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혁명 속도 내는 중국 - 알리페이 앞세워 고속성장
핀테크 혁명 속도 내는 중국 - 알리페이 앞세워 고속성장
![](/data/ecn/image/2021/02/24/ecn3731681140_tPXlSFmb_1.jpg)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되면서 모바일 결제시장도 호황을 누리고 있다. 관련 시장 규모는 2010년 529억 달러에서 2013년 2354억 달러로 3년 만에 4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오는 2017년에는 7200억 달러로 예상된다. 그야말로 폭발적인 성장세다. 중국의 온라인 소매시장 규모 역시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3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42% 급증한 1조9000억 위안에 이르렀다. 전체 유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11년 4.3%에서 지난해 7.7%까지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알리페이 이용자만 8억명 넘어
![](/data/ecn/image/2021/02/24/ecn3731681140_jRYAOg6N_20150118_005012.jpg)
애플과 구글이 각각 ‘애플페이’와 ‘구글 월렛’ 서비스를 제공중인 가운데 지난해 미국 증시 상장으로 대박을 터뜨린 알리바바는 중국 최초의 제3자 온라인 금융결제 시스템 플랫폼인 ‘알리페이’를 내놓았다. 별도의 결제시스템 구축 여력이 없거나 사업 영역이 다양하지 않은 수많은 중소 사이트들은 앞다퉈 알리페이를 선택하고 있다. 알리페이는 2014년 7월 기준 8억200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해 중국 온라인결제 시장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 연간 결제액도 3조6000억 위안에 달해 후발주자임에도 규모면에서 페이팔을 압도한다. 페이팔의 1억8000만 명 회원이 전 세계에 분포돼 있는 것에 비해 알리페이는 중국 고객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독보적인 1위 업체 알리페이 다음으로 차이푸통(TenPay)이 19.8%로 2위, 중국 인롄(UnionPay)이 11.4%로 3위, 콰이치엔이 6.8%로 4위를 기록했다. 이 외 중국 최대 검색엔진인 바이두의 바이푸바오, 중국 최대 SNS 및 포털사이트 시나의 신랑쯔푸 등 다양한 IT기업이 핀테크 시장에 진출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중국 핀테크의 대표주자 알리페이가 경쟁사보다 한발 앞서 치고 나가는 이유는 뭘까. 전자상거래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타오바오를 거느리고 있다는 이유 외에도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서다. 특히 은행을 대체하는 편리한 결제시스템과 송금 기능은 단연 돋보인다. 알리페이 계정에 돈을 충전하면 전자지갑이 돼 다양한 제휴사에서 온라인 결제할 수 있고 원하는 알리페이 계정으로 타인에게 손쉽게 송금할 수도 있다. 수많은 식당과 쇼핑몰 등 제휴 매장에서 신용카드처럼 결제할 수 있으며, 공공요금·교통요금도 지불할 수 있다.
저장성 항저우에서 처음 서비스된 콜택시 애플리케이션 콰이더다처는 알리페이와 연동해 서비스되는 대표적인 앱 중 하나다. 이 앱을 이용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보내 가장 가까운 택시를 예약하고 택시기사의 알리페이 계정으로 클릭 한 번에 요금결제를 끝낼 수 있다. 땅미엔푸 앱은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활용한 것으로, 앱을 실행시킨 휴대폰을 가까이 두면 자신의 알리페이 계정에서 원하는 사람에게 원하는 금액을 바로 보낼 수 있다. 친구와 같이 식사를 하고 비용을 나눠 계산할 때라든지 지인에게 부조금을 보낼 때, 애들 용돈을 줄 때 등등 보낼 사람이 옆에 있으면 언제든지 땅미엔푸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은행계좌로 보내 언제든지 현금화할 수도 있으며 송금 수수료나 이용 제한 시간이 없다는 점은 덤이다.
이처럼 아직 금융시장을 완전히 개방하지 않은 중국에서 핀테크는 유연하고 실용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한국 금융회사와 달리 중국에서는 다른 은행, 다른 지역으로 당일 송금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또 항상 많은 사람으로 붐벼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중국 은행을 생각하면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도구다. 많은 사람이 적지 않은 돈을 알리페이 계정에 넣어두면서 잔액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새로운 시도도 나타났다. 알리페이는 2013년 6월 현지 투신사인 톈홍펀드와 제휴해 연 6% 이상의 수익을 일일 계산해서 지급하는 위어바오라는 서비스를 출시했다. 단 하루라도, 1위안이라도 계정에 돈이 있으면 은행 대비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해 폭발적 호응을 얻었다. 출시 보름 만에 66억 위안의 자금이 몰렸고, 이용자수는 1년 만에 1억명을 돌파했다.
현재 알리페이는 중국뿐 아니라 34개 이상 국가의 1500개 기업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지난해 7월부터는 글로벌 블루와 협력해 세금 환급 서비스도 시행하고 있다. 중국 고객이 독일·프랑스 등 50여 개국 5000여 매장에서 구매 후 세금 환급서에 알리페이에 등록된 휴대폰 번호와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7일 뒤 알리페이 계좌로 입금이 되는 방식이다.
택시결제·송금서비스 인기
그럼에도 한국에서도 본격적인 핀테크 서비스가 무르익을 때가 됐다. 온라인쇼핑 시장 규모는 최근 4년 간 19.1% 성장한 40조원 수준에 이르며, 2015년에는 약 5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모바일뱅킹 등록자 수는 4298만명을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아이폰의 한국 진출이 한국 스마트폰 개발의 촉매가 됐듯이 알리페이의 한국 진출 역시 한국 온라인 결제 서비스 구도에 상당한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알리바바그룹이 사업 범위가 주력 분야인 인터넷 쇼핑과 알리페이 온라인 결제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택배 등 물류사업, 자동차 서비스, 여행 등 서비스산업 전반에 걸쳐 한국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엔씨소프트, 지난해 영업손실 1092억원…상장 후 첫 연간 적자
2韓, 180개국 중 ‘국가청렴도’ 30위 달성
3“‘줍줍’은 무주택자만”...올해 상반기 제도 개편 시동
4국민연금, 굿바이 ‘엔비디아’…새로운 효자 종목은 ‘바로 너’
5‘상속 꿀팁’ 궁금하다면…국민은행, 전문가 강연 주목
6'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어, 같이 죽을 생각이었다"
7남양유업, 6년 만에 '흑자 전환' 비결은
8해외 ETF 복리효과 사라진 ‘ISA‧연금계좌’…투자자 ‘이중과세’ 불만↑
9"갤럭시 S25가 크록스를 신었네?"...'5만원' 넘는 이 폰케이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