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40회 생일 맞은 헬로 키티의 귀여움

40회 생일 맞은 헬로 키티의 귀여움

귀여움을 구현하는 입 없는 캐릭터 헬로 키티는 어린이뿐 아니라 레이디가가(사진)을 포함해 성인 팬도 많다. ‘헬로키티 x 레이디가가 플러시 드레스’를 입은 모습.
핑크색 나비 머리핀을 착용하고 입이 없는 헬리 키티는 일본 디자인 업체 산리오의 대표적인 캐릭터다. 1974년 일본에서 동전지갑으로 탄생한 뒤 전 세계의 수많은 소녀와 성인 남녀의 가슴 속 그리고 컬렉션 속에 자리잡았다. 봉제인형, 토스터, 심지어 남성 언더웨어에도 그 앙증맞은 모습을 드러냈다. 경제뉴스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실제로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130개국과 지역에서 5만여 종의 제품에 등장했다. 이처럼 하나의 아이콘이자 메가브랜드인 헬로 키티가 11월 1일 40회 생일을 맞았다.

헬로 키티는 제2차 세계대전 30년 뒤에 등장했다. 전쟁으로 황폐화됐던 일본이 일어서면서 어린이들의 호주머니에 약간의 용돈이 들어 있던 시절이었다. 헬로 키티는 귀여운 것을 좋아하는 일본인들의 문화적 특성을 구현한다. 이는 조화를 추구하는 일본 문화를 반영한다고 ‘쿨 저팬’의 저자 스기야마 토모유키가 썼다. 확실히 헬로 키티의 특정한 문화적 의미는 글로벌한 호소력을 지닌다. 이는 일정 부분 헬로 키티 디자인의 여백미 때문이다. ‘프레셔스 모먼츠’ 같은 다른 ‘따분하게 귀여운’ 캐릭터들에는 없는 일종의 ‘참신함’을 제공한다. 헬로 키티를 집중 연구한 미국 인류학자 크리스틴 야노의 분석이다. “헬로 키티가 사람들에게 먹히고 성공한 이유는 일정부분 디자인의 공백 때문”이라고 야노가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 말했다.
산리오사가 헬로 키티 40주년을 맞아 한정판으로 선보인 헬로 키티 ‘리타’ 하이힐 슈즈.
“사람들은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을 본다”고 야노가 말했다. “키티 손에 기타를 들려줘도 좋고, 무대에 올릴 수도 있고, 있는 그대로 묘사해도 된다. 그와 같은 여백미는 아주 많은 유형의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매력을 키티에게 부여한다.” ‘핑크 세계화’의 저자인 야노가 헬로 키티의 첫 최초 미국 회고전을 기획했다. ‘헬로 키티가 보여주는 슈퍼 귀여움의 세계’라는 타이틀로 지난 10월 로스앤젤레스의 ‘일본계 미국인 국립박물관’에서 개막됐다.

헬로 키티를 둘러싼 논란이 없지는 않았다. 보편적으로 사랑받지도 못한다. 인류학자의 책 소재가 됐을 뿐 아니라 온라인 문화비평 잡지 뉴인콰이어리는 그 캐릭터에만 초점을 맞춘 기사를 실었다. 입이 없고 따라서 그 주장에 따르면 목소리가 없는 여성화된 고양이에 대한 여권운동가들의 비판을 다뤘다. 블로그 ‘헬로 키티 헬’은 시중에 넘쳐나는 종종 터무니없는 헬로 키티 제품들을 찾아내 올리는 작업을 전문으로 한다. 예컨대 헬로 키티 치아교정장치는 입이 없는 그 캐릭터엔 아이로니컬한 제품이라고 꼬집는다. 그리고 헬로 키티가 실제론 고양이가 아니라 런던 출신의 소녀라는 최근의 폭로는 트위터 세계에 충격파를 던졌다.

그 뉴스를 본 뒤 헬로 키티 팬 @alxlsch가 트윗을 올렸다. “평생 거짓된 삶을 살았어.”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복제약은 한계”…반려동물 시장 넘보는 제약사

2“비싸서 못 갔는데”…고물가 특수 누리는 ‘뷔페’

3미디어 산업 패러다임 전환 톺아보기…디지털 시대, 새 경영은

4 중국 창어 6호, 세계 최초 달 뒷면 착륙

5“출장 간 김에 여행도 즐긴다”… 뜨거운 ‘블레저’(Bleisure) 열풍

6‘개르신’ 시장 커진다…동물약국 여는 약사들

7“가격 올릴까 말까”…고물가에 식품·유통업계도 ‘비상’

8“주식창 아닌 야외로”…‘2030 주린이들’ 핫플 성수로 모인 까닭은

9‘탄소 저감’ 약속보다 중요한 AI 투자…글로벌 빅테크 행보는?

실시간 뉴스

1“복제약은 한계”…반려동물 시장 넘보는 제약사

2“비싸서 못 갔는데”…고물가 특수 누리는 ‘뷔페’

3미디어 산업 패러다임 전환 톺아보기…디지털 시대, 새 경영은

4 중국 창어 6호, 세계 최초 달 뒷면 착륙

5“출장 간 김에 여행도 즐긴다”… 뜨거운 ‘블레저’(Bleisure) 열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