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진정한 사회공헌이란
기업의 진정한 사회공헌이란
우리가 흔히 접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란 말이 있다. 연말에 소외된 이웃에게 월동용품을 전달하고, 직장인들이 끝전을 모아 고아원과 노인정에 기부하거나 기업 오너들이 장학재단을 만들어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주는 사례 등이 여기에 속한다. 그런데 한 발 더 나아가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이라는 개념이 새로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CSV란 기업의 목적을 단순히 이윤 창출에 두는 것이 아니라, 생산활동을 통해 사회적 이익을 함께 이끌어낸다는 개념이다. CSR이 기업 이익의 일부를 단순히 사회에 기부하거나 나누는 것인데 비해, CSR은 기업을 재정의하는 한편 기업의 목적과 사회의 가치를 일치시키는 철학을 담고 있다. 네슬레가 커피의 생산과 판매를 한 지역에서 함으로써 현지 농부들의 소득 증대를 꾀하고, 품질을 개선시키는 것도 일종의 CSV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발 빠른 기업들은 일찌감치 CSV를 조직문화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앞으로 CSV가 CSR을 대체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사실 기업들로서는 CSR보다는 CSV가 반갑다. 이유는 간단하다. CSV가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기업들의 사회공헌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매출 상위 600개 기업들은 지난 2013년 CSR 비용으로 약 2조8115억원을 썼다. 기업당 46억9000만원씩 쓴 셈이다. 기업으로서는 CSR 활동 자체가 고비용·비효율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사회공헌에 대한 지나친 강박을 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CSR의 책임 범위는 기업의 ‘자유재량’이다. 기업이 득이 되면 하고, 아니면 안 해도 그만인 활동이다. 그러나 기업은 이미지 제고와 마케팅 차원에서 많은 비용을 들여 CSR 활동을 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실제로 기업의 사회공헌 담당자들의 주된 고민은 어떻게 적은 비용으로 높은 홍보 효과의 CSR 활동을 만들어낼까 기획하는 일이다.
그런데 돈이 거의 들지 않는 CSV의 등장은 기업들로서는 혁신적인 일이다. 기업의 수익을 물리적으로 나누지 않고, 기업 활동으로 사회공헌을 하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최근 기업들이 사회단체에 노래를 만들어주는 등의 ‘돈이 들지 않는’ 재능 기부 형태로 CSV를 실천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것만으로 CSV를 이행하고 있다고 말한다. 더불어 CSV가 최신 트렌드라며 자신이 변화에 민감한 기업이라는 점을 홍보·마케팅하고 있다. CSV가 사회공헌 비용의 딜레마에 빠졌던 기업들에게 퇴로를 열어 준 셈이다.
이런 형태로 CSV가 확대된다면 기업의 자본에 바탕을 둔 기존의 CSR은 크게 줄어들거나 일회성 활동으로 전락할 확률이 높다. 기업이 CSR을 거두고 CSV를 도입한 탓에 사회·법·윤리적 책임의 사각지대가 생길 수도 있다. 기존의 CSR 활동으로 수혜를 입는 사람들도 줄어들 것이다. 이는 분명 사회 전체로는 마이너스의 결과이며,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기업들이 CSV를 운운하며 섣불리 도입 혹은, 제도화를 꿈꾸기 전에 해야 할 일이 있다. 과연 자신이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고 있는지, 직원들을 윤리적으로 대하고 있는지, 도덕적 생산활동을 하는지를 먼저 점검해 보라. 그것이 진정한 기업의 CSV이자 CSR의 시작일 것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에 발 빠른 기업들은 일찌감치 CSV를 조직문화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앞으로 CSV가 CSR을 대체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사실 기업들로서는 CSR보다는 CSV가 반갑다. 이유는 간단하다. CSV가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기업들의 사회공헌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매출 상위 600개 기업들은 지난 2013년 CSR 비용으로 약 2조8115억원을 썼다. 기업당 46억9000만원씩 쓴 셈이다. 기업으로서는 CSR 활동 자체가 고비용·비효율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사회공헌에 대한 지나친 강박을 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CSR의 책임 범위는 기업의 ‘자유재량’이다. 기업이 득이 되면 하고, 아니면 안 해도 그만인 활동이다. 그러나 기업은 이미지 제고와 마케팅 차원에서 많은 비용을 들여 CSR 활동을 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실제로 기업의 사회공헌 담당자들의 주된 고민은 어떻게 적은 비용으로 높은 홍보 효과의 CSR 활동을 만들어낼까 기획하는 일이다.
그런데 돈이 거의 들지 않는 CSV의 등장은 기업들로서는 혁신적인 일이다. 기업의 수익을 물리적으로 나누지 않고, 기업 활동으로 사회공헌을 하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최근 기업들이 사회단체에 노래를 만들어주는 등의 ‘돈이 들지 않는’ 재능 기부 형태로 CSV를 실천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것만으로 CSV를 이행하고 있다고 말한다. 더불어 CSV가 최신 트렌드라며 자신이 변화에 민감한 기업이라는 점을 홍보·마케팅하고 있다. CSV가 사회공헌 비용의 딜레마에 빠졌던 기업들에게 퇴로를 열어 준 셈이다.
이런 형태로 CSV가 확대된다면 기업의 자본에 바탕을 둔 기존의 CSR은 크게 줄어들거나 일회성 활동으로 전락할 확률이 높다. 기업이 CSR을 거두고 CSV를 도입한 탓에 사회·법·윤리적 책임의 사각지대가 생길 수도 있다. 기존의 CSR 활동으로 수혜를 입는 사람들도 줄어들 것이다. 이는 분명 사회 전체로는 마이너스의 결과이며,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기업들이 CSV를 운운하며 섣불리 도입 혹은, 제도화를 꿈꾸기 전에 해야 할 일이 있다. 과연 자신이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고 있는지, 직원들을 윤리적으로 대하고 있는지, 도덕적 생산활동을 하는지를 먼저 점검해 보라. 그것이 진정한 기업의 CSV이자 CSR의 시작일 것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147회 로또 1등 ‘7, 11, 24, 26, 27, 37’…보너스 ‘32’
2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3“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4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5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
61조4000억원짜리 에메랄드, ‘저주받은’ 꼬리표 떼고 23년 만에 고향으로
7“초저가 온라인 쇼핑 관리 태만”…中 정부에 쓴소리 뱉은 생수업체 회장
8美공화당 첫 성소수자 장관 탄생?…트럼프 2기 재무 베센트는 누구
9자본시장연구원 신임 원장에 김세완 이화여대 교수 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