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장을 넘어 단락으로
문장을 기초로 단락(paragraph)을 분석해 보자. 대개 단락이라고 하면 네댓 문장으로 구성된 글의 단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단락의 핵심은 문장의 수가 아니라 문장들 사이에 흐르는 일관된 생각이다. 앞서 말한 chunk보다는 범위가 넓은 ‘생각의 단위’가 단락이다. 한편의 글이 하나의 주제를 이룬다면 하나의 단락은 소주제를 이룬다. 하나의 단락은 구조적으로 볼 때 대개 Topic Sentence(주제 문장)와 Supporting Details(뒷받침 문장), 그리고 Closing Sentence(맺음 문장)로 구성되며 의미의 흐름으로 볼 때는 기(Introduction) - 승(Development) - 전(Turn) - 결(Conclusion)의 형식을 따른다.
Skimming그런 구성을 머릿속에 그려놓고 글의 핵심을 이루는 주제어들을 찾아 그 틀 안에 집어넣어 보면 이해가 훨씬 쉽고 빠르다. 그 핵심 주제어를 찾을 때 유용한 기법으로 스키밍(skimming)이 있다. 글의 제목과 내용을 대강 훑어보며 납작한 돌로 물수제비를 뜨듯, 하늘을 나는 새가 물고기를 낚아채듯 눈에 띄는 키워드(key words)를 찾아내 빠르게 주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그렇게 주제를 파악해 다시 공들여 읽을 만한 내용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다. 스키밍을 할 때는 잘 모르는 단어나 문장구조의 파악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정보 단위로 끊어 읽으며 전체적으로 빠르게 훑어내려 가는 습관을 몸에 익혀야 한다. 물론 부단한 노력과 훈련을 요구하지만 제한된 시간 내에 지문을 모두 읽어야 하는 토플·토익·수능 시험 등에도 꼭 필요한 방법이다.
다음은 skimming에서 지켜야 할 몇 가지 원칙이다.
첫째, 제목·사진·발문을 훑어보며 글쓴이의 의도를 추리한다.
둘째, 주어·동사·목적어·보어를 중심으로 읽어 내려가며 육하원칙의 각 요소를 파악한다.
셋째, 부사 등의 수식어, 부연 설명하는 문장, 직책, 숫자, 인용구 등은 과감히 건너뛴다.
넷째, 문장구조에 얽매이지 말고 정보 단위로 읽는다.
다섯째, 첫 문장과 마지막 문장은 주제의 핵심 단어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으니 집중해서 읽는다.
여섯째, ‘for example’ ‘in contrast’ ‘consequently’ 등 글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표지어(discourse marker)에 주목한다.
일곱째, 그렇게 추려낸 키워드로 주제를 추론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제 뉴스위크 기사에 skimming 기법을 적용해 보자. (난이도: 중급)
“잉글랜드로부터 독립하겠다”
A Winning Bet?
Scotland’s desire for independence has been a touchy subject for centuries. But under First Minister Alex Salmond, the land of William Wallace just might win its freedom.
STEP 1 제목을 보고 어떤 내용일지 미리 생각해 보자.
제목은 ‘성공한 도박’이라는 뜻이다. 이 제목은 글의 내용과 관련해 구체적인 정보를 주기보다 궁금증을 유발한다. 누가 어디서 어떤 도박을 해서 어떻게 성공하는지는 부제에서 살펴 보자. ‘스코틀랜드의 독립 욕구는 수세기 동안 뜨거운 감자였다. 그러나 알렉스 새먼드 제1장관(총리 격)의 등장으로 윌리엄 월러스의 땅이 마침내 자유를 얻을지도 모른다.’ 이 내용을 보면 알렉스 새먼드가 어떤 도박을 해서 스코틀랜드가 독립을 얻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주제인 듯하다. 이제 새먼드가 어떤 도박을 하는지(how)는 본문에서 찾아 보도록 하자. 그런데 윌리엄 월러스가 누군지 궁금하다고? 스키밍에서는 요지만 알아내면 나머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모든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는 완벽주의를 버리지 못하면 스키밍은 결코 성공하지 못한다.
