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펀드들이 거품 키우다 ‘펑’
한국 펀드들이 거품 키우다 ‘펑’
2006년 최고의 이머징투자펀드라는 찬사를 받았던 베트남펀드는 출시 2년여 만에 원금의 30% 이상을 까먹었다. 또 일부 투자자는 원금의 절반가량을 잃었다. 비슷한 기간 중국펀드도 수익률이 곤두박질쳤지만 베트남펀드와는 그 원인과 결과가 크게 다르다는 것이 펀드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펀드의 손실이 천재(天災)였다면 베트남펀드는 인재(人災)라는 평가다. 실적에 눈먼 판매사(은행,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이 무분별하게 펀드를 개발, 판매한 것이 화근이었다는 지적이다. 과유불급(過猶不及). 베트남펀드의 추락 원인에 대해 펀드전문가들은 한결같이 이렇게 말한다. 해외펀드 열풍에 힘입어 자산운용사들이 경쟁하듯 관련 펀드를 출시한 결과라는 것이다. 2006년 하반기 국내 펀드시장에는 베트남 열풍이 불었다. ‘전체 인구의 70%가 20대인 젊은 베트남에 투자하세요’ ‘베트남의 증시 상승과 경제 성장은 계속됩니다’라는 광고 문구가 시장을 도배했고, 해외펀드의 꿀맛을 본 투자자들은 돈을 싸 들고 달려왔다. 심지어 베트남은 ‘리틀 차이나’로 불리기까지 했다. 베트남펀드에 돈이 몰리자 자산운용사들은 유사상품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기 시작했다. 2006년 4개에 불과했던 베트남펀드는 이듬해 12개로 증가했다. 베트남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 투자하는 펀드까지 합치면 무려 30개가 넘는 상품이 출시됐다. A자산운용사 상품개발팀장은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던 베트남이 각광받으면서 사내에서 관련 펀드 개발 압력을 많이 받았다”며 “일부 상품개발자는 펀드 출시를 반대하기도 했지만 시장 상황에 못 이겨 결국 상품을 내놓기도 했다”고 당시 분위기를 전했다. 자산운용사들이 경쟁하듯 상품을 출시하면서 베트남펀드의 자산규모는 날이 갈수록 증가했다. 2006년 하반기 6개월 동안에만 5000억원이 넘는 시중자금이 몰렸고, 2007년에는 1조원을 훌쩍 넘었다. 문제는 베트남펀드의 덩치는 커지고 있었지만 정작 투자대상인 베트남 증시는 준비가 안 돼 있었다는 것이다. 베트남 증시는 2005년 말 기준 시가총액이 5000억원 정도에 불과한 초미니 시장이었다. 웬만한 코스닥 상장기업 한 종목에도 미치지 못하는 규모였던 셈이다. 상장종목 수도 30여 개에 불과했다. 게다가 주식거래 제도도 제대로 정비가 안 된 상태였다. 이런 조그마한 시장에 대규모 자금이 몰리면 어떻게 될까. 다시 말해 주식을 사려는 자금은 많은데 주식이 없다면? 당연히 주가는 오를 수밖에 없다. 2006년 6월 국내에 베트남펀드가 본격 출시되면서 한국 펀드는 베트남 증시에서 가장 큰 기관투자가가 됐다. 한국 펀드가 영세한 증시에 엄청난 자금을 쏟아 부으면서 주가를 끌어올리기 시작한 것이다. 실제로 2006년 6월 500포인트대였던 베트남 증시는 그해 말 700포인트를 넘어섰고, 2007년에는 1000포인트를 돌파했다. 같은 기간 국내 베트남펀드에는 1조원이 넘는 돈이 몰렸다. 지난 5월 18일 현재 국내 베트남펀드(베트남 투자 해외펀드 포함) 규모는 1조8000억원 정도. 이는 베트남 증시 전체 시가총액(약 17조원)의 10%가 넘는 수치다. 쉽게 말해 베트남 증시 10분의 1은 한국 돈인 셈이다. 또 베트남 증시의 전체 외국인 투자 중 한국 펀드 비중은 40%에 육박하는 상태다. 강영선 알리안츠자산운용 이사는 “베트남펀드의 인기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는 베트남 증시 하루 평균 주식거래량 중 30%가량을 한국 펀드가 차지할 정도였다”며 “베트남펀드를 운용하는 한국의 펀드매니저가 출근하는 날은 베트남 증시가 오른다는 우스갯소리마저 나왔다”고 말했다. 2007년 7월 한국 펀드가 베트남 증시의 고성장에 취해 있는 사이 해외자본들은 버블 붕괴를 우려하며 철수하기 시작했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y,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 미국 H마트 입점
2라이엇 게임즈, 7번째 국외소재 문화유산 ‘경복궁 선원전 편액’ 환수 성공
3로레알, 사노피 지분 4조5000억원 처분
4“중국산 AI 꼼짝 마”…챗GPT, 딥시크 3배 정확도 ‘딥 리서치’ 출시
5오름테라퓨틱, 공모가 2만원 확정...14일 코스닥 상장
6尹, 20일 첫 형사재판...‘출석 여부’는 미지수
7외국인 떠난 삼성전자, ‘5만 전자’ 위태…목표가 ‘줄하향’ 무슨 일
8"2심도 전부 무죄"... '사법 리스크' 벗은 이재용, 2심 쟁점 무엇이었나
9한국 매출 늘었는데...코스트코, 연회비 최대 15%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