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tter] 일본프로야구 구단의 혁신

일본프로야구는 전통적으로 철도회사와 언론사들의 주무대입니다. 12개 구단 가운데 철도회사와 관련된 구단은 6개며, 언론사와 관련된 곳도 3개나 됩니다. 그러던 것이 2000년대 들어 IT기업들로 판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일본 경제가 노화하기 시작하면서 기존 구단주들의 위상은 감소한데 비해 신흥 IT기업들은 승승장구했죠. 이를 바라보는 일본 야구계의 시선은 곱지 않았습니다. ‘구단을 운영할 능력이 있느냐’ ‘자금력은 되느냐’ 등등. IT기업에 구단을 넘겨줄 바에는 차라리 구단 수를 줄이자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라쿠텐 골든이글스는 지난 2013년 재팬시리즈를 제패하며 강팀 대열에 동참했고,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도 팀의 기본을 착실히 쌓아가고 있습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막대한 돈으로 팀 순위를 유지하는 데 비해, 이들 팀들은 신인 선수를 육성해 짜임새 있는 타선과 선발진을 구축했습니다. 세이버매트릭스도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죠. 이 덕에 호크스와 골든이글스가 속한 퍼시픽리그는 이제 센트럴리그 못지 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새로운 기술과 환경, 시스템에 배타적이게 마련입니다. 오랜 기간 맞춰온 시스템을 바꾸는 데 따르는 여러 충돌과 비용을 걱정하는 것이지요. 그러나 세상이 변하는데 나만 바꾸지 않는다면 도태되는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많은 국내 기업이 새로운 먹거리와 시스템 혁신을 갈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아무것도 못하는 경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보수적인 일본프로야구는 요미우리 자이언츠만 부르짖다 한동안 침체에 빠졌습니다. 그러나 IT기업들을 수혈하며 반전에 성공했습니다. 끊임없는 변화와 도전만이 기업의 영속적인 활동을 보장하지 않을까요?
- 김유경 기자 kim.yukyoung@joins.com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디올백' 영상 나오자...통일교 간부 건진법사에 "목걸이 돌려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
'1인 2역' 박보영 '깜짝' 출연 계기 눈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막내린 용산 시대…대선 이후 대통령 집무실 어디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롯데카드부터 애경산업까지…내달 M&A 큰장 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바이오로직스 ‘영업이익률 42.7%’, 백신기업 1위...고수익 유지 가능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