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형시장을 가다① 울산번개시장·야음상가시장] “지금부터 반값” DJ 방송에 흥이 넘쳐
[문화관광형시장을 가다① 울산번개시장·야음상가시장] “지금부터 반값” DJ 방송에 흥이 넘쳐

두 시장이 뭉쳐 시너지 효과

야음시장에는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 여성인 시민DJ 1명과 남성 피디 겸 DJ 1명이 방송한다. 시장에서 공모해서 뽑은 실력파 방송인이다. 오후 12시부터 5시까지 음악과 함께 시장 이야기를 스피커로 송출한다. 스튜디오 아래 1층은 사랑방이다. 무료로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는 공간이다. 상인들은 물론 시장을 찾은 손님도 이용할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찾는 곳이니 만큼 옛 다방처럼 꾸며 정겨운 휴식 공간으로 제 몫을 하고 있다. 번개시장에는 ‘힐링버스’가 있다. 14인승 전기 카트 버스다. 주변 선암호수공원과 시장을 오간다. 수요일을 제외한 모든 날 하루 4번 공짜로 왕복한다. 버스가 오가면서 시장의 정확한 위치를 모르던 주변 울산 시민들에게 시장을 알리는 광고판 역할을 톡톡히 한다. 시장에 물건만 사러 오는 것이 아니라 주변 생태공원을 둘러볼 수 있게 되면서 힐링버스는 시민들에게 인기가 높다. 특히 공원까지 걸어가기 힘들어하는 노약자나 임신부 등이 자주 찾는다고 한다. 총 운행시간은 1시간 내외다. 시장에서 선암호수공원 주차장까지 가는 데 15분 정도 걸린다. 20분 정도 공원을 구경하고 나오면 다시 시장으로 돌아온다.
맛집 콘테스트 ‘우리 식당이 제일 잘 나가’

- 박상주 기자 park.sangjoo@joins.com
[박스기사] 맹선재 울산번개시장·야음상가시장 문화관광형시장 활성화 사업단장

“이전엔 상가가 다들 영세하고 시장 문화란 게 없었다. 그저 물건을 놓고 사가길 바랄 뿐이었다. 매니지먼트가 필요한데, 그러려면 사회적 지원이 절실했다. 그러던 차에 문화관광형시장에 선정돼 시설 현대화 사업이 시작됐다. 간판을 새로 만들고 물이 새는 곳을 수리 중이다. 숙원이었던 아케이드 문제도 해결했다. 내년 12월 정도되면 시설이 확실하게 달라질 전망이다.”
시설 못지 않게 상인들의 서비스나 의식도 달라진 것 같다.
“사실 그런 부분이 가장 큰 변화다. 상인들과 선진시장 견학을 다녀온 뒤로 우리 시장도 이런 시장처럼 바꿔보자는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변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고객들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상점 앞에 그은 ‘고객선’이 있다. 업주들이 이를 벗어나서 호객행위를 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문화관광형시장이 되면서 고객선만은 반드시 지키자고 했고, 거의 대부분의 상인이 지키고 있다.
그뿐 아니다.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고 영업하던 사람들이 등록을 하고, 현금만 받던 사람들이 카드 단말기를 설치했다. 의식이 바뀌면서 시장이 크게 변하고 있다.”
선암호수공원 외에도 울산은 고래로 유명하다.
“장생포 고래문화특구가 가깝다. 울산은 옛 고래잡이의 전진기지였다. 장생포 고래박물관은 우리 포경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박물관뿐 아니라 수족관으로 만들어진 고래 생태체험관도 인기다. 진짜 바다에서 유영하는 고래를 보고 싶다면 여행선을 타고 고래를 볼 수도 있다.”
상인들간의 경쟁이 문제가 될 수도 있는데.
“긍정적인 면에서 경쟁하고 있다. 다른 가게에서 더 많이 사간다고 질시하는 게 아니다. 우리 가게에 더 좋은 물건을 더 싸게 내놓으려고 경쟁하는 모습이다. 과거엔 고객과 상인들이 다투면 주변 상인들이 상점 편을 두둔했다. 이제는 가능하면 고객이 불편하지 않도록 주변 상인들이 돕는다. 이런 면도 서비스 경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