한다.
3.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의 오른쪽에 앉은 이는 누구인가? |
다빈치 코드 : 예수 옆의 하얀 얼굴을 한 사람은 다름아닌 막달라 마리아다. 비평가들도 수 세기 동안 그 사실을 알아채지 못했다.
알려진 사실 : 학자들 사이에서는 성 요한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이다. 그 인물이 막달라 마리아라는 설은 ‘다빈치 코드’에서 비롯된 듯.
4. 예수의 십자가 형 이후 막달라 마리아는 갈리아로 도피했는가? |
다빈치 코드 : 자신과 뱃속에 있는 아기의 안전을 우려해 마리아는 그 성지를 떠나 지금의 프랑스인 갈리아로 향한다.
알려진 사실 : 여러 전설이 난무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설은 11세기 초에 제기됐다.
5. 성배는 무엇인가? |
다빈치 코드 :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성배는 사실 막달라 마리아, 더 구체적으로 그리스도의 아기를 품었던 그녀의 자궁을 가리킨다.
알려진 사실 : 많은 신화가 존재하는데 그중 다수가 최후의 만찬에서 그리스도가 제자들에게 와인을 나눠줄 때 사용한 컵이라고 밝혔다.
6. 템플 기사단은 누구였나? |
다빈치 코드 : 비밀 결사조직 시온 수도회의 무장 조직으로 그리스도 가계의 진실이 담긴 사라진 문서들을 되찾을 목적으로 결성됐다.
알려진 사실 : 예루살렘을 방문하는 순례자 보호를 위해 세워진 수도원의 군사 조직이다.
7.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그리스도의 신성을 강조하는 성서를 의도적으로 편찬했나? |
다빈치 코드 : 콘스탄티누스가 종교적 혼란을 진정시키고 로마제국을 통합하려고 니케아 공회로 하여금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는 성서를 편찬하게 했다.
알려진 사실 : 콘스탄티누스는 성서 편찬에 관여하지 않았다. 성서의 정경은 기본적으로 이미 정해져 있었다. 니케아 공회는 그 내용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결정했다.
8. 빌립 복음서는 무엇인가? |
다빈치 코드 : 외경 복음서 중의 하나.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가 남편과 아내라는 점을 시사한다.
알려진 사실 : 1950년대에 이집트 나그 하마디에서 발견된 영지주의 문서의 일부. 그러나 전문가들은 거기서 말하는 예수와 마리아의 결합이 순전히 정신적인 측면이라고 말한다.
9. 기독교 초기 교회가 부주제(父主制)를 만들기 위해 여성의 역할을 경시한 게 사실인가? |
다빈치 코드 : 교회는 남성 중심 체계를 갖추려고 여성을 사악한 존재로 묘사했다. 여성을 권력에서 몰아내기 위해 마녀라는 오명을 씌웠고 나중에는 수천 명씩 화형에 처했다.
알려진 사실 : 초기 교회에서 몇몇 여성은 실제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교회가 그들의 역할을 의도적으로 축소하려고 그들의 명예를 훼손했는지 여부는 논란의 대상이다.
10. ‘로즈 라인’은 무엇인가? |
다빈치 코드 : 파리의 로즈 라인은 지구의 본초자오선 역할을 했다. 생 실피스 성당의 바닥에 그어진 선이 그 경로를 가리킨다.
알려진 사실 : 그리니치 이전의 ‘파리 자오선’은 실제로 파리와, 심지어 생 실피스를 관통한다. 그러나 성당 바닥에 그어진 선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11. 육망성의 기원은? |
다빈치 코드 : 이교도의 남성 상징(칼날)과 여성 상징(접시)의 통합을 가리킨다.
알려진 사실 : 다윗의 별로 가장 잘 알려졌다. 하지만 유대교의 상징이 되기 전에는 적대세력 간의 통합을 의미하는 데 사용됐을 가능성도 있다.
12. 스코틀랜드의 로슬린 예배당은 실제로 존재하나? |
다빈치 코드 : 템플 기사단이 1466년 세운 예배당으로 한때 막달라 마리아의 유해가 안치된 장소였다.
알려진 사실 : 실제로 있지만 템플 기사단이 세우지 않았으며 19세기에 와서야 기사단과 연관이 있었다. 마리아의 유해가 안치됐던 적도 없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건주, 프랑스 입양 남동생 찾았다 “미안해. 보고 싶었어” 오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故김새론과 약속 지키고 싶었다”…베일 벗은 유작 ‘기타맨’ [종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대 이모님 가전답네”…더러운 우리집 새집 만드는 ‘이것’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백기사’로 얽힌 재계…경영권 분쟁 때 빛나는 동맹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바이오로직스 ‘영업이익률 42.7%’, 백신기업 1위...고수익 유지 가능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