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케어 연구원들이 로봇 ‘메로’의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로보케어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출자해 2012년 창업한 로봇 전문 기업입니다. 상체가 고정된 메로와 바퀴를 이용해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실벗’ 두 종류를 만들었습니다. 메로는 입모양, 눈썹의 움직임, 눈을 감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표정을 보여줍니다. 또 목을 네 부분으로 나눠 움직일 수 있어 전후좌우로 구부릴 수도 있습니다. 로보케어는 지난 7월13일 SK(주)C&C와 ‘국내 로봇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술 및 사업협력 업무협약’을 했습니다. 김성강 로보케어 대표는 SK(주)C&C가 관계를 맺고 있는 IBM의 인공지능 ‘왓슨’을 이용한 로봇 제작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생활형 로봇은 현재 과학관 전시물 혹은 간단한 안내용에 머물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활형 로봇이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연결되면 가정 내 기기를 자동 조정하고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쉽게 전달하는 첨단기기로 탄생할 수 있게 됩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건주, 프랑스 입양 남동생 찾았다 “미안해. 보고 싶었어” 오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故김새론과 약속 지키고 싶었다”…베일 벗은 유작 ‘기타맨’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대 이모님 가전답네”…더러운 우리집 새집 만드는 ‘이것’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백기사’로 얽힌 재계…경영권 분쟁 때 빛나는 동맹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바이오로직스 ‘영업이익률 42.7%’, 백신기업 1위...고수익 유지 가능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