STEP 2 Skimming 기법을 적용해 주제를 찾아보자.
Alex Salmond has always liked a gamble. By age 10, the future leader of the Scottish National Party had backed his first winning horse. Later, after becoming a prominent politician, he wrote a racing column. ① But his biggest wager came as a student in the ’70s, when he signed up with the Nationalists, long-odds outsiders committed to the unlikely goal of independence. It’s a gamble that’s paid off handsomely.
Keywords Alex Salmond(알렉스 새먼드), gamble(도박), the Scottish National Party(스코틀랜드 국민당), his biggest wager(그의 가장 큰 도박), signed up with the Nationalists(국민당에 가입했다), long-odds outsiders(집권 확률이 떨어지는 비주류), the unlikely goal of independence(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독립)
① “그러나 그의 가장 큰 도박은 1970년대 학창 시절 스코틀랜드 국민당(SNP)에 가입한 일이었다. SNP는 당시 현실성이 거의 없는 독립을 표방하는, 집권의 확률이 낮은 비주류 정당이었다.”
‘배경설정(도박을 좋아했다) + 부연설명(10세 때, 정치인 시절의 도박 관련 활동) + 주제(최대의 도박은 국민당 가입)’의 구조다. 이 기사의 키워드는 제목에도 나왔듯이 ‘도박’이다. 새먼드의 총선 승리와 스코틀랜드의 독립이 소재와 주제라면 도박은 기사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관통하는 스토리 구조 즉 끈(thread)이다. 새먼드의 스코틀랜드 총선 승리라는 뉴스 소재에는 여러 가지 측면이 있다.
그의 개인적인 인간 스토리, 정치적인 측면, 사회적인 측면, 경제적인 측면 등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주제가 나온다. 이를 언론계 속어로 ‘야마’라고 하는데 이 뼈대가 확실히 서야만 기사의 요지를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스코틀랜드의 독립이 ‘야마’에 해당된다. 거기에 덧붙여 그 뼈대를 처음부터 끝까지 묶어주는 끈이 있으면 금상첨화다. 여기서는 도박이 그 끈 구실을 하면서 스코틀랜드 독립이라는 주제에 스토리의 살을 입혀 나간다. 특히 기사의 도입부와 종결부를 이 끈으로 연결할 때 독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다. 이 글도 제목의 bet으로부터 도입부의 gamble, winning horse, wager, long-odds, 그리고 이 코너에는 실리지 않았지만 종결부의 rash punter(성급한 도박꾼)까지 도박과 관련된 용어가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한편 스키밍(skimming)의 관점에서 이 키워드를 알아내면 주제뿐 아니라 생소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STEP 3 Context Clues 사전을 찾기 전에 문맥에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
1 wager ‘그러나 그의 가장 큰 wager는 1970년대 학창 시절 스코틀랜드 국민당(SNP)에 가입한 일이었다’.
첫 문장이 ‘새먼드가 도박(gamble)을 좋아한다’는 내용이다. ‘10세 때 경마에 베팅했고 정치인이 된 뒤에도 경마 칼럼을 썼다’는 말은 계속 도박을 즐겨 왔다는 뜻이다. 이어서 ‘그러나 최대의 wager는 …이었다’고 한다면 wager는 ‘도박’이라는 의미가 돼야 맞다. 결정적으로 ‘그 도박은 후하게 보상을 줬다’는 마지막 문장이 이를 뒷받침한다.
→ 내기, 도박
2 long-odds ‘SNP는 당시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독립을 표방하는 long-odds 비주류 정당이었다’.
도박은 불확실하지만 위험 부담을 감수하고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행위다. 그런데 ‘SNP 가입이 새먼드 인생 최대의 도박’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가장 확률이 떨어지는 선택이라는 뜻이다. SNP는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독립을 표방’하는 ‘비주류’ 정당이다. 그렇다면 정당의 궁극적인 목표인 집권과는 거리가 먼 셈이다.
