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의 불참 선언으로 좌초 직전까지 갔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다시 정상화의 길로 돌입했다. 지난 4월 2일 불참을 선언한 한국노총이 27일만에 복귀하면서다. 광주시와 현대차가 최대 주주로 참여한 합작 법인 광주 글로벌모터스 주주들은 이날까지 노동계가 복귀하지 않으면 사업 진행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통첩한 바 있다. 노동계의 복귀로 노사정은 4월 29일 ‘광주형 노사 상생의 완성차 공장 성공을 위한 합의서’를 내놓을 수 있었다. 노사정은 광주상생일자리재단(가칭) 설립, 독립 자문기구 ‘상생위원회’ 설치 등에 합의했다.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는 노동이사제 도입 등 요구를 철회키로 했다. 노사상생형 지역 일자리 첫 번째 모델인 광주형 일자리는 이번 합의를 통해 다시 정상화 궤도에 돌입했지만 노사정간 신뢰는 여전히 ‘살얼음’으로 평가된다.
- 최윤신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뮤니스바이오 ‘노벨상 수상’ 조절T세포 화장품 원료로 피부과학 혁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헉' NBA 감독이 불법 스포츠 베팅 혐의라니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코스피, 3930선도 뚫었다…‘50만닉스’ 안착·‘10만전자’ 눈앞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개미만 모르는 위험신호...국민연금, LG화학에 비공개 경고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中 이노벤트 초대형 딜에 와이바이오로직스 삼중항체에 쏠리는 눈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