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문장을 기초로 단락(paragraph)을 분석해 보자. 대개 단락이라고 하면 네댓 문장으로 구성된 글의 단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단락의 핵심은 문장의 수가 아니라 문장들 사이에 흐르는 일관된 생각이다. 앞서 말한 chunk보다는 범위가 넓은 ‘생각의 단위’가 단락이다. 한편의 글이 하나의 주제를 이룬다면 하나의 단락은 소주제를 이룬다. 하나의 단락은 구조적으로 볼 때 대개 Topic Sentence(주제 문장)와 Supporting Details(뒷받침 문장), 그리고 Closing Sentence(맺음 문장)로 구성되며 의미의 흐름으로 볼 때는 기(Introduction) - 승(Development) - 전(Turn) - 결(Conclusion)의 형식을 따른다.
SKIMMING그런 구성을 머리 속에 그려놓고 글의 핵심을 이루는 주제어들을 찾아 그 틀 안에 집어넣으면 이해가 훨씬 쉽고 빨라진다. 그 핵심 주제어를 찾을 때 유용한 기법으로 skimming이 있다. 글의 제목과 내용을 대강 훑어보며 납작한 돌로 물수제비를 뜨듯, 하늘을 나는 새가 물고기를 낚아채듯 눈에 띄는 key words를 찾아내 빠르게 주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그렇게 주제를 파악해 다시 공들여 읽을 만한 내용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skimming을 할 때는 잘 모르는 단어나 문장구조의 파악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정보 단위로 끊어 읽으며 전체적으로 빠르게 훑어 내려가는 습관을 몸에 익혀야 한다. 물론 부단한 노력과 훈련을 요구하지만 제한된 시간 내에 지문을 모두 읽어야 하는 토플·토익·수능 시험 등에도 꼭 필요한 방법이다.
다음은 skimming에서 지켜야 할 몇 가지 원칙이다.
첫째, 제목·사진·발문을 훑어보며 글쓴이의 의도를 추리한다.
둘째, 주어·동사·목적어·보어를 중심으로 읽어 내려가며 육하원칙의 각 요소를 파악한다.
셋째, 부사 등의 수식어, 부연 설명하는 문장, 직책, 숫자, 인용구 등은 과감히 건너뛴다.
넷째, 특히 중문과 복문은 문장구조에 얽매이지 말고 정보 단위로 읽는다.
다섯째,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은 주제의 핵심 단어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으니 집중해서 읽는다
여섯째, ‘for example’ ‘in contrast’ ‘consequently’ 등 글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담화표지(discourse marker)에 주목한다.
일곱째, 그렇게 추려낸 키워드로 주제를 추론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다음 문장을 skimming하며 키워드를 찾아 보자. (난이도: 초급)
어처구니없는 아프간 미군
Vocabulary
· be consumed 사로잡히다, 몰두하다 · blistering 맹렬한, 신랄한
· liability 불리하게 작용하는 존재, 부담
· go about 대처하다, 접근하다 · treacherous 위험한, 불안정한
· protection racket 보호해주는 대가로 돈을 받는 행위. racket(부정한 돈벌이)
Clues 미국 정부와 21억60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은 아프간·미국·중동의 8개 기업이 “군벌·실력자 그리고 부패한 아프간 관료로 이뤄진 정체가 모호한 조직망의 보호를 받는 대가”로 돈을 지불한다.
Tips ‘미군이 군벌에 의존한다(U.S. troops rely on warlord racket)’는 제목만 봐도 ‘아프간 주둔 미군이 현지 군벌들의 도움을 받는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다만 racket의 의미가 궁금하지만 빠른 요지 파악이 목적인 skimming의 중요한 원칙 중의 하나가 ‘모르는 단어에 5초 이상 매달리지 말자’임을 명심하자. 지엽적인 정보에 오래 골몰하다 보면 앞서 머리에 입력된 주어나 동사 등 주요 정보를 까먹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의문은 대부분 문장을 읽어 내려가다 보면 풀리게 마련이다(여기서는 ‘정체불명의 조직이 운영하는 방대한 protection racket에 돈을 지불한다’는 마지막 문장에서 일종의 서비스나 사업으로 추정된다).