→ (집권) 확률이 낮은, 가망이 없는
3 handsomely ‘그 도박은 handsomely 보상을 줬다’
도박은 돈을 따든지 잃든지 둘 중 하나다. 이어지는 문장(다음 단락 첫 문장)을 보면 ‘지난 5월 새먼드가 이끄는 SNP는 스코틀랜드 총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고 했다. 집권 가능성이 거의 없는 정당이 총선에서 압승을 거뒀으니 SNP에 가입한 새먼드 인생 최대의 도박은 큰 보상을 받은 셈이다
→ 후하게, 듬뿍
STEP 4 Chunking 순차적으로 각 문장의 의미를 파악해 보면서 추론이 맞는지 확인해 보자.
1 Alex Salmond has always liked a gamble. // By age 10, /
the future leader of the Scottish National Party / had backed his first winning horse. 알렉스 새먼드는 원래 도박을 좋아했다 → 그래서? → 10세 때 →
누가? → 미래 스코틀랜드 국민당 지도자가 → 무엇을 했나? →
처음 우승마에 돈을 걸었다
2 Later, after becoming a prominent politician, / he wrote a racing column. 훗날 저명한 정치인이 된 뒤 → 무엇을 했나? → 경마 칼럼을 썼다
3 But his biggest wager came / as a student in the ’70s, / when he signed up
with the Nationalists, / long-odds outsiders / committed to the unlikely goal of independence. 그러나 그의 가장 큰 도박은 이뤄졌다 → 언제 이뤄졌나? → 1970년대 학창 시절에 → 무엇을 했을 때? → SNP에 가입했을 때 → SNP는 어떤 정당이었나? → 집권 가능성이 희박한 비주류 정당 → 무엇을 내걸었나? → 현실성이 거의 없는 독립을 목표로 내걸었다
4 It’s a gamble / that’s paid off handsomely.그것은 도박이다 → 어떤 도박인가? → 후하게 보상을 받은
STEP 1 이번에는 앞 단락과 같은 요령으로 단락을 빠르게 훑어보면서 키워드와 주제를 찾아보자. 하지만 skimming을 하기 전에 미리 지금까지 얻은 정보와 의문점을 머릿속에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어떤 정보를 찾아야 할지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져야 한다.
In May, Salmond’s party scored an overwhelming victory in elections to the Scottish Parliament. These days, Salmond finds himself the U.K.’s most popular party leader and an idol for peaceable separatists from Catalonia to Quebec. For the first time since Scotland’s Parliament was reestablished in 1999, a single party holds a majority, allowing Salmond to promise a vote on ending the country’s 304-year union with England. In Salmond’s words, Scotland’s years of “self-doubt and negativity” are over. “A change is coming and the people are ready.”
Inference 1999년 스코틀랜드 의회가 부활한 이래 처음으로 단일 정당이 과반수 의석을 차지했다. 새먼드는 여세를 몰아 304년에 걸친 잉글랜드와 연방관계 청산을 표결에 부치겠다고 공언했다.
앞 단락의 마지막 문장을 받아 새먼드의 국민당 입당 도박이 어떻게 성공했는지를 설명했다(국민당의 총선 압승). 그리고 총선 압승이 새먼드에게 가져온 변화 (가장 인기 높은 정당 지도자, 평화적 분리주의자들의 우상이 됐다)와 그가 내세운 공약(스코틀랜드 독립 표결)을 소개했다. 이 공약이 바로 이 글의 주제다. 덧붙여 카탈루냐와 퀘벡의 분리독립 운동, 그리고 1999년 스코틀랜드 의회 부활과 관련된 배경지식이 있으면 내용 파악에 많은 도움이 된다. 다시 강조하자면 독해는 단어만 외운다고 되지 않는다. 그 밖에도 문법, 상식, 추론 능력 등을 두루 갖춰야 한다. 그러자면 빨리, 많이 읽어야 한다. 물론 눈으로 단어만 읽는 게 아니라 행간을 읽는 speed reading을 말한다. 한편 find oneself라는 구문이 영문에 자주 등장하는데 ‘자신을 발견하다’고 직역하면 어색하다. 대부분 …하게 되다, ·…가 되다’로 이해하면 큰 문제가 없다.
