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승민 기자의 센터링 경제학 ⑦ 유럽 축구계의 ‘홈그로운’ 제도 - 축구판 중소기업·창업 육성책
함승민 기자의 센터링 경제학 ⑦ 유럽 축구계의 ‘홈그로운’ 제도 - 축구판 중소기업·창업 육성책

홈그로운은 2010-2011 시즌부터 EPL이 시행하고 있는 ‘25인 로스터’ 제도에 포함된 개념이다. 25인 로스터는 각 팀이 리그에 참가할 25명의 선수를 사전에 등록하는 제도를 말한다. 경기 직전 발표하는 18명(선발 11명+후보 7명)이 한 경기의 출전명단이라면, 로스터는 한 시즌 전체의 출전명단이라고 보면 된다.
유소년 육성 위해 ‘홈그로운’ 제도 도입

이런 로스터 제도에 까다로운 단서 하나를 덧붙인 게 홈그로운 제도다. 모든 팀은 로스터 25명 중 8명 이상을 홈그로운으로 채워야 한다는 규정이다. 홈그로운은 국적에 관계없이 21세 이전에 잉글랜드(또는 웨일스)에서 3년 이상 훈련 받은 선수에게 주어지는 자격이다. 즉 ‘선수가 어디에서 태어났든 간에 이 땅에서 자라고 훈련 받았으면 잉글랜드 출신으로 본다. 그리고 각 팀은 이런 선수 8명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자. 표는 EPL 첼시의 25인 로스터 명단이다. 오른쪽에 HG라고 표시된 3명이 홈그로운 선수다. 이 중 존 테리와 개리 케이힐은 잉글랜드에서 나고 자란 선수다. 파브레가스는 다르다. 국적이 스페인이다. 단, 파브레가스는 16세이던 2003년에 아스날에 입단해 2011년 바르셀로나로 이적할 때까지 7년 간 잉글랜드에서 훈련 받았다. 21세 이전에 잉글랜드 클럽에서 뛴 기간이 3년을 초과하기 때문에 홈그로운 요건을 충족시킨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첼시의 홈그로운 선수는 규정인 8명을 채우지 못했다. 이 경우는 어떻게 될까? 간단하다. 대신 그만큼 로스터의 숫자가 제한된다. 첼시의 경우 5명의 홈그로운이 부족하기 때문에 로스터를 20명으로 구성해야 한다. 숨가쁜 일정을 소화해야 하는 구단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제재다.
홈그로운 제도는 각 구단의 유소년 선수 육성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이다. 규정에 맞추기 위해 각 구단이 취할 수 있는 대응은 크게 두 가지다. 홈그로운 선수를 영입하거나, 3년 후 홈그로운이 될 수 있는 18세 이하의 유소년을 키우는 것이다. 키워놓은 홈그로운이 다른 팀으로 이적하면 손해일까? 그렇지 않다. 규정치를 채우기 위한 영입경쟁 때문에 홈그로운 선수는 몸 값이 비싸다. 설령 우리팀의 주전 선수가 되지 않더라도 향후 이적 때 비싸게 팔기 위해서라도 홈그로운 선수를 일단 키우는 게 구단에겐 이익이다. 실제로 지난 시즌 사우스햄튼은 잘 키운 홈그로운 선수들로 쏠쏠한 재미를 봤다.
첼시의 사례처럼 규정을 맞추지 못하는 팀이 나와도 유소년 육성이란 목표를 크게 해치진 않는다. 로스터 제도의 예외규정 이라는 묘미가 발휘돼서다. 규정에 따르면 21세 이하 선수들은 로스터에 등록되지 않았더라도 1군 팀 경기에 뛸 수 있다. 실제로 첼시는 20명이라는 부족한 선수단 수를 메우기 위해 로스터에 없는 커트 조우마 같은 21세 이하 유소년 선수를 종종 기용 하곤 한다. 구단이 홈그로운을 채우든 못 채우든 결과적으로는 유소년 선수의 활용 기회를 늘리는 것이다.
홈그로운 선수 몸값 비싸
여기서 딜레마가 시작된다. 주전 경쟁은 당연히 유소년 선수보다 경험 많은 스타 선수에게 유리하다. 사실 리그 입장에서도 일단은 당장 실력 있는 스타 선수가 있는 게 좋다. 각 선수(기업)의 인기와 실력은 팀(산업)의 역량이고 이런 팀들이 모여 리그(국가 경제)의 수준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스타 선수의 영입은 짧은 시간에 가장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때로는 해외에서 거물급 선수를 영입하기 쉽도록 장벽을 낮추기도 한다. 자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각국이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거나, 대기업 친화적인 정책을 내놓는 것과 유사하다.
하지만 리그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유소년 선수의 성장도 필요하다. 성장의 지속성을 위해서다. 지나치게 스타 선수에게만 의존하다가 그가 늙거나, 다치거나, 이적하기라도 하면 타격이 크다. 뒤가 없다. 팀에게도, 리그에게도 마찬가지다. 잘 나가던 이탈리아 세리에A 리그가 침체되는 것, 삼성과 현대차라는 쌍두마차가 삐걱거릴 때마다 한국 경제에 시름이 깊어지는 것도 같은 이유다.
혜택 받으려 성장 기피하는 ‘피터팬 증후군’