그동안 이 난을 꾸준히 읽어본 사람이라면 눈치챘겠지만 영문기사의 첫 문장은 대개 독자에게 익숙한 이야기(구정보), 또는 적어도 그들과 가까운 사람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독자가 사진, 제목 그리고 본문 첫 문장의 순서로 이동하며 글을 계속 읽을지, 아니면 중단할지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첫 부분에 지나치게 생소하거나 난해한 정보를 내놓기보다는 독자에게 친숙한 화제를 던지며 이야기를 풀어간다.
이 기사에서는 ‘매크리스털 아프간 주둔 미군 사령관의 사임(Gen. Stanley McChrystal’s resignation)’ 소식으로 글을 시작했지만 이는 실상 주제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단지 매크리스털의 사임이 누구나 알만큼 큰 뉴스였기 때문에 독자의 관심을 끄는 수단(attention-grabber)으로 이용했을 뿐이다. 그리고 이어서 본론(신정보)을 꺼낼 때는 ‘이제부터 말하는 게 중요하니 집중해 달라’는 의미의 신호를 보낸다.
그런 신호로는 보통 접속사 but, 콜론(:), 의문문 등이 쓰인다. 이 단락에서는 콜론(:) 뒤에 키워드를 제시했다(depends on a very dangerous liability: Afghan warlords). 쉽게 풀어 쓰면 “아주 위험한 존재에 의존하는데 그게 누군줄 아니? 다른 무리도 아니고 아프간 군벌들이래. 놀랐지?” 정도의 의미다. 그리고 뒤에 가서 주제를 제시할 때도 의문문 ‘The result?(그 내용이 뭐냐고?)’로 재차 독자의 관심을 환기시킨다.
Inference 아프간 주둔 미군의 보급물자를 수송하는 데 아프간 군벌 등으로 이뤄진 조직의 보호를 받는다.
Chunking 이번에는 순차적으로 각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며 추론이 맞았는지 확인해 보자. 1 Afghanistan watchers have been so consumed / by Gen. Stanley McChrystal’s resignation, / many missed Rep. John Tierney’s (D-Mass.) blistering report / revealing how logistical support for U.S. and NATO troops / depends on a very dangerous liability: / Afghan warlords.
아프간 관측통들이 너무 사로잡혔다 → 무엇에 사로잡혔나? → 스탠리 매크리스털 장군의 사임 소식에 → 그래서 어떻게 됐나? → 다수가 존 티어니 하원의원의 통렬한 보고서에 신경을 쓰지 못했다 → 어떤 내용의 보고서인데? → 미군과 NATO 군의 병참지원 방법을 밝힌 보고서다 → 어떤 방법인가? → 아주 위험한 존재에 의존하는 방법이다 → 어떤 위험한 존재인가? → 아프간 군벌들이다
2 The congressional investigation revealed / how the Department of Defense goes about / shipping the hundreds of thousands of tons of fuel, food, weapons, and water / across vast stretches of treacherous terrain.
의회 보고서는 폭로했다 → 무엇을 폭로했나? → 미국 국방부가 어떤 식으로 대처하는지를 → 어떤 일에 대처하는 방식인가? → 수십만t의 연료·식료품·무기·식수를 운반하는 일 → 어디로 운반하나? → 방대하고 험한 산길 너머로
3 According to Tierney, / a $2.16 billion contract / with eight Afghan, American, and Middle Eastern companies / who pay for “a vast protection racket / run by a shadowy network / of warlords, strongmen, [and] corrupt Afghan officials.”
티어니의 말로는 → 어떤 내용인가? → 21억6000만 달러의 계약 → 누구와의 계약인가? → 8개 아프간·미국·중동 기업과의 계약 → 그 기업들은 어떤 일을 하나? → 방대한 보호 서비스에 돈을 지불한다 → 누가 운영하는 서비스인가? → 의심스러운 조직망 → 어떻게 구성된 조직인가? → 군벌, 실력자 그리고 부패한 아프간 관료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고영, 美신경외과학회서 뇌 수술용 의료로봇 ‘지니언트 크래니얼’ 첫 공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서유리 "혹시 누가 해코지할까 봐…" 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또 물러섰다…車관세 완화 어떻게 달라지나[Q&A]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