STEP 2 Context Clues 문맥에서 생소한 단어의 의미를 찾아 보자.
1 Separatist ‘요즘 새먼드는 스페인 카탈루냐로부터 캐나다 퀘벡에 이르기까지 평화적 separatist들의 우상이 됐다’.
특정 집단의 우상이 됐다는 말은 그들이 새먼드의 행동을 따르고 본받고 싶어한다는 뜻이다. 새먼드가 어떤 행동을 했을까? 그는 총선에서 압승을 거둔 뒤 ‘304년에 걸친 잉글랜드와 연방관계 청산을 표결에 부치겠다고 약속했다.’ 잉글랜드로부터 분리해 독립하겠다는 뜻이다. 또 다른 단서는 ‘카탈루냐로부터 퀘벡에 이르기까지’라는 어구다. 물론 여기서 separatist의 의미를 추론하려면 카탈루냐는 스페인으로부터, 퀘벡은 캐나다로부터 분리 독립을 원한다는 배경지식이 있어야 한다.
→ 분리주의자
2 Reestablish ‘1999년 스코틀랜드 의회가 reestablish된 이래 처음으로 단일 정당이 과반수 의석을 차지했다’.
‘재구축, 재설립’이라는 뜻이지만 주어가 의회니까 ‘재수립’ 즉 의회가 부활됐다는 뜻인 듯하다. 하지만 불과 12년 전에 스코틀랜드 의회가 부활됐다면 그 전에는 어떻게 해왔을까.
그 나라가 잉글랜드의 연방이라는 데 힌트가 있다. 스코틀랜드는 1707년 잉글랜드와 합쳐 대영제국을 구축한 이후, 1999년에야 잉글랜드로부터 자치권을 넘겨받아 292년 만에 의회가 부활됐다고 한다
→ 재건하다, 부활하다
3 Negativity “그의 말을 빌리자면 스코틀랜드의 ‘자기불신과 negativity’의 시대는 끝났다. ‘변화의 물결이 밀려오며 국민은 준비가 됐다.’”
새먼드가 잉글랜드와 연방관계를 청산하고 독립을 추진하겠다며 한 말이다. 그렇다면 지금까지의 연방국가 시대는 자신감이 부족하며 소극적이었다고 부정적으로 표현했으리라 짐작된다. 반면 변화의 물결은 자신감과 독립적 자세를 의미한다고 보인다.
→ 부정, 비관

STEP 3 Chunking 순차적으로 각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면서 추론이 맞는지 확인해 보자.
1 In May, Salmond’s party scored an overwhelming victory / in elections to the Scottish Parliament. 지난 5월 새먼드가 이끄는 SNP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 어디에서? → 스코틀랜드 총선에서
2 These days, Salmond finds himself / the U.K.’s most popular party leader / and an idol for peaceable separatists / from Catalonia to Quebec. 요즘 새먼드는 자신의 위상 변화를 느낀다 → 어떻게 달라졌나? → 영국에서 가장 인기 높은 정당 지도자로 → 그리고? → 평화적 분리주의자들의 우상으로 → 어느 곳의 분리주의자인가? → 스페인 카탈루냐로부터 캐나다 퀘벡에 이르기까지
3 For the first time / since Scotland’s Parliament was reestablished in 1999, / a single party holds a majority, / allowing Salmond to promise a vote / on ending the country’s 304-year union with England. 사상 처음으로 → 언제 이후? → 1999년 스코틀랜드 의회가 부활한 이래 → 무슨 일이 생겼나? →
단일 정당이 과반수 의석을 차지했다 → 그러면 어떻게 되나? → 새먼드가 표결을 약속할 수 있게 됐다 → 무엇에 관한 표결인가? →304년에 걸친 잉글랜드와 연방관계 청산에 관한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고영, 美신경외과학회서 뇌 수술용 의료로봇 ‘지니언트 크래니얼’ 첫 공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서유리 "혹시 누가 해코지할까 봐…" 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또 물러섰다…車관세 완화 어떻게 달라지나[Q&A]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