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포자가 수분 흡수할 때의 작용으로 전력 생산 … 태양광·풍력과 달리 언제든 발전 가능해 수분증발 기술은 수요에 따라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있다. / 사진:XI CHEN-COLUMBIA UNIVERSITY수분증발의 힘을 이용해 이론상 현재 미국에서 생산되는 에너지의 70% 가까이를 미국 호수와 저수지에서 만들어낼 수 있다.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서 수분 증발력의 잠재력에 대한 최초의 조사 결과다.
수분증발 기술은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수요에 따라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있다. 태양광과 풍력 같은 신재생 에너지의 큰 단점 중 한 가지를 극복한다. 미국 컬럼비아대학에서 실시된 이 같은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컬럼비아대학의 생물물리학자(biophysicist) 오즈거 사힌 교수는 “우리에겐 바람·물·태양에서 에너지를 얻는 기술이 있지만 똑같이 큰 잠재력을 지닌 수분 증발력 기반 발전 기술은 지금껏 없었다”며 “이제 그 잠재력을 수치로 표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개발한 장치 ‘수분증발 엔진(Evaporation Engine)’은 작은 세균포자(세균이 외부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포자)를 이용한다. 그 장치를 수면 위에 설치하면 세균포자가 물을 흡수할 때 팽창하고 물이 증발될 때 수축하는 능력을 활용해 작동한다. 이 같은 움직임에서 생기는 에너지로 발전기를 돌려 전력을 생산한다. 아울러 장치에 유입되는 증발된 수분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셔터에 포자들이 연결된다. 그에 따라 에너지를 얼마나 생산할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배출할지를 필요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반면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 햇빛이나 바람이 없을 때 배터리가 필요하다. 배터리는 고가인 데다 처분할 때 환경을 해칠 수 있다. 논문의 대표작성자이자 컬럼비아대학 대학원생인 아메트-함디 카부소글루는 “증발 발전에는 천연 배터리가 딸려 나온다”며 “그것을 주요 동력원으로 삼고 가능할 때만 태양광과 풍력을 활용하면 된다”고 말했다.
게다가 이 같은 기술을 이용하면 물도 절약할 수 있다. 연구에서 예상된 수준까지 수분증발 기술 규모를 확대할 경우 연간 100조ℓ(호수와 저수지에서 자연 증발하는 물의 약 절반)가 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미국인의 연간 총 물 소비량의 약 5분의 1에 해당된다.
따뜻하고 건조한 환경을 가진 지역이 가장 혜택을 보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한다. 그런 환경에선 수분증발력이 더 강해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한다. 그뿐 아니라 캘리포니아처럼 가뭄이 빈번한 지역에선 물의 절약의 중요하다.
연구팀은 모델을 단순화해 기상 데이터를 쉽게 입수할 수 있는 미국으로 조사 범위를 국한했다. 그리고 농지·강 심지어 5대호 같은 방대한 저수 구역은 배제해 복잡한 상호작용의 모델 반영에 따르는 오류를 최소화했다.
그런 수역을 제외하고도 수분증발 발전기술로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이 이론상 여전히 연간 325GW에 달했다. 그러나 이 같은 계산에는 남쪽 48개 주에 있는 0.1㎢ 면적 이상의 모든 호수와 저수지(위에서 제외한 곳은 빼고)가 에너지를 수확하는 장치로 완전히 덮인다는 가정이 전제돼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이는 필시 그런 수역의 다른 용도와 상충되고 미관상·환경상의 우려를 제기하기 때문에 필시 비현실적이다. 이 같은 면에서 이번 연구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서 수분증발의 이론적 잠재력을 이해하기 위한 사고 실험(thought experiment, 일정한 조건을 상정해 사유적으로 추구하는 실험)의 성격이 더 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팀은 이 기술이 연구에서 제안된 수준까지 확대되지 않더라도 장차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내다본다.
- 아리스토스 조르주 아이비타임즈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李대통령 “기존 신도시 추진, 속도 높일 것”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 '檢송치' 이경규, 예능 '마이 턴' 8월 첫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주4.5일제 시작될 시점은?” 질문에 대답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