대신 유념해야 할 것은 어린 선수를 언제까지고 온실 속에서만 키울 수는 없다는 점이다. 유소년 선수만 있는 팀은 제대로 운영될 수 없다. 성적도 부진하다. 또 스타 선수의 활약을 통한 팀 자체의 수준 향상, 베테랑 선수의 적절한 지도, 경쟁에서 오는 긴장감이 없다면 유소년의 성장은 오히려 더뎌진다. 미래를 버린 현재는 위험하지만, 현재를 버린 미래는 공염불이다.
재계에서 중소기업·창업 지원책의 문제점이라고 지적하는 바도 이런 점이다. 규모에 따라 회사가 작을수록 혜택은 늘리고 규제는 줄이다 보니, 계속된 지원을 받기 위해 성장을 기피하는 이른바 ‘피터팬 증후군’이 나타난다. 자생력 없이 지원으로 연명하는 ‘좀비 기업’의 증가도 달갑지 않은 현상이다. 일각에선 “대기업의 후려치기는 비난 받아 마땅하지만, 이게 가능한 것도 구조적으로 보면 기술력이 비슷한 중소업체가 지나치게 많아 그 사이의 경쟁이 심해진 탓”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비유하자면 이렇다. 만약 어떤 리그에서 유소년 선수에게 20경기 이상의 출전을 보장하기로 했다고 치자. 그런데 유소년의 기준이 나이가 아니라 실력이다. 실력이 늘지 않아야 출전이 보장된다면 선수들은 굳이 연습을 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나이가 들어도 실력은 그대로인데 출전이 보장되니 다른 곳 으로의 이적이나 은퇴 등 자연도태도 적다. 갈수록 선수단의 규모는 커져 이렇게 남은 낮은 실력의 선수가 20명에서 100명으로 증가한다. 보장된 20경기의 출전 시간을 100명이 나눠 가지면서 출전 경험과 실력 향상의 기회가 줄어드는 악순환이 시작된다.
리그와 구단에서 유소년을 키우는 이유는 엄밀히 말하면 유소년 선수가 많이 필요해서가 아니다. 이들을 스타 선수로 만들기 위해서다. 스타가 된 유소년이 지금의 스타 선수와 시너지 효과를 만들기도, 이들의 자리를 대체하기도 하면서 팀과 리그가 발전하는 것이다. 스타가 될 잠재력과 의지가 없는 유소년 선수는 구단에 부담을 줄 뿐이다. 중소기업과 국가 경제의 관계도 이와 같다.
이런 측면에서 유럽 축구계의 홈그로운은 여러모로 치밀하게 짜인 제도다. 이 제도 아래에서 유소년 선수는 당장이야 혜택을 받겠지만 이것이 영원하지는 않다. 시간이 지나 성인 선수가 되면 자연스럽게 무한경쟁에 노출된다. 유소년 딱지를 떼고도 살아남기 위해서는 보호를 받는 동안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고 성인 선수와 도 겨룰 만한 자생력을 길러야 한다.
사실 경쟁은 유소년 시절부터 시작이다. 성인 선수와의 경쟁에서는 지원이라는 갑옷을 입지만, 똑같은 지원을 받는 유소년 사이의 경쟁은 맨몸으로 부 딪치는 것과 같다. 이 과정에서 성인 선수와 도 겨룰 수 있는 튼튼한 몸을 만드는 셈이다. 다만, 적어도 유소년 시절 동안만은 성인 선수의 빈 주먹에 나가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확실한 지원과 보호가 전제돼야 한다.
한편 또 하나 홈그로운 제도의 재미있는 부분은 ‘국적에 상관 없이…’다. 이 단서는 굉장히 이중적이다. 외국인 선수를 위한 문을 열어둔 것 같기도 하지만, 18세 이전부터 잉글랜드에서 훈련을 받아야 함을 감안하면 자국 유소년에게 훨씬 유리한 조항으로 볼 수도 있다. ‘자국 유소년’으로 제한을 두기 보다 유소년 육성에 비중을 뒀다. 이를 통해 외국인 선수도 적극 유치하면서 자국선수에게도 간접적인 혜택이 가는 방식이다.
외국인 선수를 위한 문 열어둬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